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서책형 교과서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6초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과학 서책형 교과서와 디지털 교과서의 삽화에 나타난 성역할 고정관념 분석 (An Analysis for Gender Stereotypes of Illustrations in Middle School Science Paper Textbooks and Digital Textbooks Developed under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 송나윤;김혜진;노태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65권5호
    • /
    • pp.382-396
    • /
    • 2021
  • 이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과학 서책형 교과서 14권과 디지털 교과서 14권의 삽화를 성역할 고정관념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서책형 교과서와 디지털 교과서 모두 다수 학생 삽화의 유형이 가장 많았다. 학생의 경우, 서책형 교과서와 디지털 교과서 모두 성별 등장 빈도는 대체로 균형을 이루고 있었지만, 디지털 교과서에서는 출판사간 편차가 나타났다. 서책형 교과서와 디지털 교과서 모두 학습 활동에서는 여학생의 등장 빈도가, 학습 외 활동에서는 남학생의 등장 빈도가 더 높았다. 특히, 디지털 교과서의 학습 외 활동에서는 모든 출판사가 성별 불균형을 이루었다. 서책형 교과서와 디지털 교과서 모두 행동 특성은 성별에 따른 차이 없이 대부분 적극적으로 묘사되었지만, 디지털 교과서에서는 출판사 간 편차가 나타났다. 성인의 경우, 서책형 교과서와 디지털 교과서 모두 남성의 등장 빈도가 더 높았다. 또한, 가정 활동에서는 성별 등장 빈도에 차이가 없었지만, 가정 외 활동에서는 남성의 등장 빈도가 더 높았다. 서책형 교과서와 달리 디지털 교과서에서는 직업 활동이 성별 균형을 이루었다. 서책형 교과서와 디지털 교과서 모두 남성의 등장 빈도가 높은 직업 유형이 여성의 등장 빈도가 높은 직업 유형보다 더 많았다. 유명과학자뿐만 아니라 무명과학자를 의미하는 연구직 모두 남성의 등장 빈도가 더 높았다. 행동 특성은 서책형 교과서와 디지털 교과서 모두 대체로 남성 편향적으로 나타났다.

학술논문 - 디지털 시대를 맞는 현 교과서 출판시스템의 고려점 -'보는 디지털 교과서 VS '읽는' 서책형 교과서

  • 임남숙
    • 프린팅코리아
    • /
    • 제11권8호
    • /
    • pp.118-121
    • /
    • 2012
  • 한국출판학회(회장 남석순)와 한국인쇄학회(회장 구철회)가 최근 '미디어 환경 변화와 한국의 교과서'라는 주제로 공동 학술대회를 개최했다. 이 중 염성엽 지학사 콘텐츠본부 이사가 발표한 '디지털 시대를 맞는 현 교과서 출판 시스템의 고려점'을 요약 정리한다.

  • PDF

디지털교과서 검인정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uthorization Procedure of Digital Textbooks)

  • 박용훈;이석재;유재수;유관희;이태원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7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799-803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전자교과서가 도입됨에 따라 디지털교과서를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며 디지털교과서의 성공적인 활용을 위해서 서책형 교과서의 검정 및 인정 방법과 과정을 검토하고 이들 방법이 디지털교과서는 어떠한 기준과 절차에 의해 검인정이 이루어져야 하는지 검인정 방안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디지털교과서의 검인정은 전통적 서책형 교과서와는 다르게 디지털교과서 표준 사양에 적합하게 개발되었는지 심사하는 과정에 대해 제시해 보고 디지털교과서로써의 역할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지의 형식 및 내용에 대해 검정하는 방법 등으로 구분하여 연구가 이루어졌다. 이러한 연구를 토대로 제안하고 있는 디지털교과서의 검정 방법이 새롭게 계획하고 있는 디지털교과서 검인증 과정에 적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PDF

포스트 코로나를 대비한 디지털교과서의 기능 개선 (Improving the Functions of Digital Textbooks to Prepare for the post COVID-19)

  • 김홍선;정영식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21년도 학술논문집
    • /
    • pp.283-288
    • /
    • 2021
  • 코로나 19 상황에서 많은 학교에서 사용된 디지털교과서가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도 활용되기 위해서는 디지털교과서의 기능 개선이 필요하다. 디지털교과서는 전통적인 서책형 교과서에 용어 사전이나 동영상 자료, 평가문항 등을 추가한 것으로 최근에는 AR, VR, 360 이미지와 같은 실감형 콘텐츠를 제공하여 실습 교육에도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포스트 코로나를 대비한 디지털교과서의 기능 상의 문제점을 찾아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디지털교과서의 레이아웃은 서책형 교과서와 동일한 형태에서 벗어나 반응형 레이아웃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둘째, 디지털교과서와 학습관리시스템이 통합되어야 한다. 셋째, 교사용을 개발하여 교과 내용을 재구성하거나 외부 자료를 추가할 수 있어야 한다. 넷째, 디지털교과서에 기록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학습 분석이 가능해야 한다. 다섯째,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다양한 교과목을 디지털교과서로 개발해야 한다.

