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활복원

Search Result 190,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Vegetation Structure and Dynamics on Bars in Streams with Different Stream Bed Substrates (하상재료가 다른 하천의 하중도 환경에서 식생의 구조 및 동태)

  • Lee, Chang-Seok;Cho, Yong-Chan;Oh, Woo-Seok;Park, Sung-Ae;Seol, Eun-S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140-1144
    • /
    • 2007
  • 모래하천과 자갈하천의 하중도에 성립한 식생을 분석하여 하천복원과 복원된 하천의 사후 관리에서 요구되는 생태정보를 구축하였다. 모래하천의 하중도에는 버드나무군락, 물억새군락, 산조풀군락, 속속이풀군락, 큰개여뀌군락, 밭뚝외풀군락 등이 성립하였다. 이러한 식생자료를 서열법으로 처리한 결과, 식물의 배열은 천이경향을 반영하였고, 하중도의 미지형에 의해 결정된 지하수위 높이가 천이단계를 지배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모래하천인 용수천의 하중도에서 상류로부터 하류를 향해 식생의 분포는 버드나무군락-물억새군락-산조풀군락-속속이풀군락의 순서를 보였다. 우점종의 생활형에 따라 이들을 구분하면, 이 순서는 목본 식물군락-다년생 식물군락-1년생 식물군락의 순서를 보였다. 이러한 식생의 배열로부터 하중도는 하류 방향으로 새로 생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자갈하천의 하중도에는 발달단계가 다른 세 개의 소나무군락과 초지가 성립하였다. 소나무군락은 유령림, 성숙목과 유령목이 혼합된 복층림, 그리고 성숙림으로 이루어졌다. 초지는 쑥, 달뿌리풀, 환삼덩굴, 소나무 실생, 황철나무 등이 산재하는 밀도가 낮은 식생으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식생자료를 서열법으로 처리한 결과 여기에서도 식생의 배열은 천이경향을 반영하였다. 천이단계를 지배하는 요인은 홍수에 밀려온 자갈의 피복율로 나타났다. 상류로부터 하류를 향해 식생의 분포는 초지, 소나무 유령림, 소나무 복층림 및 소나무 성숙림의 순서를 보였다. 이러한 식생의 배열로부터 하중도는 상류방향으로 새로 성립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변지역에 거주하는 주민의 역할이 중요하며, 이에 따라 보 철거 선정 체계는 보 철거를 위해서 보 주변 지역 거주민을 설득하며, 하천의 환경 개선을 위한 합리적인 대안 제시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선정 체계를 바탕으로 주민 협의 및 대안 제시를 통해 결정된 대상 보는 선정 체계 안에서 보 철거 영향 판단 절차에 따라서 보 철거로 인한 수문, 수리, 지형, 수질, 생태 영향을 판단하게 되며, 이와 더불어 사회 경제적인 영향을 평가하게 된다. 평가결과에 따라서 보를 완전히 철거하거나 다른 대안을 고려하여 보를 부분적으로 철거하거나 개량하게 된다.곳으로 1/3의 자기 생산을 담당하고 있었다. $\ulcorner$경상도지리지$\lrcorner$(慶尙道地理志)에는 $\ulcorner$세종실록$\lrcorner$(世宗實錄) $\ulcorner$지리지$\lrcorner$(地理志)와 동년대에 동일한 목적으로 찬술되었음을 알 수 있다. $\ulcorner$경상도실록지리지$\lrcorner$(慶尙道實錄地理志)에는 $\ulcorner$세종실록$\lrcorner$(世宗實錄) $\ulcorner$지리지$\lrcorner$(地理志)와의 비교를 해보면 상 중 하품의 통합 9개소가 삭제되어 있고, $\ulcorner$동국여지승람$

  • PD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Frequency of Appearance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River Habitat for Otter (Lutra lutra) (수달(Lutra lutra)의 서식지 출현빈도와 하천환경의 상관관계 분석)

