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설문문항개발

검색결과 550건 처리시간 0.031초

한국인 인간관계의 문화적 특성과 척도개발 - 온정적 인간관계 (Cultural characteristics of Korea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scale development - affective relationships)

  • 박윤;심형인;이숙종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0권4호
    • /
    • pp.415-441
    • /
    • 2014
  • 본 연구는 한국적 인간관계의 문화적 특성을 발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1에서는 한국인·한국사회의 특성에 관한 전문서적 21권과 한국인 인간관계의 문화적 특성에 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한국적 인간관계의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대표할 수 있는 예비문항 45개를 선별하였다. 이를 활용하여 국내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문항-총점 간상관관계를 분석하여 5개의 예비문항을 삭제하고 40개의 예비문항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6개 하위요인(32개 문항)으로 분석되었고, 측정문항의 내용타당도를 검토하는 과정에서 의미가 중복되는 문항을 통합·수정하여 총 20개로 재구성하였다. 연구2에서는 연구1에서 재구성한 20개의 예비문항을 활용하여 국내 일반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우호적 관계, 정, 조화, 관계유지중시'의 4개 하위요인을 발견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측정모형의 타당도를 검토하고 개념타당도를 검토하는 과정에서 3개의 측정문항을 삭제하여 17개 측정문항을 온정적 인간관계 척도로 확정하였다. 이후 온정적 인간관계 척도와 유사 개념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함으로써 변별타당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본 척도의 4개 하위요인을 한국의 문화적 특성 관점에서 해석하고 본 척도가 갖는 의의와 한계점을 논의하였다.

  • PDF

가임 여성의 조기진통에 대한 예방적 자가관리 지식 측정 도구 개발: 문항반응이론 적용 (Development of Preventive Self-Management Knowledge Related to Premature Labor (PSMK-PL) Scale for Women of Childbearing Age : An Item Response Theory Approach)

  • 김선희;이유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9호
    • /
    • pp.439-450
    • /
    • 2022
  • 연구 목적: 가임 여성의 조기진통에 대한 예방적 자가관리 지식(PSMK-PL) 측정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 연구절차는 1단계 개념 정의(문헌 고찰, 질적 면담), 2단계 문항개발(문항작성, 전문가 내용타당도, 가임 여성의 인지적 면담), 3단계 내용타당도와 신뢰도 검정(250명의 온라인 설문조사 자료 분석)이었다. 문항반응이론을 적용한 내용타당도는 2-모수 로지스틱 모형을 사용하였다. 내적일관성 신뢰도는 Cronbach's α (95% CI)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전문가 내용타당도 검정과 인지적 인터뷰를 통해 수정한 예비 문항 30개 중 적합도, 양류상관계수, 중요도를 고려해 6개를 삭제하였다. 최종 24문항, 하부 범주는 조기진통의 위험요인(10개), 예방적 관리(8개), 조기진통의 증상과 증상관리(6개)였다. 최종 문항 난이도(-2.18~0.90), 변별도(0.80~2.90), 내적합도(0.78~1.14), 양류상관계수(0.42~0.68)는 모두 수용할 만한 수준이었다. Cronbach's α (95% CI)는 .89(.87~.91)였다. 결론: PSMK-PL 측정도구는 가임 여성의 조기진통에 대한 예방적 자가관리지식을 측정할 수 있는 검정된 척도이다.

군자리더십측정을 위한 문항개발연구

  • 류수영
    • 한국조사연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조사연구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
    • pp.73-99
    • /
    • 2007
  • 리더의 리더십이 팀 또는 조직의 효과성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리더의 영향력을 구성원들이 수용하고 목표달성을 위해 노력하도록 구성원들을 동기부여시켜야 한다. 그런데, 리더의 영향력을 수용하고 추종하는데 구성원들간에 공유되어 있는 리더에 대한 표상에 리더가 일치하여야 한다. 이상적 리더에 대한 공유된 표상에는 그 사회문화에서 지배적인 가치규범이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가치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인식에 착안하여 한국인의 사고와 행동방식에 지대한 영향을 미쳐온 전통적인 유교적 가치에서 가정하고 있는 이상적인 인간상으로서의 군자를 현대 경영조직상황하에서 리더십의 관점에서 살펴볼 것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사서(四書)-논어, 맹자, 중용, 대학에서 제시된 군자의 성격 또는 행동적 특징들을 내용분석하여 리더십 구조를 정의내리고 이를 측정할 수 있는 설문문장을 개발하였다. 그 결과, 군자리더십은 자기계발(思學), 인간존중(忠恕), 예절중시(禮), 공정함(義), 사람 관리의 5개 요인구조를 가지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추후 연구에서는 개발된 설문문항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증하고,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군자리더십이 실제 경영조직에서 경영자의 리더십효과성을 잘 설명해주는 변별력 있는 개념인지 검증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는 서양의 보편적으로 효과적인 리더십 유형, 예를 들면, 변혁적 리더십 유형과 같은 경쟁모형의 도입을 통해 보다 더욱 생동감 있는 측정이 가능할 것이다. 아울러 유교적 가치와 현대적 가치로 대변되는 합리성에 기반한 서구의 가치가 군자리더십과 어떤 관계를 가지고 있는 지 살펴 볼 필요가 있다.

