• 제목/요약/키워드: 성과측정모델

검색결과 520건 처리시간 0.042초

논리모델을 이용한 도서관 성과측정에 관한 연구 (Measuring Library Outcomes Using a Logic Model)

  • 박성재;이용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69-287
    • /
    • 2015
  • 본 연구는 도서관의 성과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논리모델의 적용가능성을 논의했다. 사례연구로 연구대상 도서관이 운영하는 어린이와 청소년을 위한 독서프로그램 중의 하나인 독서대학의 성과를 측정하기 위한 논리모델 성과 프레임워크를 개발하였다. 논리모델에 포함된 성과요소 중에서 도서관 데이터를 통해 측정이 가능한 중기성과를 중심으로 성과를 측정하였고 측정결과, 독서대학은 연구대상 도서관이 제시하고 있는 산출평가 방식의 결과물에서 나타나지 않은 성과들을 만들어냈다. 도서대출과 관련하여 독서대학 참여자의 52%는 긍정적인 성과를 경험했다. 또한 프로그램 종료 후 참여자의 독서동아리 가입이 증가했고 다양한 주제분야의 도서를 읽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다른 독서관련 프로그램 참여율이나 독서대학의 재참여율은 가시적인 성과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논리모델이 도서관 성과연구에 기여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전략적 성과측정을 위한 공공기관의 동적 균형성과지표 모델 개발

  • 김종태;박상현;연승준;김상욱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정보학회 2007년도 International Conference
    • /
    • pp.837-842
    • /
    • 2007
  • 일반기업에서 성과측정이 매우 중요시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공공환경의 복잡한 변화와 함께 공공기관에서도 성과측정이 중요시 되고 있다. 이에 따라 공공기관에서는 무형자산의 중요성을 인식하면서 성과측정과 관리의 수단으로 균형성과지표(Balanced Scorecard)를 도입하고 있다. 그러나 균형성과지표는 일반기업의 성과측정을 위해 고안된 방법론으로 공공기관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도록 변형되지 않고서는 공공기관에 그대로 도입되어 사용될 수는 없다. 더욱이 기존의 BSC는 '시간지연(time delay)'을 가지고 있는 지표들간의 상호작용 및 상호 의존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으며, 지표들간의 피드백을 유발하는 인과관계를 간과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핵심지표들간의 상호작용 및 관계성의 설정과 새로운 정책이나 입법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시간지연'에 의한 영향 등을 반영하고자 시스템다이내믹스(System Dynamics)와 시스템사고를 적용, 공공기관, 성과측정에 적합한 Dynamic BSC 모델을 개발하고자 한다.

  • PDF

R&D 프로젝트 성과의 경제적 가치 측정 모델 연구 (A Study on Economic Measurement Model of R&D Project Performance)

  • 김영명;성한규
    • 기술혁신연구
    • /
    • 제21권1호
    • /
    • pp.229-252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연구개발(R&D) 프로젝트의 성과를 재무적 가치로 측정하기 위한 모델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를 통해 연구개발 프로젝트 성과를 측정할 수 있는 지표를 추출하고, 그 측정 방법을 제시하였다. R&D 성과를 재무적 가치로 환산하려는 일부 시도가 있었으나 전문가 평가, 예상 매출액, 미래시장 점유율, 할인율, 순현재가치, 실물옵션 접근법 등 주관적 의견과 과도한 예측으로 측정결과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고 다양한 각도에서 재무적 가치로 평가가 가능한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개발된 모델을 국내 IT 기업의 실제 사례를 통하여 검증을 실시하여 신뢰성을 높였기 때문에 추후 기업의 R&D 프로젝트에 대한 경제적 평가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공급사슬의 성과측정 및 관리를 위한 동적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the Dynamic Model for Supply Chain Performance Measurement and Monitoring)

