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선충기생율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5초

뽕밭의 식물기생선충 종류 및 분포조사 (Survey for Plant Parasitic Nematodes in Mulberry Fields)

  • 백현준;한상찬;김영택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48-52
    • /
    • 1987
  • 뽕밭의 식물기생선충의 종류, 분포 및 기생선충 밀도에 따른 피해정도를 알고자 전국의 929개 뽕밭에서 채취한 토양을 이용 깔데기 법으로 조사하였다. 1. 14속의 기생선충이 검출되었고 이들 중 주요 뽕나무 기생선충은 Paratylenchus aciculus, P. projectus, P. morius, Helicotylenchus dihystera, Meloidogyne arenaria 이었다. 2. 검출빈도가 높은 선충은 Paratylenchus속 Tylenchorhynchus속, Aphelenchus속, Helicotylencus속 및 Meloidogyne속이었다. 3. 주요 뽕나무 기생선충의 지역적 분포를 보면 Meloidogyne속은 주로 태백산맥 서부지역에 분포하고 전북, 강원, 경기, 전남순으로 검출율이 높았고 Helicotylenchus속은 충북과 충남의 검출율이 타도에 비하여 월등히 낮았고 경남, 경기는 높았다. Xiphinema속은 강원, 충남, 경북에서는 검출되지 않았고 주로 남부지역에서 검출율이 높았으며 Paratylenchus속은 경기, 경북, 경남, 전북의 검출율이 높았다. 4. 침선충의 접종밀도가 높을수록 뽕나무의 생육이 불량하였다.

  • PDF

소나무뿔나무좀(Orthotomicus angulatus) (딱정벌레목 : 나무좀과)에서 발견된 천적선충 신종과 기생율 (Parasitylenchus orthotomici sp. n. (Tylenchida: Allantonematidae) from Orthotomicus angulatus (Coleoptera: Scolytidae), with Note on Parasitism)

  • 추호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3
    • /
    • 1989
  • 나무좀인 Orthotomicus angulatus에서 천적기생선충인 Parasitylenchus orthotomici가 신종으로 기술되었으며, 적송에서 채집된 170마리의 표본에서 51.8%가 선충에 기생되어 있었다. 한 마리의 나무좀에서 발견된 선충수는 1~97마리였다. {TEX}$F_{1}${/TEX}세대의 기생율도 43.2%~52%로 높았으며 양지쪽과 음지쪽의 서식나무간좀에는 기생율에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 PDF

약용작물거생선충에 관한 연구 (Nematodes Associated with Medicinal herbs)

  • 박소득;추연대;정기채;박선도;최대웅;최영열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96-415
    • /
    • 1992
  • 약용작물에 대한 기생선충의 분포상황 및 선충에 의한 약용작물의 피해상황, 작부체계에 따른 선충의 기생정도 등을 구명하기 위하여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기생식물별 선충기생상황은 작약의 25개 작물중에서 총 10과 15속 25종의 식물기생선충이 검출되었으며, 가장 밀도가 높은 것은 Meloidogyne hapla였고, 다음이 Tylenchus sp., Ditylenchus dipsaci., Aphelenchoides sp., Tylenchorhynchus claytoni등의 순으로 많이 검출되었는데, 바이러스 매개충인 Xiphinema sp. 과 Trichodorus sp. 도 검출되어 바이러스 감염도 우려되었다. 선충 기생에 의한 피해조사에서 작약, 방풍, 백지, 내궁, 인상, 당귀, 시호가 Meloidogyne hapla, M. incognita에 의해 심하게 기생당하였으며, 포장감염율은 54.5~88%였고 재배년수가 경과 할수록 선충기생에 의한 뿌리혹(Gall), 난낭(Egg mass), 유충(2nd larvae)의 밀도가 높았는데, 지하부 뿌리의 분지수는 뿌리혹선충의 기생이 많을 수록 높았다. 뿌리혹선충 기생에 의한 약용작물별 감수율을 조사한 결과 건전주의 근중에 비해 당귀에서는 57.8, 작약은 49.1, 시호는 27.9%의 감수율을 보였으며, 피해도는 23.2~88%로 작물별 차이가 컸고, 감염된 포장에서는 피해가 컸으며, 뿌리혹선충 유충의 밀도는 토양 300g당 50~1890마리로 밀도 범위가 컸다. 작약포장에서 작부체계에 따른 선충증식정도를 조사한 결과 논포장에서 벼재배후 작약재배나, 밭에서 참깨재배후 작약재배한 것이 고추나 작약연속 재배한 포장보다 선충의 밀도가 훨씬 낮았다.

