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서식환경의 다양성

Search Result 575,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pplication of InVest-Habitat Quality Model for Assessing Watershed Health (유역 건전성평가를 위한 InVest-Habitat quality 모형의 적용)

  • Lee, Jiwan;Park, Jongyoon;Woo, Soyoung;Lee, Younggwan;Kim, Seong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51-451
    • /
    • 2021
  • 인간활동으로 인해 서식처의 변화, 서식처의 파편화를 비롯하여 기후변화, 토지이용의 변화 등으로 생태계 생물 다양성은 빠르게 손실되고있는 상황이다. 특히 생물 다양성은 생태계 복원력에 중요한 인자로서 유역의 건전성 회복을 위해 생물 다양성을 중요한 인자로 고려하려는 경향이 커지고 있다. 유역 건전성은 주로 큰 하천에서의 친수성, 서식처, 유량 및 수질 등에 적용되어왔고 국내에서는 최근 들어 유역 건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수량 및 수질관리, 환경문제 등의 해결을 위해 유역관리 차원에서 접근하려는 시도가 시작되었으나 어떠한 수단을 통해 생물다양성과 서식처 관리를 접근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20년 동안 도시화, 댐 건설 등 토지이용변화가 크게 발생한 금강유역(9,865 km2)을 대상으로 InVest 모델 중 서식처 가치평가 모델 (Habitat Quality Model)을 이용하여 유역의 서식처 가치를 평가하고 이를 수생태계 건강성 모니터링 자료와 비교하여 모형의 적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 PDF

Ecological Factors Influencing the Bird Diversity on Baekdudaegan Protected Area Cheonwangbong to Aghwibong Region (백두대간보호지역의 천왕봉에서 악휘봉 구간에 서식하는 조류의 다양성에 영향을 주는 생태적 요인)

  • Hyun-Su Hwang;Doory No;Yunkyoung Lee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38 no.1
    • /
    • pp.48-54
    • /
    • 2024
  •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from April 2021 to December 2022 to investigate habitat factors affecting bird diversity in the region between Cheonwangbong Peak and Aghwibong in Baekdudaegan protected area, South Korea. Since the region has a spatial scale of 736.4 km2 and is an area where a wide variety of habitats are mixed, we selected 20 survey areas of 3 km x 3 km by analysis of habitat homogeneit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habitat environment and bird diversity in the survey area, it was found that the diversity of bird communities was directly or indirectly related to the diversity of terrestrial insects, slope, average habitat area, mean size of patches, elevation, and forest type, and distance from agricultural land. The slope of habitat, forest type, and distance from agricultural land affect the occurrence of food sources directly and indirectly, and the average area of habitats and forest type is closely related to the structural diversity of habitats. Therefore, it is determined that the diversity of bird communities is affected by the amount of food generated within the habitat and the diversity of habitats. It is determin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bird communities and habitat environments in this surveyed region can be basic ecological data for establishing forest management measures to promote the diversity of bird communities.

Analysis of habitat environment characteristics for Endangered Fish (Liobagrus Obesus) using MD-SWMS (MD-SWMS를 이용한 멸종위기 어종(퉁사리)의 서식환경 특성 분석)

