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선호주거특성

검색결과 91건 처리시간 0.025초

재택근무 희망 근로자의 재택 근무 공간 특성에 대한 선호 연구 (A Study on Office Workers' Preference for Spatial Characteristics of Home Office)

  • 신화경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2권2호
    • /
    • pp.87-95
    • /
    • 2001
  • The number of people working in their own home has been increasing, and this will change the form of hous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lan the new house for the people working at home, and to offer business related working area. This study was designed to know the office workers preference for spatial characteristics of home offic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The subject were 257 office workers living in Seoul area. Frequency, percentage, and MM2 : $\textrm{X}^2$-test were us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lace for home-office should be located independently inside house. The desirable size for the home-office might be 3-4 pyung. If the place for home-office share with other places, livingroom of bedroom, it is necessary to develop furniture and partition matching with residential furniture and atmosphere. Office workers prefer U-shaped workstation and coner-shaped workstation.

  • PDF

주거용 부동산 개발을 위한 투자자 관점에 따른 의사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vestment Determinants for Residential Real Estate Development by Investor Perspectives)

  • 권재홍;이재원;이상엽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1권5호
    • /
    • pp.29-37
    • /
    • 2020
  • 본 연구는 주거용 부동산의 투자의사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분석을 위해, 주거용 부동산 관련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AHP와 퍼지이론을 활용한 설문분석을 통해 투자자의 관점에 따른 요인의 중요도 차이 및 우선순위를 비교 및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전체적으로 임대료, 수익성, 교통 접근성, 상권 및 인프라, 금융규제 등이 중요하며, 전문가그룹별로는 금융·여신 그룹은 수익성. 임대료, 교통 접근성, 공급물량과 세제 혜택을, 건설·개발 그룹은 교통 접근성, 임대료, 직주 접근성, 수익성과 상권 및 인프라를, 감정·평가 그룹은 임대료, 수익성, 교통접근성, 금융규제와 공급물량을 가장 중요한 투자의사결정 요인으로 도출하여 업무와 연관성이 있는 선호특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부동산 투자특성에 있어 가격특성과 경제특성, 즉 재무적 관점에 가장 중점을 두고 있으며, 부동산특성 내 입지특성으로 교통 접근성과 상권 및 인프라 등 편의성을 중요하게 여고 있으며, 적극적인 부동산 투자확대를 위해서 시장의 금융규제 완화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항목별 전문가그룹의 다양한 관점을 고려하여 주거용 부동산을 개발하는 사업자의 사업 타당성 분석과 수요자가 되는 일반 투자자들의 합리적인 의사결정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교육환경이 주거용 오피스텔의 가격에 미치는 영향 : 서울 전월세거래를 바탕으로 (Effects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n Studio Apartment Prices : Focusing on Deposit and Monthly Rental Rates in Seoul)

  • 이재원;배상영;이상엽
    • 부동산연구
    • /
    • 제28권3호
    • /
    • pp.65-77
    • /
    • 2018
  • 2010년 이후 분양되는 오피스텔은 관련법령 개정에 따라서 주거공간으로 활용이 되며 교육환경 면에서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지역의 주택에 대한 대체재로 역할을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주택의 가격형성 요인 중 하나인 교육환경이 주거공간으로 할용이 되는 오피스텔의 전월세 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2015, 2016년에 거래된 서울시 소재 오피스텔을 분석대상으로 하고 오피스텔에서 가장 가까운 중 고등학교의 전국단위 학업성취도 평가와 특목 자율고 진학률을 주요 독립변수로 가지는 분석모형을 헤도닉가격모형과 인공신경망기법을 통해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교육환경 관련 변수의 값이 증가할수록 전월세 가격에 정의 영향을, 학교와의 거리는 멀어질수록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른 독립변수 또한 주택 관련 연구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이 연구는 오피스텔이 업무용보다는 주거용 부동산 성격으로 변하고 있으며, 이를 주택가격에 내재된 특성 중 하나인 교육환경을 통해 분석하였다는데 의의를 가진다.

