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설문조사시스템

검색결과 1,511건 처리시간 0.028초

자율운항선박 도입에 따른 선박교통관제 업무 변화에 관한 연구 (Study on Changes in Vessel Traffic Services Due to Introduction of Maritime Autonomous Surface Ships)

  • 김대원;이명기;박상원;박영수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430-436
    • /
    • 2023
  • 자율운항선박 관련 기술개발은 2010년도 중반부터 충돌회피, 항로 지정, 디지털 트윈 및 통신 기술개발 등의 주제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비교하여 자율운항선박과 연계된 물류시스템, 항만시설 및 선박교통관제 등의 육상 인프라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관심을 받지 못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자율운항선박의 등장에 따라 기존 선박교통관제 업무에 미치게 되는 영향을 분석함과 동시에 이를 대비하기 위한 관제 업무 변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현행 선박교통관제 업무를 분석하고, 동시에 자율운항선박 기술 중 선박교통관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를 파악하였다. 또한, 선박교통관제사들을 대상으로 자율운항선박 관제 관련 항목 도출을 위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이를 AHP 기법으로 분석한 결과 비상 상황 대응 및 자율운항선박과의 통신 방법에 대한 준비가 가장 중요한 것으로 도출되었다. 이를 기반으로 해상교통관제구역 내에서 데이터 통신을 기반으로 한 기본적인 자율운항선박 관제 절차 및 비상 대응 절차 등 세부 방안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 연구에서 제안하는 자율운항선박 관제 절차는 향후 자율운항선박의 연안 해상교통안전에 관한 문제점들을 해소하는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준지도 학습을 활용한 사용자 기반 소형 어선 충돌 경보 분류모델에대한 연구 (A Study on the User-Based Small Fishing Boat Collision Alarm Classification Model Using Semi-supervised Learning)

  • 석호준;심승;우정훈;조준래;정재룡;조득재;백종화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358-366
    • /
    • 2023
  • 본 연구는 해양수산부의 '지능형 해상교통정보시스템' 서비스 중 '사고취약선박 모니터링 서비스'의 선박 충돌 경보를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현재의 선박 충돌 경보는 대형 선박 위주의 데이터와 그 운항자에 기반한 설문조사 레이블을 가지고 지도 학습(SL)한 모델을 사용하고 있다. 이로 인해, 소형선박 데이터 및 운항자의 의견이 현재 충돌 지도학습 모델에 반영되지 않아, 소형선박 운항자가 느끼는 체감보다 먼 거리에서 경보가 제공되기 때문에 그 효과가 미비하다. 또한, 지도학습(SL) 방법은 레이블링 된 다수의 데이터가 필요하지만, 레이블링 과정에서 많은 자원과 시간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준지도학습(SSL)의 알고리즘인 Label Propagation과 TabNet을 사용하여 레이블이 결정되지 않은 데이터를 활용하여 소형선박을 위한 충돌 경보의 분류 모델을 연구하였다. 충돌 경보의 분류 모델을 활용하여 소형선박 운항자를 대상으로 실해역 시험을 수행한 결과 운항자의 만족도가 증가하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머신러닝 기반의 뷰티 커머스 고객 세그먼트 분류 및 활용 방안: 언택트 서비스 중심으로 (A Study of the Beauty Commerce Customer Segment Classification and Application based on Machine Learning: Focusing on Untact Service)