  • Park, Sung-Chun;Jin, Young-Hoon;Roh, Kyong-Bum;Lee, Yo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745-749
    • /
    • 2012
  • 국내 주요하천은 지속적인 산업화와 난개발로 인해 생태계파괴 및 수변생물의 서식처 환경 악화로 하천 생태계에 많은 악영향을 받고 있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 국내에서는 하천의 기능과 생물의 다양성, 하천환경 및 생태학적인 가치와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매우 커짐에 따라 하천의 생태적 기능을 매우 중요시 하고 있으며, 하천의 난개발로 인한 피해를 복원하기 위해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대표적인 연구로 생태계 건전화 개념을 도입하여 담수성 어류 서식처 제공 및 이동에 필요한 유량을 산정한 한국 수자원공사(1995)의 연구가 있으며, 김규호 등(1996a, 1996b)은 물고기 서식처 환경 중 특히 수심과 유속 등 수리조건을 유지하기 위한 최소유량 산정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노경범(2011)은 섬진강의 하천환경 회복을 위한 연구대상 구간에서의 대표어종을 선정하여 서식처 특성 파악을 위해 하천 특성을 연구하였다. 이와 같이 현재 국내에서도 하천의 기능과 생태학적 기능을 위한 노력과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생태학적 서식처 연구에서는 아직까진 미진한 부분이 많이 있다. 그 예로 보호종이나 멸종위기어종과 같은 생물의 서식처 확보를 위한 연구가 아직까지는 많은 노력과 연구가 필요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환경부에서 지정한 멸종위기 1급 어종인 퉁사리를 대상으로 서식환경 특성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퉁사리의 생태학적 서식특성과 현재 지석천 상류 유역에서 관찰되고 있는 서식구간을 중심으로 MD-SWMS (Multi-Dimensional, Surface Water Modeling System) 모형을 이용하여 수리특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하상재료 입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입도가 큰 굵은모래 및 잔자갈, 굵은자갈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수리학적 특성분석결과 서식구간 내에서는 비교적 빠른 유속이 나타났다. 이러한 퉁사리의 서식환경의 특성 분석으로 서식구간 내 입도가 큰 하상재료로 구성되어 있으며, 퇴적구간이 생성되지 않을 정도의 유사이송량과 유속이 필요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퉁사리의 장기적인 서식환경 조성과 보존을 위해 대상구간의 유사이송의 연구와 실측 및 수변환경 모니터링을 통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The Analysis of Amphibia Biodiversity and Habitat in the Moak Provincial Park (모악산 도립공원의 양서류 다양성 및 서식환경 분석)

  • Chung, Kyu-Hoi;Shim, Jae-Han;Song, Jae-Young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
    • v.19 no.4
    • /
    • pp.278-281
    • /
    • 2001
  • Ecological measurement and biological environment of the Moak Provicial Park surveyed based on the habitat; deciduous broad leaved forest (Quercus mongolica variabilis-Pinus densiflora, Capinus tschonoskii, Quercus Mongolica, Quercus acutissima-Pinus densiflora, and Quercus variabilis), coniferous forest (Pinus densiflora), plantation forest (Pinus rigida), and the other place (pond, lake, rice field, stream, and river). Totally, 1 orders, 4 families, 8 species of amphibians were found at Mt. Moak provincial park. Biodiversity indices of studied region were as follow; richness was 1.270, diversity was 1.775, and evenness was 0.853 in amphibians. 42.1% of amphibians were found in deciduous broad leaved forest, 11.3% in coniferous forest, 1.6% in plantation forest, and 45.0% in the other region.

  • PDF

Characteristics, Protection and Management of Bird Community in Geum River Estuary (금강 하구지역 조류군집의 특성 및 보호와 관리)

  • Lee, U-Sin;Park, Chan-Yeol;Im, Sin-Jae;Heo, Wi-Haeng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v.24 no.3
    • /
    • pp.181-189
    • /
    • 200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and proper way of protection and management of bird community in Geum river estuary from Nov. 1997 to Oct. 1998. Water was the most dominant factor of habitats. And there were cultivated area, forest, constructed area, reed bed and tidal fiat in study area. Total 104 bird species were recorded in Geum river estuary. Maximum 46 species in Apr. and 51,002 individuals in Feb. were observed. Dabbling ducks used islands and shallow area of river, and tidal flat. Gulls and waders were distributed in estuary and geese were in islands of the upstream and cultivated area of Sipjadeul. For the maintenance, protection and management of bird community in Geum river estuary, diversity of natural habitats, such as, tidal flat, cultivated area, islands and reed bed, should be maintained.

