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서빙 로봇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7초

완성형 서비스 서빙 로봇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utonomous driving Serving robot for Complete service)

  • 박호준;마승준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231-1234
    • /
    • 2021
  • 본 연구는 사람을 완전히 대체할 수 있는 완성형 서빙 로봇에 한 걸음 더 나아가는 것이 목표이다. 현재 시중에 나온 서빙 로봇은 호출 및 주문받기 등의 부가적인 기능을 할 수 없어 사람을 완전히 대체할 수 없다. 이에 따라 서빙 로봇의 효율성이 부족하여 대부분의 식당에서의 서빙 로봇 이용성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호출 벨을 통한 로봇 호출 기능, 로봇에 부착된 인터페이스를 활용한 주문 및 결제 시스템 그리고 LIDAR 와 IMU 센서를 이용한 자율주행 기술을 이용하여 로봇만으로 다양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결과물을 만드는 것이 목표이다.

푸드테크 서빙로봇의 서비스 실패에 대한 직업윤리적 대응에 대한 고객 평가 분석 (Analysis of Customer Evaluations on the Ethical Response to Service Failures of Foodtech Serving Robots)

  • 한정혜;최영림;정상현;김종욱
    • 서비스연구
    • /
    • 제14권1호
    • /
    • pp.1-12
    • /
    • 2024
  • 푸드테크 산업 중 서비스 로봇 시장이 커짐에 따라 외식산업의 소비자 행동의도에 영향을 끼치는 로봇 서비스의 품질이 중요하다. 식당 서빙로봇은 직원의 업무를 줄여주기도 하지만, 서비스 실패에 따른 대응이 되지 않기 때문에 고객의 불만족은 물론 직원의 업무를 늘리기도 한다. 주문과 서빙 기능 외에 서비스 품질을 높이기 위해서 직원처럼 서비스 실패 후 복구 노력, 과정의 공정성, 공감, 대응성, 확신성에 대한 기능도 요구된다. 이에 우리는 식당 서빙 서비스 실패 유형을 내적, 외적요인으로 가정하고, 서비스에 실패했을 때 직업 윤리적인 태도로 대응할 수 있도록 직업윤리적 공감모듈이 있는 서빙로봇을 개발했다. 이때 서빙로봇의 표정과 액션은 평상 서비스 모드에 실패복구 노력과 공감을 반영한 실패 모드를 추가하여 개발하였으며, 두 유형의 서비스 실패에 따른 서빙로봇의 직업 윤리적 공감 대응 여부가 로봇평가에 유의미한지를 실험하였다. 실험참가자들은 로봇 실수보다 다른 고객의 실수에 따른 서비스 실패에 더 불편해했으며, 서빙로봇의 직업윤리적 공감과 대응은 적절했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직업윤리적 공감 모듈의 장착여부에 따라 로봇 호감도는 차이가 없지만 안전성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직업윤리적 공감 대응 모듈을 탑재한다면, 국내 서빙로봇산업과 시장은 더욱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스마트 서빙 로봇의 구현 (Implementation of Smart Serving Robot)