  • 윤상혁;최윤진;이소현;김희웅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22권4호
    • /
    • pp.75-92
    • /
    • 2020
  • 인구 및 세대 구조가 변화면서 점차 대면 관계를 꺼리는 고객의 태도 변화가 정보기술의 발달과 스마트폰의 확산으로 더욱 커지고 있다. 이는 정보기술에 익숙해진 현대 고객들의 소비패턴인 효율성 및 신속성과도 부합되는 것으로, 오프라인 망 중심의 유통회사들이 판매 및 서비스 방식을 언택트로 전환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다.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언택트 서비스가 활성화되고 있지만, 뷰티 제품의 경우 고객의 피부타입 및 상태에 따라 제품 선택이 쉽지 않으므로 비대면을 통해 제품을 추천하기가 쉽지 않다. 이와 관련하여 온라인 뷰티 분야에서 제품 추천을 위한 추천시스템 개발 및 추천 관련 연구들이 수행되었지만, 대부분이 설문조사 방법이나 소셜 데이터를 이용하여 추천 알고리즘을 개발한 연구들이었다. 즉, 고객의 피부타입이나 제품 선호도 등의 실제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세그먼트를 분류한 연구는 부족하였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뷰티 분야에서의 언택트 서비스 중의 하나인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고객 정보와 검색 로그 데이터를 기반으로 머신러닝 기법의 K-prototypes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고객 세그먼트를 새롭게 분류하고, 이를 기반으로 언택트 마케팅 전략 방안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머신러닝 기법을 이용하여 새롭게 고객 세그먼트를 분류함으로써 관련 기존 문헌의 범위를 확장하였다. 더불어, 언택트 서비스라는 새로운 소비 트렌드를 반영하여 고객 세그먼트를 분류하고, 이를 기반으로 뷰티 분야의 언택트 서비스에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했다는 실무적 의의가 있다.

프로세스 마이닝 기반 창업 프로세스 분석: ICT 서비스 창업 사례를 중심으로 (Analysis of Startup Process based on Process Mining Techniques: ICT Service Cases)

  • 박민우;문현실;김재경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21권1호
    • /
    • pp.135-152
    • /
    • 2019
  • 최근 ICT 기반 서비스 기업의 성공 사례로 다양한 창업 기업 육성 및 지원이 등장하고 있지만 정책 및 지원이 창업 초기에 몰려 있어 창업 후 안정적인 성장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는 창업 과업을 개별적인 활동으로 인식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창업 초기부터 성장 및 안정 단계에 이르기까지 창업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일련의 프로세스가 존재하고 이를 파악하는 것은 창업자의 성공적인 창업 경험을 지원하는 기반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제 창업 경험자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프로세스 마이닝 기법을 이용하여 창업 프로세스 모델을 구축하고 분석하고자 한다. 실제 ICT 서비스업 창업 사례를 기반으로 프로세스 분석한 결과, 창업자 분석, 아이디어 도출, 사업계획서 작성, 사업다각화가 전체 창업 과정에서 중요한 프로세스로 도출되었다. 반면에 마케팅 관련 활동 및 투자자금 활용 과업이 빈도는 높았지만 중요하게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는 이러한 활동들이 일회성활동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하는 과업임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분석 방법을 통해 창업 과업 간의 순차적인 흐름을 도출하고 과업 수행 간 특징을 도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별 과업 단위의 연구에서는 파악할 수 없었던 일시적 과업의 파악과 상호 보완적인 과업 활동의 파악이 가능할 것이라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프로세스 모델 및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창업자 지원 시스템을 구축하게 되면 더 많은 실제 창업 사례 분석을 통하여, 예비 창업자 또는 신규 창업자의 창업 과정에서 개인별 맞춤형 지원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창업 과정에서 발생되는, 또는 발생 가능한 여러 어려움을 극복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스마트폰 이용자의 정서적 소진과 학습 성과에 영향을 주는 인지·감성 성향과 사용 경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gnitive/Affective Personality and Experiential Factors Influencing on Smart Phone Users' Emotional Exhaustion and Education Performance)