  • PDF

게임기반 디지털 교과서 활용이 정신지체 학생의 기초연산 수행능력 및 과제집중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Game-Based-Digital Textbook on the Basic Arithmetic Abilities and the Task Attention of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 이태수;이승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8호
    • /
    • pp.484-495
    • /
    • 2012
  • 이 연구는 게임기반 디지털 교과서가 정신지체 학생의 기초연산 수행능력과 과제집중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주요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38명의 정신지체 학생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실험집단으로서 게임기반디지털교과서만 사용한 집단과 서책형과 게임기반디지털교과서를 모두 활용한 집단을 구성하였고, 통제집단으로서 전통적인 서책만 사용한 집단을 구성하였다. 연구대상은 주4회, 45분씩 자신이 속한 집단에서 수업을 참여하였다. 실험결과, 기초연산과 과제집중력에서 모두 서책만 사용한 집단과 게임기반디지털교과서를 사용한 집단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서책과 게임기반디지털 교과서를 모두 사용한 집단은 서책만 사용한 집단과 게임기반디지털교과서만 사용한 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도를 나타내었다. 그러므로 전통적인 교과서와 게임기반디지털교과서를 함께 활용하는 것이 정신지체 학생의 기초연산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교수방법이라 할 수 있다.

초등 과학 수업에서 디지털 교과서 활용 수업모형 개발 및 효과 (Development and Effects of Instruction Model for Using Digital Textbook in Elementary Science Classes)

  • 송진여;손준호;정지현;김종희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62-277
    • /
    • 2017
  • 디지털 교과서는 다양한 상호작용을 통하여 학습자의 특성과 수준에 적합한 학습을 가능하게 하는 교수학습 자료이다. 이 연구에서는 초등 과학 수업에서 디지털 교과서를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수업모형을 개발하고 그 효율을 확인하고자 한다. 초등 과학 수업에서 학습자들의 완결학습을 도와주기 위한 수업모형은 출발점 행동 진단과 피드백, 자기주도적 학습 환경 구축 그리고 학습자의 학습을 돕는 교사, 학생, 디지털 교과서와의 상호작용이 필요하다. 이러한 특징을 반영한 디지털 교과서 활용 수업모형은 준비단계, 실행단계, 다지기단계로 구성하였다. 준비단계에서 학습자는 디지털 교과서를 이용한 진단평가 결과에 따라서 제공되는 수준별 피드백 자료를 통해 출발점 행동을 보완하고 학습 활동에 대한 흥미를 유지한다. 실행단계에서 학습자는 디지털 교과서의 다양한 기능과 여러 형태의 자료를 활용하여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을 진행한다. 다지기단계에서 학습자는 교사가 구성한 다지기 영상 및 다지기 문제 풀이 활동 그리고 학습자가 커뮤니티에 누적해 놓은 결과물을 재확인함으로써 학습내용을 내면화할 수 있다. 개발한 수업모형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초등 과학 5학년 2학기 '날씨와 우리 생활' 단원을 선정하여 수업자료를 제작하여 초등학교 5학년 101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설계하였다. 실험집단 50명에게는 개별적으로 스마트기기를 제공하여 디지털 교과서 활용 수업모형을 적용한 수업을 실시하였고, 비교집단 51명은 서책형 교과서를 활용한 수업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 교과서 활용 수업모형을 적용한 수업은 서책형 교과서를 활용한 수업에 비해 학업 능력이 낮은 집단의 학업성취도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둘째, 디지털 교과서 활용 수업모형을 적용한 수업은 서책형 교과서를 활용한 수업보다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 태도 향상에 효율적이었다. 셋째, 디지털 교과서 활용 수업모형을 적용한 수업에서는 서책형 교과서를 활용한 수업보다 학습자, 교사, 디지털 교과서와의 상호작용 횟수가 많았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에서 개발한 초등 과학 수업에서의 디지털 교과서 활용 수업모형은 학습자의 학업성취도와 자기주도적 학습 태도를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었다.