  • 추봉성;이홍걸;;이철영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3권8호
    • /
    • pp.193-202
    • /
    • 2005
  • 기업물류에 있어 공급사슬 관리(SCM: Supply Chain Management)의 중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SCM 성과측정과 관련한 다양한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실제 상황에서 요구되는 SCM의 성능 척도는 운영의 효율성과 수요의 반응성을 동시에 고려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SCM 측정 및 관리 방식은 SCM의 일부분만을 측정대상으로 하거나, 과거의 성과를 중심으로 측정하기 때문에 운영의 효율성과 수요의 반응성 중 단지 하나의 성향만을 다루는 정적인 모델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급변하는 기업 환경 및 시장환경에 원활하게 대응하고, 운영의 효율성과 수요의 반응성을 동시에 고려할 수 있는 동적인 정량화 모델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기능/전략적 측면에서 SCOR 모델의 핵심성과지표(KPI: Key Performance Indicators)를 활용하여 공급사슬 운영의 효율성을 파악하는 동시에, 수요변동에 따른 핵심성과지표의 반응성을 고려한 정량적인 방식으로 탄력적인 공급사슬의 측정 및 관리가 가능한 동적인 모델을 제안하였다.

정보화 효율성 측정을 위한 성과평가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erformance Evaluation Model for Information Efficiency Measurement)

  • 유은숙;정기원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33-50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정보화 투자에 대한 성과평가를 통해 공공부문의 정보화 예산투자에 대한 타당성과 효과성 측정 방안, 그리고 투자대비 효과의 적합성을 제고 할 수 있는 계량적 평가모델을 제시하였다. 즉, 전자정부 과제로 추진된 정부전자문서유통센터 구축사업을 대상으로 정보화 투자에 대한 명확한 성과목표를 설정하고 사전평가 및 사후평가를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핵심성과지표(KPI)를 개발하여 계량적 평가모델을 이용한 현장검증 연구방식으로 성과평가 결과를 도출하였다.

  • PDF

3차원 평가모델을 이용한 공공 u-IT 서비스 성능분석 (Performance Evaluation for Public u-IT Services using a Proposed Three-dimensional Model)

  • 김재원;김세진;변종봉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9권6호
    • /
    • pp.165-172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3차원 평가환류체계를 기반한 성과측정모델을 제안하며, 제안하는 평가모델을 이용하여 2008년과 2009년에 수행한 7개의 공공 u-IT 서비스의 사용자 만족도와 활용도를 분석한다. 본 연구를 통해, 당초 공공 u-IT 서비스 지원사업이 목표하였던 대부분의 연구목적을 달성하였음을 알 수 있었으며, 성과측정 및 분석결과는 향후 추진할 신규과제의 추진방향 제시한다.

인터넷 IS 이용자의 업무성과에 관한 연구

  • 이대용;정광진
    • 한국산업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업정보학회 1998년도 공동추계학술대회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정보기술의 효율적 활용
    • /
    • pp.283-299
    • /
    • 1998
  • 본 연구는 인터넷 기반의 정보시스템의 활용에 대한 성과 측정의 어려움으로 인한 문제를 성과 측정을 위한 도구로 이용도(Usage), 사용자만족(User Satisfaction)과 그 외 정보시스템 성과측정과 관련된 이론 및 모델을 바탕으로 연구모델을 설정하여 , 이용자의 특성과 조직의 지원이 인터넷 기반의 정보시스템 이용도와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 요인을 실증적으로 탐색해보고자했다. 결과로서는 이용자특성과 조직의 지원이 인터넷 정보시스템의 이용도와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고, 이용도와 만족도는 업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현재 인터넷 기반의 정보시스템을 활용하고 있거나, 향후 도입하려는 조직에게 효과적이고 적극적인 활용에 대한 방향을 제시한다.

성과측정의 전략적 활용을 위한 Dynamic BSC 모델 구축

  • 조현웅;연승준;김상욱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정보학회 2007년도 International Conference
    • /
    • pp.830-836
    • /
    • 2007
  • 기업에 있어서 성과측정은 무엇보다도 중요한 경영활동으로 미래의 기업 전략 수립을 유도할 수 있는 역할을 발휘하고 있다. 기업의 경영방식은 바뀌어 가고 았지만 기업의 성과를 측정하는 방법은 여전히 재무적 성과 측정 방법에만 너무 의존하여, 이미 행해진 성과 향상을 위한 의사결정들의 결과는 보여주지만 장기적 전략개발을 위한 적절한 지침을 보여주지는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보다 포괄적이며 과학적인 성과 측정 방법이 나타나고 있으며 이 중 BSC 가 많은 기업에서 사용되고 있거나 수용과정에 있을 만큼 그 유효성을 인정받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BSC마저도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BSC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시스템다이내믹스 (System Dynamics) 방법론을 통한 Dynamics BSC 모델을 전략 및 경영활동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로직모델 기반 평가 프레임워크를 이용한 공공도서관 어린이 독서 프로그램 성과 측정 연구 (A Study on the Outcomes Measurement of a Public Library's Reading Program for Children Using the Evaluation Framework Based-on the Logic Model)