  • Park, Eui-Jung;Kim, Dae-Young;Jin, Young-Hoon;Kim, Chul;Lee, Doo-Py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063-1069
    • /
    • 2007
  • 우리나라의 하천환경은 1990년대 이전의 산업화와 인구증가를 수반한 고도성장기를 거치면서 이수성 및 치수성만을 강조하며 개수되고 관리되었다. 그 결과 하천은 획일적인 단면과 저수로 및 제방이 콘크리트화되면서 하천의 자정능력은 감소되었고, 하천을 중심으로 생활하는 동물들의 서식처 기능을 상실해 하천생태계가 위협받고 있다. 하천공사에 자연형 하천공법이 도입되기 시작하여 자연형 하천공사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생태환경의 관점보다는 조경 및 경관적, 그리고 위락적인 관점에서 공원화에 주안점을 두고 있어 하천의 생태적 특성의 반영이 부족하다는 평가를 듣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향후의 하천공법이 자연적 기능들 중 생물서식처 기능을 보다 깊이 다루어야 한다는 필요성을 고려하여, 먹이사슬의 최상위에 있을 뿐만 아니라 하천환경의 건강도를 판단할 수 있는 수환경의 지표종이라 불리는 수달(Lutra lutra)을 대상으로 배설물에 의한 출현빈도와 하천환경 요인들에 대한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수달 서식지 복원을 위한 하천정비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현재 수달이 서식하고 있는 섬진강 지류인 서시천을 연구 대상지점으로 하여 5개 구간을 선정하였으며, 각 구간에 대한 계절별 수달의 배설물 분포를 조사하여 출현빈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먹이, 지형, 식생, 기상인자를 포함한 하천환경 요인들에 대한 자료를 각 계절별로 구축하였으며, 이를 수달의 출현빈도와의 상관관계를 조사하는데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환경 기술적으로는 멸종위기종의 복원, 사회경제적으로는 하천정비사업의 방향제시 등의 기대효과를 가져올 수 있으리라 생각되며 분석된 인자들은 수달 서식지를 위한 하천정비의 기초자료에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따른 유량측정망을 구축하는 것이다.의 의사결정 지원 도구가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유역의 물순환 해석을 위한 일련의 과정, 즉 자료의 조사 및 취득에서부터 물순환 해석 모형을 이용한 정량적 현황파악, 물순환 개선 기법 및 평가를 수행함에 있어 주요 착안점 및 실무에서의 기술적 가이드를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보다 세밀한 도시유역의 물순환 해석을 위하여 우리나라와 일본에서 적용이 활발한 물리적 기반의 분포형 모형(WEP, SHER, SWMM)의 적용사례를 통하여 국내 도시하천의 물순환 해석에 활용함에 있어서의 실질적인 적용절차 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한다.호강유역의 급격한 수질개선을 알 수 있다.世宗實錄) $\ulcorner$지리지$\lrcorner$(地理志)와 동년대에 동일한 목적으로 찬술되었음을 알 수 있다. $\ulcorner$경상도실록지리지$\lrcorner$(慶尙道實錄地理志)에는 $\ulcorner$세종실록$\lrcorner$(世宗實錄) $\ulcorner$지리지$\lrcorner$(地理志)와의 비교를 해보면 상 중 하품의 통합 9개소가 삭제되어 있고, $\ulcorner$동국여지승람$\lrcorner$(東國與地勝覽) 에서는 자기소와 도기소의 위치가 완전히 삭제되어 있다. 이러한 현상은 첫째, 15세기 중엽 경제적 태평과 함께 백자의 수요 생산이 증가하자 군신의 변별(辨別)과 사치를 이유로 강력하게 규제하여 백자의 확대와 발전에 걸림돌이 되었다. 둘째, 동기(銅器)의 대체품으로 자기를 만들어 충당해야할 강제성 당

