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서지학

검색결과 765건 처리시간 0.02초

임플랜트 지지 고정성 국소의치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평가 (CLINICAL AND RADIOGRAPHICAL EVALUATION OF IMPLANT-SUPPORTED FIXED PARTIAL PROSTHESES)

  • 서지영;심준성;이재훈;이근우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394-404
    • /
    • 2006
  • Statement of problem: A conventional 3-unit fixed partial denture design with a pontic between two retainers is the most commonly used. However in cases where the mental nerve is in close proximity to the second premolar, a cantilever design can be considered. As such, logical and scientific evidence is lacking for the number and position of implants to be placed for partially edentulous patients, and no clear-cut set of treatment principles currently exist.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prognosis of implant-supported fixed partial dentures and to compare changes in bone level which may rise due to the different factors. Material and method : The present study examined radiographical marginal bone loss in patients treated with implant-supported fixed partial dentures (87 prostheses supported by 227 implants) and evaluated the influence of the span of the pontic, type of the opposing dentition. Clinical complications were studied using a retrospective method. Within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the following result were drawn Result, 1. Seven of a total of 227 implants restored with fixed prostheses failed, resulting in a 96.9% success rate. 2. Complications encountered during recall appointments included dissolution of temporary luting agent (17 cases), porcelain fracture (8 cases), loosened screws (5 cases), gingival recession (4 cases), and gingival enlargement (1 case). 3. Marginal bone loss, 1 year after prosthesis placement, was significant(P<0.05) in the group that underwent bone grafting, however no difference in annual resorption rate was observed afterwards. 4. Marginal bono loss, 1 year post-placement, was greater in cantilever-type prostheses than in centric pontic protheses (P<0.05). 5. Marginal bone loss was more pronounced in posterior regions compared to anterior regions (P<0.05). 6. The degree of marginal bone loss was proportional to the length of the pontic (P<0.05). Conclusion: The success rate of implant-supported fixed partial dentures, including marginal bone loss, was satisfactory in the present study. Factors influencing marginal bone loss included whether bone graft was performed, location of the pontic (s), location of the surgical area in the arch pontic span. Long-term evaluation is necessary for implant-supported fixed partial dentures, as are further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unctional load and the number of implants to be placed.

감마선조사에 의한 단체급식용 닭 가슴살의 품질 개선 (Quality Improvement of Chicken Breast Meat in a Group-Meal Service by Gamma Irradiation)

  • 김장호;전진용;유상렬;이주운;김재훈;오상희;서지현;변명우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8-35
    • /
    • 2005
  • 저장온도는 닭고기 가슴살의 미생물학적 품질에 유의적 영향을 주었다. $30^{\circ}C$에서 저장된 비조사시료에서 총균수와 대장균수는 저장후 3일 동안 현저히 증가하였고, 10 kGy 이상의 감마선조사에 의하여 사멸되었다. $5^{\circ}C$에서 저장된 시료의 총균수와 대장균수는 5 kGy이상의 감마선조사에 의하여 검출제한(< 2 log CFU/g) 미만으로 감소되었다. 일반적으로 비조사시료와 조사시료 간의 TBA값에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며, 2주 동안의 $5^{\circ}C$ 저장에서 조사시료의 IBA값은 비조사시료의 IBA 값에 비해 뚜렷한 증가를 보이지 않았다. 차이식별검사와 수용도검사의 결과에 따르면, 10 kGy의 감마선조사로도 닭고기 가슴살의 관능적인 품질은 비조사된 시료의 품질과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감마선조사는 단체급식용 닭고기 가슴살의 품질을 개선하는 효과적인 수단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감마선조사는 닭고기 가슴살에서의 돌연변이를 유발하지 않는 것으 For these reasons, there was no evidence that an irradiation induced mutagenicity in the chicken breast meat.로 판단된다.