  • PDF

A study on the relations between river bed and biological health (하상 변화와 수생태계 건강성과의 관계 분석)

  • Choi, Mikyoung;Felix, Micah Lourdes;Zhang, Ning;Jung, Kwansu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56-456
    • /
    • 2021
  • 하상 변화는 유량이나 유사의 흐름에 따라 침식, 운반, 퇴적되어 변화하며, 하상변동에 의한 결과는 하천의 형태 (직렬,복렬, 곡렬 등)나 서식처의 구조 (여울과 소, 웅덩이, 습지 등) 형성 로 나타난다. 이어서 서식처 구조의 다양성은 생물다양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수리 (유량이나 유사량)-지형(서식처 구조)-생태 (생물다양성)을 연계하여 관리하기 위한 생태적인 하천관리 프레임을 제시하기 위하여, 지형과 생물상의 관계를 우선 파악하고자 한다. 국내 하천은 수생태 건강성 평가 중 서식 및 수변환경 지수(HRI, Habitat and Riparian Index)를 활용하여 하천의 형상 및 자연성을 평가한다. 해당 지수는 하천의 자연성을 판단할 수 있으나 유량이나 유사량 등과 같이 수리적 조건과 연계하여 하천환경 변화를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하천의 자연성을 판단하는 지형변수들을 제안하고, 생물상과 상관관계를 분석한다. 수질 변화가 급격하지 않는(년간 변화폭이 일정한) 금강 유역의 지천 (갑천, 미호천, 논산천, 유구천 등) 중 생태계 건강성 평가 지수가 산정되어 있는 지점을 기준으로 상·하류 약 5 km 구간들을 대상으로 한다. 지형 변수로는 (항공사진을 이용한)사주 비율(사주면적/제방 내 홍수터 면적), 사주 식생비율(식생면적/사주면적)과 사주 변동량(연간 사주 이동량), 서식처 구조의 다양성(여울, 소, 웅덩이 등), 기존의 서식 및 수변환경 지수 등을 활용하고, 생물 변수로는 저서동물지수(BMI, Benthic Macroinvertebrate Index), 저서동물의 우점도, 어류생물지수(FAI, Fish Assessment Index), 어류생물지수에 활용하는 국내종의 총 종수, 여울성 저서종수, 민감종수 등을 활용한다.

  • PDF

Evaluation on Watershed Natural Habitat Assessment for Conservation of Brachymystax lenok tsinlingensis in Naerin Upstream (내린천 상류 유역 열목어(Brachymystax lenok tslingensis) 서식지 자연성 평가)

  • Jeong Eun Kim;Hwang Goo Lee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v.10 no.3
    • /
    • pp.73-84
    • /
    • 2023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biodiversity and natural habitat environment of freshwater ecosystem. Our aim was therefore to produce a set of biodiversity and habitat indicators based on multi-parameters of water quality and biodiversity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ults by indicators. We selected four indicators a) anthropogenic disturbance, b) habitat diversity, c) biodiversity, d) ecosystem structure. The fishes cohabiting with Brachymystax lenok tsinlingensis were Rhynchocypris kumgangensis and Zacco koreanus. As a result of the anthropogenic disturbance evaluation, it was analyzed that vegetation embankment showed a more stable environment in the tributary than the main stream, and other disturbance was not confirmed As a result of the habitat diversity evaluation, it was analyzed that habitat evaluation index showed a high score of 200 more on average, showing an optimal habitat condition. As a result of the biodiversity evaluation, it was analyzed as a clean habitat condition with a high proportion of sensitive species, abundant dissolved oxygen, and little pollutants. As a results of the ecosystem structure, the ecological health condition metrics and appearance of endangered species showed large score deviation, but it was analyzed that the stream ecosystem health was generally excellent. There was a slight correlation between the habitat environment and the results of the nature habitat evaluation according to the appearance of the B. lenok tsinlingensis.

Evaluation of InVEST habitat quality model using aquatic ecosystem health data (수생태계 건강성 자료를 이용한 InVEST habitat quality 모델 적용성 평가)

  • Lee, Jiwan;Woo, Soyoung;Kim, Yongwon;Park, Jongyoon;Kim, Seongjoo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4 no.9
    • /
    • pp.657-666
    • /
    • 2021
  • Ecosystem biodiversity is rapidly being lost due to changes in habitat, fragmentation of habitat, climate change, and land use changes by human activities. Recently, attempts have been made to approach the watershed management level to secure the health of the watershed, but studies on how to approach biodiversity and habitat management are still in lac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habitat quality of Geum river basin using Integrated Valuation of Ecosystem Services and Tradeoffs (InVEST) habitat quality model. The results of habitat quality was verified to eco-natural map and ecological watershed health evaluation results. The habitat quality of watershed was evaluated from 0 to 0.86 and the results showed that habitat quality was higher in upstream than downstream. Compared the habitat quality value in each eco-natural grade, the average habitat quality of 1st, 2nd and 3rd grades were 0.80, 0.76 and 0.71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e correlation analysis with ecological watershed health data,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was 0.58, and the person coefficient was 0.76.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be used as foundation data to support habitat protection and implementation of long-term biodiversity-related policies.