  • PDF

Life form of the Plants and Vegetation in the Habitat of Endangered Parnassius bremeri in Uiseong, Gyeongsangbuk-do (경북의성 멸종위기종 붉은점모시나비 서식지 식물의 생활형 및 식생)

  • Lee, Nam-Sook;Kim, Chang-Hwan;Kim, Do-Sung;Choi, Young-Eun;Park, Yool-Jin;Lee, Kyeong-B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 /
    • v.14 no.6
    • /
    • pp.57-69
    • /
    • 2011
  • The present paper deals with a research of life form and vegetation of the plants extant in the habitat of endangered Parnassius bremeri in Uiseong, Gyeongsangbuk-do with a view to restore their habitat and create substitute habitats. The research found that there are a total of 130 vascular plants including 47 families, 96 genera, 113 species, 1 subspecies and 16 varieties. In terms of their life form, hemicryptophytes (H) is the majority of dormancy form with 41 species or 31.54%, while $R_5$ is majority of radicoid form with 72 species or 55.38%, gravitational disseminule form ($D_4$) is majority among the disseminule forms with 68 species or 52.31% and erect type (e) is majority of growth form with 57 species or 43.85%. Major constituents of the habitat are Sedum kamtschaticum, Selaginella tamariscina, Orostachys japonica, Arundinella hirta, Cymbopogon tortilis var. goeringii, Themeda triandra var. japonica, Carex humilis, Indigofera kirilowii, Imperata cylindrica var. koenigii, Festuca ovina, Artemisia capillaris, etc., all of species which are in the initial stage of succession and show simultaneously features characteristic of vegetation on the rock. In the habitat 1. Sedum kamtschaticum- Selaginella tamariscina community and Pinus densiflora community are distributed whereas, in the habitat 2. Sedum kamtschaticum-Selaginella tamariscina community, Sedum kamtschaticum-Carex humilis community, Sedum kamtschaticum-Cymbopogon tortilis var. goeringii community and Sedum kamtschaticum-Imperata cylindrica var. koenigii community are growing and in the habitat 3. Sedum kamtschaticum-Selaginella tamariscina community, Selaginella tamariscina community, Sedum kamtschaticum-Indigofera kirilowii community and Quercus acutissima community are seen distributed there, too. Typical of food plants growing in the habitat is Sedum kamtschaticum, found mostly in the rocky area and its surroundings. Absorption plants are those that usually bloom in the season when imagoes emerge. From the research, it becomes evident that the blooming season of Sedum kamtschaticum, obviously a food plant, corresponds exactly to the emergence timing of imagoes. Cirsium japonicum var. ussuriense, Rosa multiflora, Erigeron annuus, Spiraea prunifolia var. simpliciflora are found to belong to these plants.

Initial and Recurrent Anterior Dislocation in Shoulder (견관절 초기 전방 탈구와 재발성 전방 탈구)

  • Kim Young-Kyu;Lee Jae-Hoon;Kim Hyun-Min;Lee Choong-Hoon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v.8 no.2
    • /
    • pp.148-153
    • /
    • 2005
  • Purpose: To assess the usefulness of early stabilization for initial shoulder dislocation which is indicated in some patients by comparing the arthroscopic findings and the outcomes of Bankart repair in the initial and recurrent dislocation. Materials and Methods: The study was performed on 16 cases of initial dislocation and 44 cases of recurrent dislocation. The follow-up period was 25 months in the initial dislocation group and 28 months in the recurrent group. Bankart lesion and the adjacent tissues were compared, and the results were evaluated by the Rowe rating scale. Results: Detached labrum and capsular ligament of the initial dislocation group were elastic and unretracted. While in the recurrent dislocation those were inelastic, and displaced and adhesive in many cases. The outcomes were mean 95 points in the initial group and 91 points in the recurrent group. In the initial group, apprehension was detected in only 1 case(6%). In the recurrent group, instability was detected in 4 cases(9%). Conclusion: Our data suggest that Bankart lesion in the initial dislocation can be repaired readily by surgery, the recovery is efficient, and the recurrence would be reduced. Thus, in active young sports lovers as well as athletes, early stabilization surgery for initial shoulder dislocation may be more helpful.