  • 손명원;권순동;김용영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8권4호
    • /
    • pp.69-88
    • /
    • 2016
  • 최근 기업들은 스마트 기기를 활용하여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으면서 전자결재, 고객관리, 현장점검 등의 업무를 원활하게 처리하는 스마트워크를 추진하고 있다. 스마트워크에 주로 사용되고 있는 스마트폰의 경우, 언제 어디서나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혜택을 주는 반면에, 업무 영역과 사적영역을 불분명하게 만드는 문제를 야기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자기 통제력이나 감성적 요인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스마트워크 환경에서는 업무 스타일이 지시에서 자율로 전환되고, 스마트폰을 활용한 표현이 수월해 졌기 때문이다. 최근 마케팅 분야에서 인지·감성·의지 등 세가지 구성요소의 조합을 통해 인간 행동이 나타난다고 보고 소비자 행태를 분석하고 있으며, 정보시스템 분야에서도 관심을 보여 왔다. 하지만 기존 연구는 인지·감성·의지 요인을 분류하고 있지 않으며, 이 중에서 한두 가지 요인에 집중하고 있다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본 연구는 스마트폰 이용자의 인지·감성·의지 요인을 살펴보는 데 중점을 두었다. 왜냐하면 스마트워크 환경에서 업무를 수행하는 것과 스마트러닝 환경에서 학습을 수행하는 것이 유사하여, 스마트러닝 환경에서 학습 성과 영향요인 고찰을 통해 스마트워크 환경에서의 업무 성과 영향요인을 가늠해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181명의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학습 성과를 종속 요인으로 하는 설문조사에 기반을 둔 탐색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를 통해 개개인의 인지적 요인(자기 통제력)과 의지적 요인(스마트폰 커뮤니케이션 및 인터넷)을 향상시킬 수 있다면 정서적 소진을 낮추고, 학습 성과를 높일 수 있으며, 감성적 요인(심리적 분리와 감성 지능)이 향상되면 학습 성과를 높일 수 있다는 점을 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스마트러닝이나 스마트워크 환경에서 스마트기기 이용에 있어서 통제에 초점을 맞추기 보다는 적절한 사용을 장려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테크노스트레스가 사용자 저항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echnostress on User Resistance and End-User Performance)

  • 김경준;이기동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9권4호
    • /
    • pp.63-85
    • /
    • 2017
  • 최근의 정보기술은 인간이 할 수 있는 거의 모든 영역에서 적용될 만큼 눈부신 발전을 거듭하고 있지만, 직업 상실의 위협과 같은 사건들로 인하여 개인에게는 기술로 인한 지침, 압박감과 같은 테크노스트레스를 유발시키기도 한다. 이러한 테크노스트레스는 정보기술이 중심이 될 미래 사회에서 사용자의 성과나 생산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기 때문에 그 관계성에 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기술 사용자에게 발생되는 테크노스트레스가 성과에 대한 직, 간접적인 영향을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테크노스트레스의 발생절차에 대하여 문헌검토를 통해 구체화 하였으며, 사용자의 반응에 대한 유발과 개인적 결과인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하였다. 따라서 테크노 스트레스와 혁신저항 이론을 통합한 연구모형을 개발하였으며, 317명의 설문조사 응답 자료를 분석하였다. PLS 구조방정식과 매개회귀분석을 통한 분석결과 개인의 테크노스트레스 유발시키는 정보기술의 특성에는 급변성, 연결성, 신뢰성, 복잡성이 영향요인이었으며, 테크노스트레스는 혁신저항을 통해서 간접적으로만 최종 사용자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그동안 정보시스템 분야에서 제기되었던 테크노스트레스와 성과의 인과관계에 대하여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여, 학문적이고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해양수산안전 교육시설 설립을 위한 입지평가요인 도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Indicators for the Establishment of Marine Fisheries Safety Education Facilities)

  • 하신영;김보영;박성호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40-347
    • /
    • 2024
  • 본 연구는 델파이 기법 및 전문가 설문을 통해 지역별 교육인프라 격차가 심한 해양수산안전분야의 교육시설을 설립하기 전 평가해야 하는 항목과 지표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지리적요인, 사회적요인, 행정적요인에서 고려해야 하는 7개의 지표를 선정하였다. 각 지표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국가균형발전종합정보시스템', '국가통계포털' 등에 공표된 자료를 활용하여 평가할 수 있도록 평가지표를 개발하였다. 각 지표별 가중치 선정을 위해 계층분석(AHP) 방식을 적용하였으며 AHP분석 결과, 해양수산안전 교육시설 입지선정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10가지 요인은 해기사 분포, 고속·고속화철도 접근성, 5톤미만 소형선박 수, 고속도로 IC접근성, 어선세력 분포, 관련산업 밀접도, 신항만 예정지, 무역항 분포, 해양레저승선인원 수, 지자체의 토지장기무상임대 가능여부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해양수산안전교육시설의 입지평가 지표는 국가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각 지역별로 평가할 수 있는 지표로 객관적인 평가가 가능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평가지표는 해양수산안전 교육시설 뿐만아니라 다른 해양 관련 시설 설치 타당성을 검증하는 데에도 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대학생의 패션 유능감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대인관계능력과 외모 불안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Fashion Competence on Social Anxiety in College Student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Interpersonal Skills and Appearance Anxiety)