키토산을 첨가한 복숭아 리큐르의 침출조건 최적화 (Optimum Extraction Condition of Peach Liqueur Containing Chitosan)

  • 우승미;백창호;장세영;서지형;정용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593-597
    • /
    • 2008
  • 키토산을 첨가한 복숭아 리큐르 제조를 위한 최적 침출조건을 설정하였다. 알코올함량은 완과를 8주간 침출시킨 구간에서 30%로 가장 높았고 절편과 구간은 6 및8주간 침출시킨 구간에서 약 28%로 높게 나타났다. 당도는 약 $11{\sim}13^{\circ}brix$, 총산도는 약 0.2%, pH는 약 4.8이었다.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완과 구간에서는 2.8% 전후로 함량변화가 크지 않았고, 절편과 구간에서는 $2.8{\sim}3.1%$로 나타나 침출기간이 길어질수록 고형분 함량이 증가하였다. 갈색도는 완과 구간에서는 $0.33{\sim}0.54$로 나타났고 절편과 구간에서는 $0.56{\sim}0.73$으로 나타나 절편과 구간이 완과 구간에 비해 흡광도 0.2정도 높은 수치를 보였으며 침출기간이 길어질수록 조금씩 증가하였다. 총 페놀함량은 갈색도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고, 절편과 구간이 완과 구간에 비해 약 0.2 mg% 높게 나타나 수치적으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상기에서 설정된 완과 구간을 대량 침출시킨 복숭아 리큐르의 메탄올 함량은 침출기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고 약 50 ppb로 극미량 검출되었다. 유기산은 oxalic, malic 및 citric acid가 검출되었고, 유리당은 fructose, glucose, sucrose 및 maltose가 검출되었다. 따라서 키토산을 첨가한 복숭아 리큐르는 완과 8주간 침출조건이 전반적으로 품질이 우수하였다.

한국의 대학도서관 정보서비스에 있어서 주제전문사서의 현황과 기능에 관한 조사연구 (A Study on Functions and Present Situation of Subject Specialists for Information Services in Korean College and University Libraries)

  • 한상완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42-74
    • /
    • 1986
  • 우리나라 대학도서관에서 정보서비스의 수준을 높이기 위하여 필수적으로 요청되는 것이 정보서비스의 주체인 정보사서의 질을 높여야 한다는 이론을 규명하기 위하여, 우러나라 대학도서관의 정보서비스 현황과 정보사서의 현황을 통계적으로 상세히 분석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 정보사서들은 도서관학사학위를 소지한 20대와 30대의 인사들로 주성되어 있었으며, 주제전문사서로 볼 수 있는 비율은 7.6%에 불과했고, 즉답형 질문(42.1%)과, 지시형 질문(32.7%)을 주로 해답하여 주며, 정보서비스의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주제전문사서제도를 채택하는 것이 절대 바람직하다고 응답하였다. 주제전문사서가 수행하여야 할 주요 기능은 특정주제분야의 정보서비스, 서지, 안내서, 도서목록, 색인, 초록등의 작성; 정보배포와 최신정보주지 서비스; 균형있는 장서구성; 학과단위, 학생 및 교수와의 긴밀한 교량적 역할; 독장에 대한 자료 및 도서관 이용의 정규 비정규직인 강의와 안내; 및 분류편목의 순서라고 응답하였다. 주제전문사서를 양성하기 위한 가장 좋은 교육제도는 도서관학사를 하여금 대학원에 진학하여 주제전문가로서의 소양을 쌓도록 하여 도서관학석사학위를 수여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분석되었으며, 주제전문사서제도가 확립되어야만 대학사서의 교수신분을 확보할 수 있다고 보았다.

  • PDF

RDA 자원유형의 KCR4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pplication of Resource Types of RDA to KCR4)

  • 이미화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03-121
    • /
    • 2011
  • 본 연구는 RDA 자원유형을 KCR4에 적용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KCR4의 GMD는 내용과 용기의 용어가 혼합되어 적합한 용어를 선정하기 어렵고, FRBR 개념모형 구현도 용이하지 않다. SMD도 이용자의 요구에 맞는 최신의 용어가 포함되지 않아 변경이 필요한 실정이다. 기 개발된 RDA 자원유형은 AACR2 GMD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용어의 측면을 고려하였고, 앞으로 목록분야에 많은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국내 목록환경에 RDA 자원유형의 적용가능성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사례조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사례조사는 국내 대학도서관 한 개 기관을 대상으로 GMD 기술의 전수조사를 실시하여 용어의 변경 및 사서 및 이용자가 원하는 용어의 방향을 파악하였다. 설문조사에서는 국내 대학도서관 사서를 대상으로 자원유형 기술의 현황과 문제점 및 RDA 자원유형 이해정도를 파악하였다. 조사결과 자원유형 용어는 검색과 기술을 위해 구체적이고 이용자가 이해하기 쉬운 용어로 변경이 필요하였다. RDA 적용 테스트에서는 자원유형에 따라 정답률에 차이가 있었다. 조사를 바탕으로 RDA 내용유형에 컴퓨터게임을, 용기유형에 DVD, CD-ROM, Blu-Ray, 컴퓨터파일을 추가하여 KCR4의 자원유형을 제안하였다. 기술방식과 화면출력에서도 RDA의 방식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RDA 자원유형의 국내 적용가능성을 모색하여, KCR4 자원유형 개정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수정과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jongkwa)

