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rvey for Plant Parasitic Nematodes in Mulberry Fields

뽕밭의 식물기생선충 종류 및 분포조사

  • Published : 1987.05.01

Abstract

The fauna and the distribution of plant parasitic namatodes were investigated by smapling about five hundred grams of soil around roots of mulberry trees from 929 mulberry fields in Korea. Of fourteen genera detected on mulberry fields, Paratylenchus aciculus, P. projectus, P. morius, Helicotylenchus dihystera, Meloidogyne arenaria were found to be parasitic to mulberry. Among them Paratylenchus species were the most abundant in mulberry fields, but Tylenchorhynchus sp., Aphelenchus sp., Helicotylenchus sp., and Meloidogyne sp. were also observed in high frequency. Meloidogyne species were observed in high frequency in Jeonbuk, Gyeonggi and Jeonnam, Helicotylenchus sp., in Gyeongnam and Gyeonggi, Xiphinema sp., in Jeonbuk and Jeonnam, and Paratylenchus sp., in Gyeonggi, Gyeongbuk, Gyeongnam, and Jeonnam. The growth of mulberry was poor as the increase of density of Paratylenchus sp.

뽕밭의 식물기생선충의 종류, 분포 및 기생선충 밀도에 따른 피해정도를 알고자 전국의 929개 뽕밭에서 채취한 토양을 이용 깔데기 법으로 조사하였다. 1. 14속의 기생선충이 검출되었고 이들 중 주요 뽕나무 기생선충은 Paratylenchus aciculus, P. projectus, P. morius, Helicotylenchus dihystera, Meloidogyne arenaria 이었다. 2. 검출빈도가 높은 선충은 Paratylenchus속 Tylenchorhynchus속, Aphelenchus속, Helicotylencus속 및 Meloidogyne속이었다. 3. 주요 뽕나무 기생선충의 지역적 분포를 보면 Meloidogyne속은 주로 태백산맥 서부지역에 분포하고 전북, 강원, 경기, 전남순으로 검출율이 높았고 Helicotylenchus속은 충북과 충남의 검출율이 타도에 비하여 월등히 낮았고 경남, 경기는 높았다. Xiphinema속은 강원, 충남, 경북에서는 검출되지 않았고 주로 남부지역에서 검출율이 높았으며 Paratylenchus속은 경기, 경북, 경남, 전북의 검출율이 높았다. 4. 침선충의 접종밀도가 높을수록 뽕나무의 생육이 불량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