  • PDF

웰니스 휴먼케어 서비스 실증사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ubstantiation Project of Wellness Human Care Services)

  • 이상호;손창식;윤상훈;최락현;강원석;이동하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851-1854
    • /
    • 2015
  • 웰니스 휴먼케어 서비스의 제공은 최근 2010년 이후에 시작되었으며, 이에 대한 효과평가 혹은 서비스 질 평가는 거의 이뤄지지 않고 있다. 활동량계, 심전도계, 식습관 모니터링 앱 등과 같은 신체적 웰니스 측정 장치와 바이브라 이미지, 맥파/호흡 측정기, 코티졸 측정기 등과 같은 정신적 웰니스 측정 장치들이 개발되고 출시되고 있으나, 웰니스 휴먼케어 제품과 서비스 만족도 측정도구가 없어서 개발 제품과 서비스 만족도를 타당성 있게 측정할 수 있는 도구개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실증 대상자 면담과 설문 문항에 대한 관련 전문가 내용타당도 검증을 통해 웰니스 휴먼케어 제품과 서비스 만족도 설문 문항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실증사업 참여자 대상으로 시행한 조사 결과 분석을 제시한다.

라이프케어증진을 위한 체육수업 강박척도 개발과 타당화 (Scale Development and Validity on Obsessive Compulsive in Physical Education Class to Enhance Life Care)

  • 유정인;정주혁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297-306
    • /
    • 2019
  • 본 연구는 체육수업 참여 학생들을 라이프케어증진을 위한 체육수업 강박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를 개발하고 구조적 타당성을 검증하는 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절차로는 먼저 개방형 설문을 통하여 문항탐색과 적절성 평정을 실시한 후 예비판에 기초하여 확정판의 신뢰도를 분석하고, 구성개념 타당도를 점검하는 절차로 수행되었다. 예비판에 대한 요인분석을 거쳐 2차로 387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한 후 문항분석과 요인분석을 수행하여 사회적 강박(4문항), 심리적 강박(3문항), 신체적 강박(3문항)으로 총 3개 요인 10문항의 최종 확정판을 완성하였다. 확정된 척도에 대하여 성별 및 수업만족에 따른 다변량 분석을 수행하여 외적 관계검토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척도의 신뢰도는 .856에서 .907까지 높은 신뢰수준을 보였을 뿐 아니라, 타당성이 확보되어 라이프케어증진을 위한 체육수업 강박 척도로 입증되었으며, 이러한 척도를 활용하여 학교 체육현장에서 학생들의 체육수업 강박 측정을 위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컴퓨터 기반 과학 수행평가 문항 개발 : 전류계와 전압계 회로 연결 실험 (The Development of Science Item on the Computer-Based Performance Assessment: A Experiment on Constructing Circuits with an Ammeter and a Voltmeter)

  • 최혁준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7권2호
    • /
    • pp.348-358
    • /
    • 2013
  • 과학교육에서 컴퓨터는 교수 학습 뿐 아니라 평가의 목적으로도 활용되고 있다. 죽, 컴퓨터의 장점을 살린 컴퓨터 기반 평가가 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평가는 주로 과정 중심이 아닌 결과 중심의 평가이며, 피험자의 수만큼 컴퓨터가 있어야 하므로 학교의 정규 시험으로 활용하기 곤란하다. 그러나 수행평가의 경우 일반적으로 평가 과제가 미리 공개되므로 학급별 또는 학생별로 평가 시간이 다르게 평가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제 실험기구를 사용한 실험평가를 대체할 수 있는 컴퓨터 기반 수행평가 문항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물리 교사를 대상으로 과학교육에 있어 이러한 기능에 대한 평가의 필요성 및 어려운 점 등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를 반영하여 전류계와 전압계를 포함한 회로를 구성을 하는 평가 문항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컴퓨터 기반 문항은 실제의 실험기구를 사용하여 진행되는 평가와 유사하게 구성하였으며 평가 과정에서 학생들의 수행에 따라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하고, 수행 결과를 자동적으로 채점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컴퓨터가 학생들의 수행 결과의 정확성을 판단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 PDF

사회복지조직 혁신적 척도 개발 연구 - 지역사회복지관과 아동복지시설을 중심으로 - (Developing an Inventory of Organizational Innovativeness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Focusing on Community Welfare Centers and Child Welfare Institutions)