  • 서지현;성태화;김미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370-378
    • /
    • 2002
  • 시판 수정과 2종의 이화학적, 관능적 품질특성을 전통 수정과와 비교하고 전국의 식품영양학과 학생 및 교수 382명을 대상으로 수정과의 품질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판 수정과는 2종은 전통 수정과에 비해 당도, 투명도, 점도, L 및 b값이 낮았다. 그러나 시판 수정과 B는 전통 수정과에 비해 pH가 높았다. 시판 수정과의 관능적 특성은 향, 맛, 감미 정도, 매운 정도, 부재료의 양면에서 전통 수정과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시판 수정과 B는 색상과 전반적인 기호도면에서 전통 수정과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전공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시판 수정과는 전통 수정과와 '동일하지 않다'가 50.1%로 많았으며 시판 수정과에서 개선할 점으로는 '단 정도' 33.0%, '매운 정도' 24.2%, '곶감 함유' 19.1%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기업체에서는 제조회사별로 바람직한 면은 잘 살리고 개선해야 할 점들은 보완하여 가정에서 만들어 왔던 수정과의 품질에 더욱 가깝게 제조하려는 노력이 있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습식분쇄 시간에 따른 통메밀 분말의 품질특성 (Characteristics of whole buckwheat by wet grinding over time)

  • 조용준;서지형;정용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81-18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활용도가 낮은 메밀껍질을 활용하고자 효소처리 및 습식분쇄에 따른 통메밀 분말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습식 분쇄 통메밀 분말의 입도 분석 결과 메밀쌀의 평균 입자크기는 74.84 ${\mu}m$로 통메밀 분말에 비하여 약 4~5배가량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습식분쇄 90분 이후에 큰 차이가 없었다. 총 페놀성 화합물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의 경우 메밀쌀에 비하여 통메밀 분말에서 모두 증가하였으며 분쇄가 진행될수록 조금씩 상승하였다. Rutin 함량 조사결과 메밀쌀 44.10 ppm에 습식분쇄가 진행될수록 함량이 상승하여 습식분쇄 90분에서 152.90 ppm까지 증가한 뒤 이후로는 큰 변화가 없었다. Quercetin의 경우 습식분쇄 시간에 따른 큰 함량변화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기질 함량 조사결과 메밀쌀에 비하여 통메밀 분말에서 Ca, K 및 Mg의 함량이 높게 증가하였으며 Zn 및 Mn이 통메밀 분말에서 검출되었다. 유리아미노산은 통메밀 분말에서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이 22.27 mg%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glutamic acid는 14.58 mg%에서 30.45 mg%로 두 배 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통메밀 분말 제조를 위한 습식분쇄 시간은 90분이 적절하였으며 통메밀 분말의 경우 메밀껍질의 유효성분의 활용이 가능하였으며 습식분쇄과정을 통한 식감개선이 가능하여 차후 다양한 가공제품으로 활용이 기대된다.

참외 저급과 주스의 청징화를 위한 효소처리 조건 (Enzyme treatment for clarification of spoiled oriental melon juice)