  • PDF

국내 콩 기생성선충의 중요도 등급 (Plant Parasitic Nematodes in Soybean in Korea and Their Importance Rating)

  • 김동근;최인수;류영현;허창석;이윤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327-333
    • /
    • 2013
  • 전국의 콩밭에서 274점의 토양을 채집하여 식물기생성 선충의 종류와 밀도를 조사하였다. 콩씨스트선충은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의 모든 토양에서 발견되었으며 검출율은 38%(25-51%)였고 씨스트 밀도는 토양 $300cm^3$ 당 평균 46개(1-500)로 중요도 1등급으로 분류하였다. 뿌리혹선충(Meloidogyne spp.)의 검출율은 약 13%였는데, 경남, 전남, 제주 등 남부지역에서 높은 검출율(16-44%)을 보여 중요도 2등급으로 분류하였다. 내부기생성 선충인 뿌리썩이선충(Pratylenchus spp.)은 경기, 강원 등 북부지역에서 검출율(10-13%)이 높아지는 경향으로 중요도 3등급으로 분류하였다. 나선선충류인 Helicotylenchus는 특히 제주에서 검출율과 밀도가 높았는데(62%, 토양 $300cm^3$당 평균 571마리), 제주도는 국내 나물콩의 주산지로 앞으로 나선선충이 나물콩에 피해를 주기 않을까 우려되며 중요도 4등급으로 분류하였다. 위축선충류인 Tylenchorhynchus, 침선충류인 Paratylenchus, 주름선충류인 Criconema, Criconemoide, Mesocriconema, Ogma, 검선충류인 Xiphinema, 궁침선충류인 Paratrichodorus, Trichodorus 등은 국내 콩밭에서는 밀도와 검출율이 낮음으로 중요도 5등급으로 분류하였다. 다음의 선충들은 콩에 대한 피해가 확인되지 않았음으로 콩 기생성선충 목록에서 제외하고자 한다.; 식이성이 토양 조균류인 Tylenchus, Aphelenchus, 잎선충류의 Aphelenchoides, 줄기구근선충인 Ditylenchus, 벼뿌리선충, Hirschmanniella immamuri, 그 외 꼬리주름선충 Basiria graminophila, 곤봉선충류인 Psilenchus, Pseudhalenchus 등은 콩밭에서 드물게 발견이 되고 콩에 대한 피해는 알려져 있지 않음으로 콩 기생성선충 목록에서 제외하였다. 창선충 Hoplolaimus tylenchiformis는 콩에 상당한 피해를 끼치는 선충이나 표본미확인 상태임으로 콩 기생성선충 목록에서 제외하였다. 지금까지 국내 콩밭에서 총 26속 41종의 식물기생성선충이 보고되었는데, 이번 연구에서 선충 종류별 콩에 대한 중요도를 검토하고 우리나라 콩 식물기생성선충을 16속 30종으로 정리하였다. 국내 주요 콩 기생선충의 중요 우선순위는 1) 콩씨스트선충, 2) 뿌리혹선충, 3) 뿌리썩이선충으로 생각되며 4) 제주지역의 나물콩은 나선선충의 피해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한국에 있어서 임목에 기생하는 선충조사 I. 묘목기생선충에 관한 연구 (Nematodes Associated with Forest with Forest Trees in Korea I. Studies on Nematodes Associated with Saplings)

