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실버타운의 공간적 분포와 이용자 인식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Silver Towns and Their Residents' Recognition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 이영민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교육과) ;
  • 송정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사회과교육학과 지리교육전공)
  • Lee, Youngmin (Department of Social Studies, Ewha Womans University) ;
  • Song, Jung-a (Major of Geography, Ewha Womans University)
  • 투고 : 2015.03.29
  • 심사 : 2015.05.07
  • 발행 : 2015.05.31

초록

본 연구는 수도권 실버타운의 공간적 분포 특성을 살펴보았고, 수도권 실버타운에 거주하고 있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여 실버타운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았다. 최근에는 가족과의 교류가 용이하며, 의료시설과 접근성이 좋은 도심이나 도시 근교 지역을 선호하는 노인들이 증가함에 따라 수도권에 실버타운이 집중 분포하고 있다. 이들 시설은 주로 서울의 북쪽과 경부 고속도로를 축으로 한 경기도의 남쪽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이용자들이 실버타운을 선택할 때 시설의 위치와 접근성이 중요하게 작용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실버타운에서 노인들은 가사 노동에서 해방되어 의미 있는 일을 하면서 여생을 보낼 수 있고, 사회적 계층이 유사한 사람들과 원만하게 교류하며 긍정적인 자아정체감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80세 이상의 이용자들은 실버타운을 집으로 인식하고 뿌리내림하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반면에 60~70대의 비교적 젊은 노인들은 실버타운에 입소하여 자신만의 고유한 특성이나 자기결정권이 제한되는 것에 불편을 느끼고 다른 주거 공간으로 이주하는 것을 고려하기도 하였다.

This study discusses spatial distribution of the silver town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investigates how the residents recognize their silver towns through in-depth interviews. Nowadays there are many elders who prefer to live in urban downtown or suburb areas which can be connected with the places of their pre-retirement lives. Therefore, the silver town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have been increasing. The facilities are mainly located in northern part of Seoul and southern part of Gyeonggi province near the network of major express roads. Location and accessibility are more important than any other factors when the elderly contemplate moving into silver town. Silver town residents are likely to have meaningful times and positive identities by communicating with friends there. The elders aged 80 years or older living in silver towns think the silver towns as their home while 'young old' people complain their limited rights of decision making and they consider additional mov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