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 코로나를 대비한 디지털교과서의 기능 개선

Improving the Functions of Digital Textbooks to Prepare for the post COVID-19

  • 투고 : 2021.08.01
  • 심사 : 2021.08.06
  • 발행 : 2021.08.12

초록

코로나 19 상황에서 많은 학교에서 사용된 디지털교과서가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도 활용되기 위해서는 디지털교과서의 기능 개선이 필요하다. 디지털교과서는 전통적인 서책형 교과서에 용어 사전이나 동영상 자료, 평가문항 등을 추가한 것으로 최근에는 AR, VR, 360 이미지와 같은 실감형 콘텐츠를 제공하여 실습 교육에도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포스트 코로나를 대비한 디지털교과서의 기능 상의 문제점을 찾아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디지털교과서의 레이아웃은 서책형 교과서와 동일한 형태에서 벗어나 반응형 레이아웃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둘째, 디지털교과서와 학습관리시스템이 통합되어야 한다. 셋째, 교사용을 개발하여 교과 내용을 재구성하거나 외부 자료를 추가할 수 있어야 한다. 넷째, 디지털교과서에 기록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학습 분석이 가능해야 한다. 다섯째,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다양한 교과목을 디지털교과서로 개발해야 한다.

In the COVID-19 situation, digital textbooks have been used in many schools. In order for digital textbooks to become active even in the post COVID-19 era, the functions of digital textbooks must be improved. Digital textbooks are traditional book-type textbooks with glossaries, video materials, and evaluation questions added. Recently, they are being used usefully for practical education by providing realistic contents such as Augmented Reality, Virtual Reality, and 360 images. Therefore, in this study, in order to prepare for the post COVID-19, we found the functional problems of digital textbooks and suggested a way to improve them. First, the layout of digital textbooks should be developed as a responsive layout, deviating from the same form as a book-type textbook. Second, digital textbooks and learning management systems must be integrated. Third, by developing a digital textbook for teachers, teachers should be able to directly reorganize the contents or add external materials. Fourth, learning analysis should be possible using data recorded in digital textbooks. Fifth,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various subjects should be developed as digital textbooks.

키워드

과제정보

본 연구는 전주교육대학교의 '2021년 국립대학 육성사업' 지원비로 연구되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