  • 최영렬;조명래;문일성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50-68
    • /
    • 1992
  • 전국 8개도 림업시험양의 묘포장을 대상으로 묘목기생 선충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총119수종에서 2목 11화 20속 35종의 선충이 검출되었으며 이중에 Xiphinema insigne는 우리나라 미기록종으로 Geaeenamus n. sp. 는 신종으로 발견되었다.. 묘포장에서 선충검출율을 보면 남부임시묘포장에서만 Tiiehodorus sp.의 검출율이 71.4%로 Tylenehorhynehus claytoni의 57.1%보다 약간 높게 나타난 것을 제외하고는 T. claytoni의 검출률이 각 포장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밀도 또한 매우 높았으므로 묘목에 기생하는 선충 중 하?점종임이 밝혀졌다. 각 모포장별 T. claytoni의 검출율은 충남임시묘포장에서는 15종의 묘목에서 전부 검출되어 100 %의 검출율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강원 87.5%, 경북 66.6%, 전북 58.3%, 충북 4 48.1%, 경의 41.3%, 전남 40% 등의 순이었다. 주요 기생선충별 검출율을 보면 전북림시에 서는 Crieonemella morgensis가 검출율이 37.5%이고 밀도가 매우 높았으며, 전남림시에서는 Helicotylenehus digonicus 의 검출율이 35%이고 밀도가 매우 높았고, 충남림시에서는 Pararotylenehus pini 의 검출율이 37%로 밀도가 높았고, 경의림시에서는 Tylenehorhynehus nudus와 Crieonemella infarmis의 검출율이 각각 37.9, 27.5%로 밀도가 높았고, 강원림시에서 는 Meloidogyne sp.의 검출율이 12.5로 밀도가 매우 높았다.

  • PDF

경제작물(經濟作物) 주산단지(主産團地) 선충 발생상황(發生狀況) 조사(調査) (Survey of Plant Parasitic Nematodes on Economic Crops)

  • 조현제;한상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75-182
    • /
    • 1986
  • 경제작물(經濟作物) 주산지(主産團地)의 식물기생선충 종류(種類), 분포상태(分布狀態) 및 기생선충 밀도(密度)에 따른 피해정도(被害程度)를 파악(把握)코자 채 및 깔데기법(法)으로 마늘, 감자 등 18개(個) 작물(作物) 3,226포장(圃場)을 조사(調査)하여 1. 16속(屬)(genus)의 기생선충을 분류(分類)하였음. 2. 마늘의 구근선충은 포장검출율(圃場檢出率)이 81% 이며 이중 마늘 1구당(球當) 30마리 이상의 선충이 검출(檢出)된 포장(圃場)은 96%로 이러한 포장에서는 피해(被害)가 예상(豫想)됨. 3. 고추, 오이, 토마토, 땅콩에는 뿌리혹선충이 주요(主要) 기생선충이며, 포장검출율(圃場檢出率)이 높을 뿐더러 선충밀도가 토양(土壤) 100gr당(當) 100마리 이상되는 포장(圃場)이 각각 35%, 17%, 28%, 31%로 이러한 지역(地域)은 피해(被害)가 예상(豫想)됨. 4. 고추에 있어서는 Meloidogyne hapla, M. incognita가, 참깨에서는 Helicotylenchus dihystera, 사과에는 Pratylenchus vulnus, P. penetrans, 포도에서는 Meloidogyne hapla, 뽕나무에서는 Paratytylenchus projectus, P. aciculus, P. morius, Meloidogyne arenaria, Helicotylenchus dihystera 가 각각 주요(主要) 선충이었다. 5. 고추의 경작년수(耕作年數)가 많을수록 뿌리혹선충의 밀도(密度)가 높았으며 5년(年) 연작시(連作時) 토양(土壤) 200gr당(當) 3,500마리나 되었다.

  • PDF

더덕(Codonopsis lanceolata) 재배지 기생선충의 발생상황 (Studies on Plant Parasitic Nematodes in the Fields of Codonopsis lanceolata)

  • 정도철;한상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00-206
    • /
    • 2003
  • 더덕 (Codonopsis lanceolata) 재배지에서 발생 빈도와 서식 밀도가 높은 식물기생선충을 파악하기 위하여 3개도 34개 지역 더덕 포장에서 조사한 결과 검출된 식물기생선충은 Meloidogyne(뿌리 혹선충), Pratylenchus(뿌리썩이선충)등 10개 속(genus)이었는데, 그 중 뿌리혹선충은 97%의 포장에서 검출되었고, 검출된 평균 선충수도 1,700마리/토양 300$m\ell$ 이상으로 대단히 높았다. 또 논 토양보다는 밭 토양에서 검출율이 높았고, 평균 밀도도 2,450마리로 10배정도 많았다.