Change of Ichthyofauna and Fish Community on Natural Stream Restoration In Jeonju-chon stream, Jeollabuk-do, Korea (전주천의 자연형 하천 복원에 따른 어류상 변화 및 군집분석)

  • Park, Jong-Young;Kim, Su-Hwan;Ko, Myeong-Hun;Oh, Min-Ki;Shin, Jin-Cheol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3 no.5
    • /
    • pp.381-391
    • /
    • 2009
  • This is the study of the effects and changes on the ichthyofauna and fish community in Jeonju-cheon stream (located in Jeonju Cit, Jeollabuk-do, South Korea)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Natural Stream Restoration Project. The restoration of the stream was carried out between April 2000 and December 2002, and it covered the mid-section of the stream starting from the upstream of Hanbyeok Bridge down to Samcheon where branches of water join. It is 7.2 km long and passes through the downtown area. In this study, comparisons were made before and after the restoration. Before the restoration (1975 to 1999), the number of fish species collected from the Jeonju-cheon stream turned out to be 12 to 18 species, whereas after the restoration (2003 to 2008), it increased up to 34 species in total. Especially in the case of the middle and downstream sections running across the central regions of the city (Daga Bridge to Seosin Bridge), the number of fish species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5 species to 22 species. Such a dramatic increase of fish species appears to be directly related to the restoration of the stream which was designed to improve the quality of water by preventing polluted sewage water from running into the stream. Besides, the structure of stream bed which became more diversified into various components such as marshes and shallows, as well as rocks, Pebbles, sand and clay, also contributed to the increase of fish species.

A Study on the Transition of Jidang in Changdeok-Place - Based on the Donggwoldo - (창덕궁 지당의 변화과정 연구 - 동궐도를 기준으로 -)

  • Kang, Kee-Rae;Lee, Kee-Cheol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38 no.1
    • /
    • pp.107-118
    • /
    • 2010
  • Palaces of a country can be representative aggregate of the culture and arts of the country. Palaces were used not only as a living place to protect kings and royal families and to live cultural lives, but also a political place to govern the country. Kings in Choseon founded the country on the Sung Confucianism, their philosophical background. They built Bangji and Wondo as constant reminders of their philosophy. Bangji is the most apparent characteristic in the palace gardens of the Choseon Dynasty. Finding out the original form of Jidang, restoring the original and passing it on to future generations can be passing on the spiritual culture of our ancestors. This study is done to find out or locate well preserved Jidang, transformed Jidang and lost Jidang in Changdeokgung, which is the best conserved palace of Choseon. This study is composed of Jidang which has been kept in its original state, transformed Jidang, locating lost Jidang and Jidnang which has been unearthed. The total number of Donggwoldo's Jidangs is 17; those that are kept in their original state, 4; transformed Jidangs, 5; Jidangs that were lost and have been located, 8; and newly appeared Jidangs, 2. From the results, opinions on restoration are presented. This study can be a small drop in the thin stream of tradition passing onto future generations in this world where knowledge and information are transported momentarily and the classification of culture and border is mixed, yielding vagueness.