  • 이애우;이윤정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99-115
    • /
    • 2023
  • 본 연구는 대학생의 패션 유능감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대인관계능력과 외모 불안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235명의 대학생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26.0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패션 유능감의 하위 요인으로는 패션 관여도, 패션 혁신성, 패션 코디 자신감이 나타났으며, 회귀분석을 통하여 매개모형을 분석한 결과, 패션 관여도는 대인관계능력을 통해 사회불안을 간접적으로 낮추는 반면, 외모 불안의 매개효과는 없었다. 패션 혁신성은 외모 불안을 통해 사회불안에 간접 영향을 미치지만 대인관계능력의 매개효과는 없었다. 패션 코디 자신감은 대인관계능력과 외모 불안 모두를 통해 사회불안에 간접적 영향 미쳤으며, 직접 효과도 유의하였다. 이 연구는 패션 유능감이 사회불안에 대해 양면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대학생들의 사회불안 해결을 위해 패션 테라피 프로그램을 통해 패션 코디 자신감을 증진시키는 것이 유용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프로그램에서 패션 혁신성의 과도한 추구는 외모 불안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지양하여야 하며, 자신의 외모에 대한 자신감 증진에 초점을 맞춰야 할 것이다.

대학생의 전공만족도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수도권 관광전공 대학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mpact of College Students' Major Satisfaction 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Focusing on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Tourism in the Metropolitan Area-)

  • 권문호;심홍보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5호
    • /
    • pp.299-306
    • /
    • 2024
  • 본 연구는 수도권 관광전공 대학생의 전공만족도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취업준비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여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관광관련 분야를 전공하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2024년 4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250부 중 217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 1과 가설 3은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결과가 도출되었고, 가설 2는 부분 채택되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면 전공자들의 만족도 향상을 위해 교육정책과 교육프로그램 개발, 교과과정 및 수업만족도, 교과목별 맞춤형 교수법 등 대학의 경쟁력 향상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과 학생들의 본격적 취업준비행동에 앞서 전공 학생의 개인별 맞춤형 취업전략, 교수와 학생간의 취업상담 방법에 대한 개선이 필요시 된다. 특히 전공 학생들이 스스로 진로결정을 할 수 있는 교육시설과 환경, 교과과정, 교육프로그램, 교수상담 등을 통해 효율적인 취업준비 시스템 구축이 필요시 된다.

사례 분석을 통한 소규모 굴착공사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체크리스트 개발 (Development of a Checklist for Safety Accident Prevention in Small-Scale Excavation Work through Case Analysis)

  • 김병학;윤형구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40권5호
    • /
    • pp.103-111
    • /
    • 2024
  • 건설 현장의 소규모 굴착현장은 10m 미만의 굴착공사로 주로 전담 안전관리자가 없어 안전관리가 어려운 한계가 있다. 해당 연구의 목적은 소규모 굴착현장에서 작업자 스스로 안전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사고사례 기반의 체크리스트를 개발하는 것이다. 사고사례는 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Integrated Information(CSI) 시스템에서 최근 5년간 발생한 사고 데이터를 획득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사고 발생원인, 형태 및 기인물(Contributing Factors)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된 원인은 체크리스트 개별 항목과 연계될 수 있도록 고려하여 새로운 체크리스트를 개발하였으며 작업 전과 작업 중으로 구분하여 총 14개의 항목으로 구성된다. 설정된 14개 항목이 합리적으로 구성되었는지 전문가 그룹을 통한 설문 조사로 각 항목의 쌍대 비교(Pairwise comparison)를 수행하였으며, 비교 결과 모든 항목이 소규모 굴착현장 안전관리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새롭게 발생한 사고사례를 기반으로 개발된 체크리스트의 신뢰성을 검증하였으며, 모든 사고사례가 체크리스트 항목과 연계되는 것도 확인하였다. 해당 연구에서 제안한 체크리스트는 소규모 굴착현장에서 실질적이고 효과적인 사고 예방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