  • 신준섭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4권1호
    • /
    • pp.177-197
    • /
    • 2012
  • 본 연구는 사회복지조직의 혁신적 측정을 위한 조직혁신성 척도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척도개발을 위해 먼저 문헌분석과 전문가 조사로 조직혁신성 측정을 위한 37개의 예비문항을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이들 예비 문항에 대한 사회복지현장실무자 178명 대상의 1차 설문조사자료로 실행한 탐색적 요인분석에서는 7요인(리더십 혁신, 팀워크 혁신, 업무 혁신, 프로그램개발 혁신, 환경관리 혁신, 프로그램기술 혁신, 아이디어 혁신), 31문항을 추출하였다. 이들 7요인 구조의 적절성은 2차로 실시한 사회복지현장실무자 409명 대상의 설문조사자료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검증되었다. 또 조직혁신성 척도의 7개 하위 요인 모두는 조직혁신문화 변인과의 상관관계분석에서 정(+)의 유의한 관계로 나타나 조직혁신성 척도의 준거타당성이 확인되어 추후 연구에서 사회복지조직의 혁신적 측정에 유용한 도구로 활용되어질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 PDF

교원의 원격연수프로그램 성과측정 도구개발 (Development of a Scale for Measuring Learning Outcomes in a Distance Teacher Training Program)

  • 주영주;임규연;임유진;하영자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53-64
    • /
    • 2014
  • 본 연구는 교원 원격연수프로그램의 성과를 측정할 수 있는 요인을 탐색하고 프로그램을 평가할 수 있는 측정도구를 개발하여 양호도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원격연수프로그램 성과측정과 관련한 문헌고찰과 10명의 교원연수 및 교육공학 전문가의 검토를 거쳐 44개의 예비문항을 개발하였다. 설문의 표본은 중앙교육연수원에서 원격연수프로그램을 수강하는 교원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1차 설문에서 수집된 205명의 최종데이터를 토대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7개의 요인을 추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2차 설문에서 얻어진 293명의 응답자로부터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측정모형의 적합도 및 신뢰도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시스템품질, 콘텐츠품질, 서비스품질, 사용, 성과, 만족도, 전이로 총 7개의 요인과 34개의 문항으로 구성된 교원 원격연수프로그램의 성과 측정도구를 최종적으로 확정하였다.

  • PDF

수학 학습과 관련한 고등학생들의 긍정심리분석 및 측정도구 개발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Positive Psychology Experience Inventory in Mathematics)

  • 홍진곤;김태국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2권1호
    • /
    • pp.69-99
    • /
    • 2012
  • 본 연구는 수학 학습과 관련한 긍정적인 심리체험의 구성요소 전반에 대한 특성을 보다 포괄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신뢰도와 타당도가 높은 검사 도구를 개발하여 학생들의 강점들을 각각 측정하고, 개개인이 가지고 있는 강점에 대한 자료를 학생들에게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여러 가지 문헌연구를 통하여 수학 학습과 관련한 긍정적 심리체험의 요소들을 추출하였고, 개방형 설문조사를 통하여 문헌연구의 결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이러한 과정을 거쳐 얻어진 요소들을 이용하여 106개의 문항으로 된 1차 예비 설문지와 이를 수정 보완한 66문항의 2차 예비 설문지를 만들어 꾸준히 검사지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여, 최종적으로 65문항의 '수학 학습과 관련한 학생들의 긍정적 심리체험 검사'를 위한 측정도구를 만들었다.

  • PDF

GeoGebra 활용 문항 출제 연수를 통한 평가 문항 제작 사례 연구 (A case study of assessment items construction through the teacher's training for making up questions utilizing GeoGebra)

  • 양성현;허난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9권1호
    • /
    • pp.73-90
    • /
    • 2015
  • 교사는 도형과 그래프를 포함하는 내용 영역에 대한 평가 문항을 제작하는데 있어서 문항이 포함하는 그림이 가지는 역할을 제대로 나타낼 수 있도록 도형과 그래프를 제시해야 한다. 본 연구는 2014 수능형 문항 출제 전문성 향상 연수에 참여한 교사들이 GeoGebra를 활용하여 도형과 그래프를 작도하고, 이를 활용하여 문항을 수정하는 과정과 이 과정에서 나타난 문항 제작에 대한 사례를 제시하고 문항제작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살펴보고자 한다. 9명의 교사들은 연수 후 작성한 설문에서 GeoGebra를 활용한 문항 제작 과정을 통하여 문항 출제에 대한 자신의 한계를 극복하였고 GeoGebra가 창의적 문항 개발의 도구적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언급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교사들의 평가 문항 제작 능력 제고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