  • 박명철;오성혁;김성진;이도희;김선호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3년도 제68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31권2호
    • /
    • pp.413-414
    • /
    • 2023
  • 최근 비대면 서비스의 발전으로 서빙 로봇의 역할이 중요해졌다. 호텔, 리조트 등 높은 품질의 서비스를 요구하는 곳에서 서비스 질 향상을 위해 전문화된 인력을 필요로 하지만 개개인의 능력과 인력 부족으로 인해 소비자에게 제공되는 서비스의 질이 균일하지 못하거나 만족스럽지 못하다. 본 논문은 균일화된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새로운 서비스를 경험할 수 있게 하는 '주문이 가능한 스마트 서빙 시스템 로봇'을 제안한다. 단순한 음식 운반이 아닌 소비자를 맞이하고 앱 인벤터를 통해 주문을 직접 받아 서버에 전송하여 카운터 및 주방에서 주문 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완성된 음식을 받아 운반하여 소비자의 테이블에 직접 제공하여 기존 서빙 로봇의 불편함을 보완하였다. 초음파 센서를 이용하여 장애물 발견 시 정지하여 안전한 구동이 가능하다. 스마트 서빙 시스템 로봇을 통해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인력을 고부가 가치 업무에 집중할 수 있어 서비스 로봇의 발전을 선도하고 식당뿐만 아니라 병원, 물류센터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 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레스토랑 서빙 로봇의 서비스 확장에 관한 연구 - 중국 베이징 하이디라오 스마트 레스토랑을 사례로 연구 (Research on Service Extensior of Restaurant Serving Robot - Taking Haidilao Hot Pot Intelligent Restaurant in Beijing as an Example)

  • 조여기;반영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17-25
    • /
    • 2020
  • 본 연구는 식당에서 사용하는 외식서빙 로봇의 서비스 절차 및 인터랙션 방식에 중점을 두고 연구한다. 사용자 설문조사,사용자를 관찰하고 고객과 레스토랑 종업원의 인터뷰를 통한 레스토랑 서빙 로봇과 고객의 교류방식을 분석하고 사용자 요구를 파악하기 위해 사용자 여정 지도를 구축한다. 또한 서비스 절차에서 배달 서비스 뿐만 아니라 주문 서비스, 접대 서비스 및 테이블 정리 등을 모두 서비스 로봇이 행하는 것을 의도한다.최종 제안 연구 목적은 기존의 서빙 로봇 GUI을 개선하고 새로운 서비스 청사진을 설계하는 것이다.

다인실환자를 위한 EEG기반 서빙로봇 간병서비스 개발 (Development of EEG-based Serving Robot Care Service for Multi-person Room Patients)

  • 이소연;최봉준;문미경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2년도 제66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30권2호
    • /
    • pp.649-650
    • /
    • 2022
  • 간병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간병인의 스트레스 관리 및 체력 관리이다. 그러나 요양 시설의 수요 증가량에 비해 간병인의 공급량은 줄어들고 있으며 고령화로 인해 노인이 노인을 간병하는 노노간병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1인당 부양하는 환자 수의 증가와 간병인의 연령이 평균적으로 높아지면서 간병 스트레스 및 간병 살인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환자의 EEG를 실시간으로 분석해 환자에게 필요한 것을 전달해주는 서빙로봇 간병서비스 개발 내용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이 시스템을 통해 장시간 노동에 따른 간병인의 간병 스트레스와 간병 부담을 덜어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비대면 시스템 구현을 위한 자율주행 서빙 로봇 (Automobile Serving Robot for Untact System)

  • 홍정훈;송창의;김대관;이근호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0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945-948
    • /
    • 2020
  • 최근 코로나 사태로 인하여 한국에서는 사람 간에 거리를 두는 사회적 거리 두기와 생활 속 거리두기를 시행하고 있다. 또 식당에서의 지출 중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인건비를 절감하기 위해 본 연구는 2D Lidar 센서를 사용하여 식당에서의 사람과의 접촉이 가장 큰 서빙의 역할을 로봇이 직접 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Lidar 센서를 이용해서 SLAM을 구현하였고 안드로이드 앱을 사용하여 주문 결제를, Four Bar Linkage를 사용하여 음식 전달 부분을 구현하였다.

자율주행 스마트 캐리어 로봇 (Self-driving Smart Carrier Robot)

  • 문유빈;오유민;이서우;전준상;홍주완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176-1179
    • /
    • 2021
  • 최근 서빙 로봇과 AGV(Auto Guided Vehicle) 등 다양한 산업 분야의 무인으로 동작하는 수단에 대한 관심이 점점 커지고 있다. 이러한 수단이 요구되는 곳 중 하나는 공항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뒤를 따라다니거나 목표 지점으로 사용자를 안내하며 무게 측정 기능을 통해 사용자의 짐의 도난을 방지하고, 사용 이후 자동으로 복귀하는 스마트 캐리어를 구성하여 많은 사람이 공항을 편리하게 이용하고자 한다.