  • 한상우;박성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71-286
    • /
    • 2018
  •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에서 운영하는 프로그램의 성과를 로직모델을 기반으로 개발된 평가 프레임워크를 적용하여 측정하고자 하였다. 성과 측정을 위해 서울 소재 한 공공도서관에서 운영하는 여러 프로그램 중 어린이 독서 프로그램을 선정하였다. 성과 측정 과정은 어린이 독서 프로그램의 계획, 진행, 평가 등의 업무과정 일체를 분석하여 로직 모델을 구현하였으며 이에 의거하여 예상되는 성과를 측정하였다. 데이터는 KOLAS를 통해 회원정보, 서지정보, 대출정보 등을 수집하였고, 프로그램 운영 현황에 대한 데이터는 프로그램 진행 후 작성된 보고서에서 추출하였다. 측정 결과 어린이 독서 프로그램에 참여한 회원들의 대출빈도가 상승하였고, 프로그램의 주제에 따라 대출 장서의 주제가 변화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독서 프로그램이 갖는 효과와 의미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성과평가가 도서관에서 운영하는 타 프로그램 및 도서관 업무 등의 효과성을 측정하는데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퍼지 QFD를 활용한 공공부문 정보화 성과 측정범주 중요도 도출 (The Fuzzy QFD Approach to Importance the Public Sector Information Performance Measurement Category)

  • 오진석;송영일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2권2호
    • /
    • pp.189-203
    • /
    • 2010
  • 민간 및 정부 전 분야에 걸쳐서 정보화사업에 대해 많은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에 대한 투자대비 성과를 측정하고자 많은 노력들이 수행되고 있다. 정보화사업에 대한 평가는 크게 수준평가와 성과평가로 구분되고 있으며, 수준평가는 정부차원으로 매년 측정하고 성과평가는 자체 평가로 수행되고 있다. 공공부문에 있어서는 범정부 성과참조모델(Performance Reference Model: PRM) ver. 2.0이 개발되어 공통 참조모델로써 정보화 성과평가의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범정부 PRM은 가장 근간이 되는 평가분류체계와 표준 가시경로 및 성과관리 표준 양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성과요소들을 분류하고 인과관계를 정의하고 있다. 효율적인 정보화사업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성과에 대한 평가를 객관적으로 할 수 있는 정량적인 수치화가 필요하다. 범정부 PRM은 평가분류체계에서 측정범주는 제공하고 있지만, 측정범주별 적용기준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는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공부문 정보화사업의 성과평가의 공통기준으로 적용되고 있는 범정부 PRM의 측정범주에 대한 중요도 평가 및 우선순위를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모형은 Fuzzy QFD (Quality Function Deployment)를 이용하였으며, 측정범주의 중요도 도출시 범정부 PRM의 개발목적을 잘 반영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함에 있어 불확실성과 모호성을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퍼지이론을 접목한 Fuzzy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와 FPP(Fuzzy Preference Programming) 방법을 적용하였다. 범정부 PRM의 개발목적에서는 성과관리 참조모델로써의 가장 기본적인 요구사항이라 할 수 있는 "정보화 성과관리를 위한 표준모형 제공"이 가장 중요한 요소로 도출되고 있다. 측정범주에 서는 고객영역에서 "서비스 품질"이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보이고 있다. 정보시스템의 서비스에 대한 품질 관리 및 향상방안에 보다 많은 투자와 노력이 필요함을 엿볼 수 있다. 범정부 PRM의 측정범주에 대한 중요도는 정부 및 공공기관에 공통의 평가기준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자체 평가결과를 상호 비교하여 보완/발전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향후 연구시 성과분류체계의 구조모형에 대한 정량적인 인과관계를 규명한다면, 범정부 PRM은 보다 객관적이고 효율적인 참조모델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