서책형교과서와 디지털교과서에 제시된 외적 표상의 특징 비교: 2009 및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중학교 '힘' 관련 단원을 중심으로 (A comparison of the Features of External Representations Presented in Paper Textbooks and Digital Textbooks: Focused on the 'Force' Related Units of Middle School in the 2009 and 2015 National Science Curricula)

  • 김노아;장진아 ;송진웅
    • 현장과학교육
    • /
    • 제12권3호
    • /
    • pp.309-330
    • /
    • 2018
  • 초연결성이 강조되는 앞으로의 사회에서 디지털교과서는 학습 자료와 교실에서의 소통 방식을 확장시킬 수 있는 중요한 매체가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 디지털교과서가 서책형교과서와 얼마나 차별화된 방식으로 의미 있게 구성되었는지 살펴보기 위해 디지털교과서에 제시된 외적 표상의 유형과 특징들을 서책형교과서에 제시된 외적 표상과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특히 2009 및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검정 받은 디지털교과서 간의 비교를 통해 교육과정에 따른 크고 작은 변화들을 진단하고 앞으로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디지털교과서는 물리적 한계를 넘어서는 공간 속에서 양적으로 확장된 자료들과 표상들을 제공하고 있었으나 이러한 표상들이 주로 언어적 표상에 집중되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경향성은 두 교육과정의 교과서에서 동일했으나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좀 더 다양한 유형의 표상들이 발견되었다. 표상의 기능적 측면에서 디지털교과서의 표상들은 서책형교과서와 같이 설명적 기능과 예시적 기능을 가장 많이 수행하고 있었다. 하지만 디지털교과서에서는 보충적 기능의 표상들이 급증하였고, 서책형교과서와는 차별화된 요약적 기능, 수행적 기능의 표상들이 추가되었다. 다만,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서에서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비해 보충적 기능의 표상이 약간 줄고, 요약적 기능과 수행적 기능을 하는 표상들이 상대적으로 많이 활용되었다. 표상의 제시방법 측면에서 디지털교과서에서는 클릭을 하면 팝업창이나 화면 전환 기능을 통해 여러 표상들을 제시하는 방법으로 공간을 활용하고 있었으며, 특히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서에서는 화면 전환 기능을 통한 제시 방법이 많이 활용되었다. 끝으로 이러한 분석 결과가 디지털교과서 개발 및 과학수업 개선의 측면에서 갖는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온라인 콘텐츠 활용 교과서의 개념과 미래형 교과서의 방향 정립을 위한 이론적 고찰 (A theoretical study to establish the concept of textbooks using online content and the direction of future textbooks)

  • 안성훈
    • 창의정보문화연구
    • /
    • 제7권4호
    • /
    • pp.257-264
    • /
    • 2021
  • COIVD-19로 인해 2020년부터 온라인 수업이 실시되면서 e-book, 구글 도구, 동영상 등 수업 시 온라인 콘텐츠 활용이 증가하였다. 이에 학생들이 온라인 환경에서도 효과적인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교사가 만들어가는 교과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또한, 교사들은 온라인 수업 및 다양한 온라인 콘텐츠를 활용하는 학생 참여형 수업이 확대됨에 따라 서책형 교과서뿐 아니라 온라인 콘텐츠 활용 교과서를 능동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즉, 온라인 수업을 위한 대비에만 국한하지 않고, 미래 교육체제로 변환을 위해 온라인 교과서의 개념 정립과 현행 교과서의 제도 및 방향성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현재 도입되고 잇는 온라인 콘텐츠 활용 교과서의 개념 정립을 위한 기초 자료들을 분석하였고 향후에 개발될 미래형 교과서의 개발 방향에 대한 이론적 내용을 탐색하였다.

교사와 학습자를 위한 디지털 교과서에 대한 탐색적 연구 (Exploring on Digital Textbooks for Teachers and Students)

  • 김혜정;임희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2호
    • /
    • pp.33-42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교과서의 개념과 역할에 대해 교육적 관점에서 재고하고 교육구성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디지털 교과서의 개발방향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다. 학습자 중심의 교육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학습도구로서 디지털 교과서는 멀티미디어 학습, 자기주도적 학습, 심화지식 탐색, 협력적 학습 등 다양한 교육적 시도와 함께 논의되고 있다. 디지털 교과서의 개념과 역할을 시대적 배경과 교육적 패러다임 변화에 따라 재고하여 논의한 후, 학습자와 교사 입장에서 디지털 교과서의 기본적 기능, 효과성 연구, 신체 및 정신적 영향 및 가이드라인, 학습자 인지수준 측면에서 제언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