CG를 이용한 실내공간 조명연출효과의 예측- 건축화 조명을 중심으로 - (The Prediction of the Interior Luminous Effect using Computer Graphic Method)

  • 홍승대
    • 디자인학연구
    • /
    • 제14권1호
    • /
    • pp.135-144
    • /
    • 2001
  • 과반수 이상의 국민이 살게 된 아파트 환경은 거주자의 요구 특성이 충분히 반영되지 못한 상황에서 물량공급적 측면만이 강조되어 왔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조만간 주택보급률이 100%에 육박할 것으로 전망되고 전반적인 생활수준의 향상과 함께 수요자의 다양한 거주 환경에 대한 욕구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거주자의 욕구 특성을 파악하고 현 거주 환경에 대한 만족도 및 선호경향의 변화를 분석해 보는 것은 거주자의 주요구를 파악할 수 있는 지표로서 바람직한 주거환경 창조를 위한 필수 선행과제이다. 본 연구는 설문조사를 통해 아파트 거주자들을 중심으로 아파트 주거환경에 대한 만족도 및 선호도를 조사 분석함으로써 거주자 요구충족을 중심으로 한 아파트 공간계획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수도권 실버타운의 공간적 분포와 이용자 인식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Silver Towns and Their Residents' Recognition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 이영민;송정아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42-258
    • /
    • 2015
  • 본 연구는 수도권 실버타운의 공간적 분포 특성을 살펴보았고, 수도권 실버타운에 거주하고 있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여 실버타운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았다. 최근에는 가족과의 교류가 용이하며, 의료시설과 접근성이 좋은 도심이나 도시 근교 지역을 선호하는 노인들이 증가함에 따라 수도권에 실버타운이 집중 분포하고 있다. 이들 시설은 주로 서울의 북쪽과 경부 고속도로를 축으로 한 경기도의 남쪽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이용자들이 실버타운을 선택할 때 시설의 위치와 접근성이 중요하게 작용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실버타운에서 노인들은 가사 노동에서 해방되어 의미 있는 일을 하면서 여생을 보낼 수 있고, 사회적 계층이 유사한 사람들과 원만하게 교류하며 긍정적인 자아정체감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80세 이상의 이용자들은 실버타운을 집으로 인식하고 뿌리내림하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반면에 60~70대의 비교적 젊은 노인들은 실버타운에 입소하여 자신만의 고유한 특성이나 자기결정권이 제한되는 것에 불편을 느끼고 다른 주거 공간으로 이주하는 것을 고려하기도 하였다.

  • PDF

만성정신질환자의 자립 및 주거 서비스에 대한 요구도 조사 (A Study on Self-reliance and Residential Service Needs of Patients with Chronic Mental Illness)

  • 전현주;허유정;고영훈;이재헌
    • 정신신체의학
    • /
    • 제26권2호
    • /
    • pp.145-151
    • /
    • 2018
  • 연구목적 만성정신질환자들의 회복 및 사회적 복귀를 돕기 위해 주거시설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지만, 집단적인 보호방식 및 획일화된 훈련 등으로 인해 문제가 되고 있다. 이에 주거훈련시설에 대한 연구 참여자들의 기대 및 욕구를 알아보기 위해 조사 연구가 이루어졌다. 방 법 안산 지역 내 정신보건 기관을 이용하는 만성정신질환자 139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인구사회적 특성, 자립의지, 원하는 주거 시설 형태 및 주거 서비스에 대해 조사하였다. 결 과 과반수이상이 자립에 대한 욕구를 보였으며, 이를 위해 일자리 지원을 가장 필요로 했다. 주거 시설 이용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으며, 일상생활 및 사회기술 훈련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시설형태는 주간재활방식을 선호했고, 주중에는 공동생활을 하다가 주말에는 집으로 귀가하는 운영방식을 원했다. 결 론 주거훈련시설 참여와 관련하여 실제 이용자들의 욕구가 실질적인 치료 및 재활프로그램에 반영될 수 있도록, 주거훈련시설 및 재활서비스의 개선이 필요하겠다.

노인의 특성과 인지연령에 따른 주거공간의 인테리어 스타일에 대한 선호 차이 - 침실과 거실공간을 중심으로 - (Preference Difference for Interior Style of Residential Space Depending on the Elderly' Characteristics and Cognitive Ages - Focused on Bedroom and Living room -)

  • 오찬옥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5권1호
    • /
    • pp.56-64
    • /
    • 2016
  • Housing for the elderly should be planned on the base of elder's needs and preferences as well as their physical, emotional, and socio-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examined the interior style of bedroom and living room the elderly preferred and these preference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ir characteristics and cognitive ages, or not. This study was carried out by face to face interview with a questionnaire and 6 colored printed 3D images. The subjects were 202 old aged who lives in Busan. The interior style of bedroom and living room were classified into 3 styles; Korean traditional style, Western classical style, and modern style. The subjects made a choice their preferred interior style among three 3D images per each room and answered the reasons. Also, they answered their cognitive ages and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ir preferences for the layout of living room-dining room-kitchen, use pattern, floor finishes, and furniture of bedroom and living roo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subjects preferred bed in bedroom and sofa in living room. Also, they wanted to finish the floor of bedroom and living room by using synthetic material, traditional floor paper, and wood. 2) The elderly preferred Western classical style of bedroom. The reasons were general mood such as warm, comfort, or bright, and the color. 3) These preferred styles were not an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and cognitive ages. 4) They preferred Korean traditional style, Western classical style, and modern style, in order. They preferred them for their general mood and window. 5) Their preferred styl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housing types and cognitive ages.