Habitat change analysis of Fish Community to Building Block Methodology Mimicking Natural Flow Regime Patterns in Nakdong River in South Korea (자연유황 패턴을 모방한 BBM에 대한 물고기 군집의 서식처 변화 분석: 낙동강 유역을 대상으로)

  • Kim, Soohong;Jung, Kichul;Kang, Hyeong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71-471
    • /
    • 2022
  • 도시화로 인한 하천 건천화가 심각해짐에 따라 생태계 종 다양성 감소와 서식처 파괴 등 다양한 생태학적 문제가 발생한다. 건강한 하천 생태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유량 감소로 인한 수생태계 건강성 회복을 위해서는 어류 종에 따른 적합한 생태 유량을 산정해야 한다. 특히 발전방류로 인한 유량 변화는 하류에 서식하는 어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댐 방류량에 의한 서식처 면적 변화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 낙동강 상류 구담교 유역을 대상으로 안동댐과 임하댐 유입량을 활용한 BBM (Building Block Methodology)을 구축하고, 2) 대상 하천의 River2D 모형을 구축하여, 3) 대표·대리 어종에 대한 자연유황과 BBM에 따른 가중가용면적(Weighted Usable Area, WUA)을 산정하였다. 2006년 ~ 2020년 자료를 기반으로, 시나리오1은 실측 유량을 활용하였으며, 시나리오2는 전체기간, 홍수년, 갈수년 그리고 평수년으로 구분하여 댐 유입량을 기반으로 산정한 BBM을 활용하였다. 시나리오 분석 결과, 가중가용면적이 감소하는 일부 기간도 존재하였으나, 전반적으로 BBM을 반영한 시나리오 2에서 서식처 면적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표 어종 피라미의 경우 최대 약 18% 가중가용면적이 감소하는 기간이 존재하였으나, 최대 79%의 서식처 향상 효과가 나타났다. 대리어종 모래무지의 경우 마찬가지로 최대 약 18%의 서식처 감소 효과가 나타나는 기간이 존재하였으나, 최대 78%의 서식처 향상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자연유황을 모방하여 댐 방류 패턴을 변경하는 것이 하류에 서식하는 어류의 서식처 개선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서식처에 영향을 주는 물리적 요인(댐 방류량 등) 외에도 생물·화학적 요인이 존재하므로, 향후 다양한 요인을 고려한 연구를 통해 효과적인 서식처 개선 방안을 모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Differences in Bird Communities Due to Different Habitat Type in Han River Area (한강 유역에서 서식환경에 따른 조류군집의 특성 차이)

  • 허위행;박성진;임신재;박용수;최서윤;이창배;이우신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7 no.1
    • /
    • pp.83-91
    • /
    • 200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bird communities due to different habitat types on 3 sites in Han river area from May 2001 to January 2002. Water area was the most dominant habitat type in each site and also forest was dominant habitat type in site 1(Paldang area). Site 2(Bam island area) had various habitat types e.g. shrub field sandv plain, reed bed and grass field. Total 52 bird species were recorded on 3 sites in Han river. Ducks were the most dominant species, especially in January 2002. Density of individuals were higher in site 1 and 2, but lower in site 3(Nanjido area). In January 2002, dabbling ducks were dominant in site 2, and diving ducks were in site 1. Among diving ducks, common merganser Mergus merganser showed high density in site 2 and pochard Aythya ferina did in site 1. In site 1, coot Fulica atra showed also high density Diverse habitat types could be support foraging resources for dabbling ducks in site 2. High density of pochard and coot would be related to abundant aquatic plants and stable water depth in site 1. Manipulation of riparian zone in site 3 into natural vegetation would increase the bird species diversity. By the manipulation of habitat, habitat potentiality of birds would be increase in Han river a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