로봇 vs 사람: 종업원의 서비스 성공과 실패가 고객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비교 연구 (Robot vs Human: Comparative Study on the Effect of Service Success and Failure on Customer Behavioral Intentions of Service Employees)

  • 이청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13-27
    • /
    • 2022
  • 서비스 현장에서 로봇의 활용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서비스 로봇의 종업원으로서의 역할에 주목하여, 로봇의 서비스가 고객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서비스 성공과 실패 상황에서 사람 종업원과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바리스타로봇, 서빙로봇, 쉐프로봇을 대상으로 세 번의 실험을 통해 실증분석을 수행하여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서비스가 성공적인 경우, 사람들은 서비스를 제공한 종업원이 사람인지, 로봇인지에 관계없이 재방문 의도가 유사하게 나타났다. 반면, 서비스가 실패인 상황에서는 로봇 종업원으로부터 서비스를 받은 경우보다 사람 종업원으로부터 서비스를 받은 경우에 재방문 의도가 더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이유는 아직까지 서비스 로봇의 능력에 대한 고객들의 기대가 사람 종업원에 비해 낮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마지막으로 고객들은 로봇의 서비스가 사람의 서비스에 비해 더 안정적이라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나 서비스 로봇이 성공적인 서비스를 제공한다면 로봇으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는 고객으로부터 긍정적인 반응과 행동을 이끌어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Design of Educational Model for Convergence Minor in Culinary Art·Robot Technology Fields

  • Kim, Wo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10호
    • /
    • pp.109-116
    • /
    • 2021
  • 이 연구에서는 조리 전공과 로봇 기술을 융합함으로써 소프트웨어 분야가 아닌 조리 전공 학생의 코딩 능력을 기를 수 있는 융합부전공 교육 모델을 제안한다. 이 교육 모델은 4차산업혁명 기술 발전 추세를 따르는 것이고, 비전공 학생을 소프트웨어 전문가로 성장시키는 기능이 있어 그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조리 전공과 로봇 기술은 기술적으로 거리가 있기 때문에 융합부전공 설계에 어려움이 있다. 이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하여 로봇을 이용한 조리, 디저트 제작, 바리스터 작업, 자동 서빙 등의 교육 주제를 체계적으로 구성해서 조리 전공 학생들이 전공적 흥미를 유지할 수 있도록 연계부전공을 설계하였다. 또한, 실질적인 코딩 능력을 기를 수 있게 여러 로봇을 사용하는 실습 과정이 포함되도록 하였다. 기존의 다른 분야 융합부전공과 비교하여 평가하여보니, 20%정도 개선된 교육 효과가 있는 우수한 모델로서 판단된다.

음성인식을 이용한 ROS 기반 서빙 로봇 원격 제어 연구 (A Study on ROS based Control of Serving Robot Using Speech Recognition)

  • 김병준;이서현;조은영;박해준;권남규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1년도 제63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9권1호
    • /
    • pp.211-212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싱글보드 컴퓨터 Jetson nano 기반 음성 라이브러리 Snowboy를 활용하여 음성인식 시스템을 구현하여 Turtlebot의 동작을 제어하였다. Turtlebot은 ROS(Robot Operating System) 기반으로 동작하며 ROS core를 통해 Jetson nano와 데이터전송이 가능하다. 사용자에 의해 실시간으로 Snowboy에 저장된 특정 음성을 인식하고 지정된 좌표로 변환한다. 변환된 좌표에 따라 Turtlebot이 지정된 위치로 이동한다. Lidar센서를 활용하여 장애물을 감지하고 다른 경로를 생성해 지정된 위치로 이동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