주생활양식 유형별 소형아파트 LDK 선호특성 분석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Residents' Preferences on LDK at Small-sized Apartment according to Lifestyle Types by Housing)

  • 모정현;강순주;권오정;최정민;김수진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4권4호
    • /
    • pp.83-96
    • /
    • 2013
  • With the recent increase in the number of one- and two-person households, demand for small-sized apartments has been on the rise, and lifestyles have seen swift changes to cater to smaller-sized housing. The construction market is shifting toward small-sized apartments, and research is now needed on the lifestyles of those living in small-sized apartments in order to develop suitable housing unit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duce a planning concept for housing units by lifestyle, categorizing residents based on lifestyle and identifying their LDK preferences. Regarding methodology, prior research was reviewed to validate housing-related lifestyle factors and study the lifestyles of those living in small-sized apartments. Lifestyle categories based on housing type were determined by a cluster analysis, and LDK preferences for each lifestyle were analyzed through a survey. These data were then used to propose a planning concept with small-sized apartments for each lifestyle type. Thirty-two factors for categorizing lifestyles were obtained by studying three domains of housing-related lifestyle factors: 'housing values', 'attitudes toward living space', and 'behavior in living space; A total of 648 people living in small-sized apartmen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lifestyle groups: 'True Family Benefiters', 'Smart Shopaholics', and 'Slow Heritage Pursuers'. 'Each group's lifestyle characteristics and socio-demographic features were used to classify the lifestyles of those living in small-sized apartments. The LDK preferences for each lifestyle were analyzed to design a planning concept for small-sized apartment.

고층아파트 지붕형태의 변천과 선호특성에 관한 연구 - 광주광역시의 고층아파트를 중심으로 - (A Study on Changes and Preferences of Roof Styles of High-storied Apartments - Centering of High-storied Apartments in GwangJu -)

  • 오금열;김인호;김윤학;이봉수;조용준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9권3호
    • /
    • pp.105-115
    • /
    • 2008
  • This study examines and analyzes a variety of apartment roof style for 147 apartment complexes built in the Gwangju metropolitan city in order to determine the style that is most preferr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Most of apartment houses built in the Gwangju metropolitan city are 11 to 15 stories followed by apartments that have less than 5 stories, with fewer apartments that have 16 to 20 stories. According to roof styles, the eyebrow roof A type is the most common, followed by the plane roof A type, the sloped roof B type and the sloped roof C type, while 2/3 of all roof types have either an eyebrow roof A type or a plane roof A type. Using images of these roof types to determine those that are preferred, the decorative roof C type is most preferred, followed by the sloped roof B and C types. According to recognition of adjective pairs, decorative roof C type showed a higher recognition for the categories of unique, decorative, three dimensional and novel, the sloped roof B type showed a higher recognition for the categories of three dimensional, decorative and structured while the sloped roof C type showed a higher recognition in the decorative, novel, varied and three dimensional categories. In the correlations between image preference and recognition scale of roof styles of apartment houses, decorative roof C type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djective pairs with the calm image, the sloped roof B type with the intimate image, while the sloped roof C type showed a correlation between static and ordered with the easy image. Therefore, for the design of future apartment roofs, decorative roof C type requires more consideration of visual aspects that are related to a sense of unity, while further morphological factors needs to be adopted with sloped roof B and C types.

사회적 관계 유형별 임대주택 서비스 선호특성 분석 (Analysis on the Rental Housing Service Preferences according to Social Relationship)

  • 정수진;한정원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7권6호
    • /
    • pp.113-124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rental housing management and service preference according to social relationship types. The data for the analysis was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 survey method from 12th, April to 4th, May, 2016 and 565 data were finally used.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PSS WIN 18.0.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six factors on social relations of subjects are made up as 'interpersonal stress of the relationship', 'new relationship', 'neighbor relations', 'online relationship', 'family relations', and 'friendship'. 2) Along with this result, cluster analysis was carried out, and four social relation types are classified and named as the 'extroverted relationship type', 'passive relationship type', 'active relationship type' and 'introverted relationship type'. 3) Rental housing management and service was examined separately as 'housing management system', 'housing services', and 'community facilities'. Differences in preference were identified by type of social relationship. Housing services and community facilitie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lmost all items. In the housing management system, most of the item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social relationship typ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