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racteristics, Protection and Management of Bird Community in Geum River Estuary

금강 하구지역 조류군집의 특성 및 보호와 관리

  • 이우신 (서울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 박찬열 (서울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 임신재 (서울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 허위행 (서울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Published : 2001.06.0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and proper way of protection and management of bird community in Geum river estuary from Nov. 1997 to Oct. 1998. Water was the most dominant factor of habitats. And there were cultivated area, forest, constructed area, reed bed and tidal fiat in study area. Total 104 bird species were recorded in Geum river estuary. Maximum 46 species in Apr. and 51,002 individuals in Feb. were observed. Dabbling ducks used islands and shallow area of river, and tidal flat. Gulls and waders were distributed in estuary and geese were in islands of the upstream and cultivated area of Sipjadeul. For the maintenance, protection and management of bird community in Geum river estuary, diversity of natural habitats, such as, tidal flat, cultivated area, islands and reed bed, should be maintained.

본 연구는 1997년 11월부터 1998년 10월까지의 기간 동안 총 11회에 걸쳐 금강 하구지역에서 조류군집의 보호 및 관리방안을 모색하고자 조류군집의 도래 및 서식현황과 서식지 환경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금강하구지역에서 물새의 서식 환경으로 수면이 차지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농경지, 산림, 건물지역, 갈대밭, 갯벌지역의 순으로 나타났다. 총 104종의 조류가 관찰되었으며, 조류의 종수는 4월에 46종으로 가장 많았으며, 개체수는 2월에 51,002개체로 가장 많았다. 수면성 오리류는 하구의 갯벌지역과 하천의 하중도 및 얕은 물이 있는 지 역을 주로 이용하였으며, 갈매기류와 도요·물떼새류는 하구지역에서, 고니류와 기러기류는 상류의 하중도와 십자들 지역에 주로 분포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보아 지역별 서식환경이 지니는 특성에 따라 연중 다양한 조류가 금강 하구지역을 서식지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강 하구지역에서 조류 군집의안정적인 유지와 보호·관리를 위해서는 갯벌, 농경지, 하중도와 하변에 분포하는 갈대밭 등 자연적인 서식환경의 다양성이 유지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금강호 자연생태계 조사용역 보고서 군산시
  2. 한국생태학회지 v.23 no.3 한강지역 조류군집의 특성 이우신;박찬열;임신재
  3. 한국동식물도감-제 25권 동물편(조류 생태) 원병오
  4. 자연보존연구보고서 v.7 금강하구 철새 보존을 위한 기초연구 함규황;이두표
  5. 전국겨울철새 동시 센서스 환경부
  6. 서해안 주요습지에 도래하는 수조류의 봄, 가을 조사 환경부
  7. 전국철 조류 동시 센서스 환경부
  8. 鳥類生態學 黑田長久
  9. Waterfowl Ecology and Management Baldassarre, G.A.;E.R. Bolen
  10. Ostrich-Ducks v.1 Handbook of the birds of Europe,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the birds of Western Palearctic Crams, S.;K.E.L. Simmons
  11. Journal of Wildlife Management v.53 no.4 Winter body-weight patterns of female Mallards fed agriculatural seeds. Loesch, C.R.; R.M. Kaminski
  12. Biological Conservation v.77 Intertidal and farmland habitats of ducks in the Puget Sound region: A landscape perspective. Lovvorn, J.R.; J.R. Baldwin
  13. Planning anf managing urban green spaces-(2nd ed.) Miller, R.W.
  14. Habitat management for migrating and wuntering waterfowl in North America. Mississippi alluvial valley. Reinecke, K.J.; R.M. Kaminski;D.J. Moorehead;J.D. Hodges;J.R. Nassar;L.M. Smith(ed.);R.L. Pederson(ed.);R.M. Kaminski(ed.)
  15.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Shannon C.E.;W. Weaver
  16. Habitat management for migrating and wuntering waterfowl in North America. Smith, L.M.;R.L. Pederson;R.M. Kaminski
  17. Bedforshine The wet grassland guide-Managing floodplain and coastal wet grassland for wildlife-Royal Society for and Protection of Birds. Treweek, J.P.;P. Benstead
  18. Bedforshine The New rivers & wildlife Handbook Ward, D.;N. Holmes;P. J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