Mermithid 선충을 이용한 벼멸구의 생물적방제 (Biological Control of the Brown Planthopper by a Mermithid Nematode)

  • 추호열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07-215
    • /
    • 1994
  • 벼멸구(Nilaparvata lugens)는 아시아의 중요한 벼해충이다. 현재의 방제법은 주로 살충제와 저항성 품종에 의존하고 있다. 한국에서의 가장 중요한 생물적 방제인자는 자연 발생하고 있는 mermithid선충의 한종인 Agamermis unka로 생각된다. 벼멸구에의 기생율이 비록 장소와 해에 따라 변이가 높다하더라도 Mermithid 선충은 기주의 생식력을 감소할 뿐만아니라결과적으로 기주티사를 가져오기 때문에 전망이 밝은 생물적 방제인자이다. Mermithid 선충은 벼멸구가 년 3~4년세대를 경과하는데 비하여년 1세대를 나나 Mermithid선충 암컷은 일시에 산란을 하지 않기 때문에 전세대의 많은 벼멸구가 기생된다. 본 Mermithid선충은 완전기생충으로 대량생산 기술이 아직 개발되지 않아 개체군 억제를위한 증대법을 단지 제한적인 범위에서 가능하다. 그러나 재배적 방법이나 저항성 품종의 이용, 살충제와의 혼용을 통한 자연발생 선충 개체군을 보존함으로서 효과적인 벼멸구의 종합방제를 이룰 수 있다.

  • PDF

당근뿌리혹선충에 대한 작약계통의 저항성 검정 (Resistance to Northern Root-knot Nematode, Meloidogyne hapla, in Peony Strains)

  • 박소득;김재철
    • 한국토양동물학회지
    • /
    • 제6권1_2호
    • /
    • pp.33-36
    • /
    • 2001
  • 작약계통에 대한 당근뿌리혹선충의 저항성검정에서, 의성작약, 태백작약 도서종, EP368, EP512는 효충의 밀도가 토양 300m1당 121-173마리로 높았으며 사벌종, 웅수종, 김천종, Pl23에서는 21-60마리로 타계통 보다 기생밀도가 낮았다. 공신된 계통별 작약 뿌리의 부패정도는 용수종, 김천종에서 경징하였으며, 선충의 기생이 많았던 의성작약, 태백작약 Ep368, Ep512는 선충의 기생밀도도 높았으며 뿌리 부패율이 아주 높았다. 작약계통별 당근뿌리혹선충에 대한 저항성정도를 보면 의성작약, 태백작약 용수종, 도서종, EP368, EP512는 난낭의 형성이 많아 당근뿌리혹선충에 감수성이였고, 사벌종과 김천종, Pl23, EP337, EP425는 난낭형성이 매우 낮아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 PDF

제주도의 식물기생성 선충에 관하여 (A Study on the Plant Parasitic Nematodes (Tylenchida) in JeJu Province)

  • 추호열;최영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69-175
    • /
    • 1979
  • 제주도내 제주시를 비롯한 각 읍 면에서 28종의 기생식물, 42개 재료를 채취하여 식물기생성 선충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제주도의 식물기생성선충으로는 2아목 10과 16속 22종이 발견되었으며 속별분포율을 보던 Meloidogyne가 $25\%$로 가장 높은 분포율을 나타내었고 다음이 Helicotylenchus로 $15\%$이었으며 Criconemoides $14\%$, Tylenchus $10\%$, Pratylenchus $6\%$, Neolobocriconema $6\%$, Aphelenchus $6\%$, Aphelenchoides $6\%$, Hirshmaniella $3\%$, Heterodera $3\%$, Nothotylenchus $1\%$, Tylenchorhynchus $1\%$, Merlinius $1\%$, Rotylenchus $1\%$, Discocriconemella $1\%$, Hernicriconenoides $1\%$로 나타났다. 2. 제주도에서 새로 발견된 종은 Nothotylenchus acris, Tylenchorynchus dubius, Merzinius nothus, Pratylenchus minyus. Pratylenchus thornei. Hirshmaniella inmamuri, Rotylenchus robustus, Helicotylenchu erythrinae, Meloidogyne arenaria, Discocriconemella hengsungica, Aphelenchoides besseyi 등으로 2아목 7과 11종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