  • 장세진;조용준;서지형;김옥미;정용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506-511
    • /
    • 2014
  • 경북 성주지역에서는 참외의 재배과정 중 연간 수백 톤의 저급과가 발생하여 이에 대한 활용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고품질 참외 농축액 제조를 위하여 효소처리에 따른 참외 주스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참외 주스에 3종의 효소제를 여러 첨가수준으로 처리한 결과 pectinase와 cellulase를 혼합한 복합효소제를 0.01% (v/v) 처리한 PECE(I)에서 갈색도 및 탁도가 각각 0.16 및 0.01로 낮았고 L값은 97.00으로 높은 편이었다. 유리당으로 fructose, glucose, sucrose가 검출되었으며 sucrose가 약 4,000 mg%로 주요 유리당으로 나타났다. 복합효소제의 처리시간을 달리한 경우 60분 처리구에서 갈색도 및 탁도가 각각 0.15, 0.01로 낮고 L값이 97.25로 높은 경향이었다. 효소처리 온도에 따른 품질은 $50^{\circ}C$$60^{\circ}C$ 처리구에서 갈색도와 탁도가 낮은 편이었으나 $60^{\circ}C$$70^{\circ}C$ 처리구에서 L값이 높은 경향이었다. 이상의 결과 참외 주스의 가공시 pectinase와 cellulas를 혼합한 복합효소제를 0.01% (v/v) 첨가하여 $60^{\circ}C$에서 60분간 처리하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래프 구조를 갖는 서지 빅데이터의 효율적인 온라인 탐색 및 분석을 지원하는 그래픽 인터페이스 개발 (Developing Graphic Interface for Efficient Online Searching and Analysis of Graph-Structured Bibliographic Big Data)

  • 유영석;박범준;조선화;이수안;김진호
    • 한국빅데이터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77-88
    • /
    • 2020
  • 최근 다양한 실세계의 복잡한 관계를 그래프의 형태로 구성하고 분석하는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DBLP와 같은 컴퓨터 분야 문헌 데이터 시스템은 논문의 저자, 그리고 논문과 논문들이 서로 인용 관계로 표현되는 대표적인 그래프 데이터이다. 그래프 데이터는 저장 구조 및 표현이 매우 복잡하므로, 문헌 빅데이터의 검색과 분석, 그리고 시각화는 매우 어려운 작업이다. 본 논문에서는 문헌 빅데이터를 그래프의 형태로 시각화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도구, 즉 EEUM을 개발하였다. EEUM은 그래프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시하여 연결된 그래프 구조에 따라 문헌 데이터를 브라우징 하는 기능을 제공하며, 문헌 빅데이터에 대한 검색 및 관리, 분석이 가능하도록 구현하였다. 또한 EEUM을 DBLP가 제공하는 문헌 그래프 빅데이터에 적용하여 편리하게 검색, 탐색 및 분석하는 할 수 있음을 시연한다. EEUM을 이용하여 모든 연구 분야에서 영향력 있는 저자나 논문을 쉽게 찾을 수 있으며, 여러 저자와 논문 사이의 모든 관계를 한 눈에 볼 수 있는 등 복잡한 문헌 그래프 빅데이터의 검색 및 분석 도구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콩분말의 단백질 가수분해 조건에 따른 특성 모니터링 (Monitoring on Characteristics of Soybean Flour Hydrolyzed by Various Proteolytic Conditions)

  • 정규호;서지형;김정훈;김광수;정용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71-76
    • /
    • 2006
  •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하여 가수분해 조건에 콩 가수분해물의 품질 특성을 모니터링 하였다. 수율은 protease 농도에 크게 영향을 받았으며, $0.4\%$ 이상의 농도에서는 가수분해 시간의 영향이 점차 증가하였다. 수율에 대한 회귀식의 $R^2$는 0.978로서 $1\%$ 이내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가용성고형분은 pretense첨가량과 가수분해시간의 영향이 모두 나타났으며, 회귀식의 $R^2$는 0.954로서 $1\%$ 이내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가수분해도는 pretense첨가량이 높을수록 증가하다가 최대점(pretense첨가량 $0.57\%$, 가수분해시간 5.49hrs) 이후에는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회귀식의 $R^2$는 0.916으로 $5\%$ 이내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칼슘내인성은 protease첨가량의 영향이 크게 작용하였으나 $0.4\%$ 이상의 protease에서는 가수분해 시간의 영향이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회귀식의 $R^2$는 0.932로서 $5\%$ 이내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총 페놀성 물질은 pretense첨가량과 가수분해 시간에 비례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회귀식의 $R^2$는 0.920으로 $5\%$ 이내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이상의 결과 콩분말의 최적 가수분해조건은 protease첨가량 $0.51\~0.66\%$, 가수분해 시간 $6.5\~9.0\;hrs$의 조건으로 예측되었으며, 최적 조건으로 제조한 가수분해물의 실측치는 예측치와 유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