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선원직업의식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9초

선원직업의식이 자기효능감과 집단응집성 그리고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 박은상;황추용;신용존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38-140
    • /
    • 2018
  • 이 연구는 선원 개인이 지각하는 직업의식 수준이 자기 효능감과 조직몰입도 및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선박 조직 단위로 승선하고 있는 선원의 직업의식 수준이 선박조직의 집단 응집성과 구성원의 조직몰입도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연구하였다.

  • PDF

선원 개인적 특성과 승선근무 특성에 따른 선원직업의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fessional Consciousness of Crew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Demography and On-board Working)

  • 신용주;임성주;나달라 수하;신용존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299-310
    • /
    • 2018
  • 이 연구는 선원의 개인적 특성(연령, 결혼여부, 국적)과 승선 경력(총승선기간, 현회사 승선기간, 선내 근무부서와 직급), 승선근무 보상(선원 복지후생만족도), 승선근무 내성(이가정성 및 이사회성) 그리고 외국인 선원과의 혼승 문제(이문화 수용 및 적응) 등의 승선근무 특성들에 따라 선원직업의식 수준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선원의 연령이 높을수록, 기혼집단보다 미혼집단에서, 국적은 필리핀, 인도네시아, 미얀마, 중국, 한국 순으로 직업의식 수준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내 직급에서는 외국인 선원의 직장급 부원의 직업의식이 원직급 부원과 수직급 부원 그리고 3항 기사 직급보다 높게 나타났다. 승선근무 특성에서는 복지후생만족도가 높아지면 선원직업의식이 높아지며, 이가정성과 이사회성은 선원직업의식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인 선원과의 혼승에 따른 이문화 수용성은 선원직업의식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이문화 적응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선원들이 자신의 직업에 대한 매력과 자부심 및 긍지를 가지고 승선근무를 지속할 수 있도록 하는 선원직업의식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선원직업의식의 제고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선원 개인적 특성과 승선근무 및 혼승 특성에 따른 선원직업의식에 관한 연구

  • 신용주;임성주;신용존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41-143
    • /
    • 2018
  • 이 연구는 선원의 연령과 결혼여부 및 국적 등의 개인적 특성과 총승선기간, 현회사 승선기간, 선내 근무부서와 직급 등의 승선경력과 승선근무에 대한 보상요인으로 선원 복지후생만족도 그리고 승선근무에 대한 내성으로 이가정성 및 이사회성 등의 승선근무 특성, 그리고 외국인 선원광의 혼승에 따른 이문화 수용 및 적응의 혼승 특성들에 따라 선원직업의식 수준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