The test-bed construction and water purification assessment of the eco-convergence type aerated string contacted oxidation system (생태융합형 접촉산화수로 Test-Bed 구축 및 정화효율 평가)

  • Choi, Sunhwa;Lee, Seung-Heon;Jang, Kyusang;Kim, Heung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592-592
    • /
    • 2016
  • 국내에는 17,500여개의 농업용 저수지가 전국적으로 분포하고 있다. 국내 농업용 저수지는 대부분이 소규모이며, 연중 수량 변동이 심하고, 유역배율이 작아 태생적으로 수질오염에 취약한 구조로 되어 있다. 특히 농업용 저수지는 도시 근교나 농촌지역에 많이 위치하고 있어 유역 내 축산 농가나 미처리 생활하수에서 유래된 유기물 및 영양염류 유입에 의한 수질오염도가 높다. 저수지에 고농도로 유입되는 유기물, TN, TP를 처리하기 위하여 농어촌연구원과 수생태복원(주)에서는 공동으로 친환경 수처리시설인 생태융합형 접촉산화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생태융합 접촉산화수로는 상부 식생과 수로 내의 섬유상 끈상 미생물 접촉재를 이용하여 오염수가 수로를 흐르면서 침전, 여과, 흡착, 산화, 흡수 등 물리학적, 화학적, 생물학적 원리를 이용하여 고농도의 유기물과 질소, 인을 제거하는 물리적, 생물학적 공정을 융복합 기술이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시흥시에 소재하고 있는 M 저수지에 현장 Test-bed를 구축하여 수질정화효율을 평가하였다. M 저수지는 유효저수지량이 약 23만톤에 해당하는 소규모 저수지로, 1941년도 준공된 아주 노후화된 저수지로 평균 수심이 2m 이하이고 연중 수질오염도가 높은 저수지이다. 매화저수지 수변에 설치된 생태융합형 접촉산화수로의 전체규모는 길이 8.6m, 폭 2m, 수심 2m에 해당하며, 끈상 미생물 메디아조 3개($2{\times}2{\times}6m^3$), 침전조 1개($2{\times}2{\times}2m^3$)로 구성되어 있다. 기타 부대 장치로는 끈상 메디아조에 산소공급을 위한 Air-mist(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 자동운전계기판, 유입펌프 등이 있다. 생태융합형 접촉산화수로의 처리 공정은 유입수${\rightarrow}$에어미스트${\rightarrow}$고속복합응집장치${\rightarrow}$융복합 산화조(3조)${\rightarrow}$침전조${\rightarrow}$방류로 구성되어 있다. 테스트 베드는 2015년 8월 말경에 구축 완료하였으며, 끈상 미생물 메디아조의 수질정화효율을 평가하기 위하여 9월부터 11월까지 총 7회 걸쳐 유입수와 유출수를 각각 조사하였다. 현장 측정항목인 수온, pH, EC, DO 등은 유입수 및 유출수간 큰 차이가 없었고, COD, SS, Chl-a, TP 등은 수처리시스템 초기 가동시에는 메디아에 미생물 부착율 저조로 유입수 및 유출수 수질농도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운영시간의 경과와 함께 메디아의 미생물 충진율이 높아짐에 따라 처리효율이 최대 SS 69.6%, Chl-a 89.3%, TP 89%까지 도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태융합 접촉산화수로는 부지 집약적인 컴팩트한 수처리 시설로서 현재 널리 이용되고 있는 인공습지를 대체할 수 있는 경제적인 시설로 판단된다.

  • PDF

Petrological Study and Provenance Estimation on the Stone Materials used in the Woldae of Gwanghwamun, Korea (광화문 월대 부재에 대한 암석학적 연구 및 석재공급지 추정)

  • Park, Sung Chul;Park, Sang Gu;Kim, Sung Tae;Kim, Jae Hwan;Jwa, Yong-Joo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40 no.1
    • /
    • pp.46-55
    • /
    • 2019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stone materials used in the Woldae of Kwanghwamun gate to estimate their provenances. The Woldae was partly reconstructed in 2010 using red-colored original stone and greyish new stone. We carried out geological survey in Mt. Bukhan (Bukhansan) and Mt. Surak (Suraksan) to estimate the source of stone, where red-colored granitic rocks are widely distributed. Though the petrographical features of the granitic rocks from the surveyed area are quite similar, there exists a slight variation of magnetic susceptibility and color index of the rocks: the granitic rocks from Mt. Surak have higher value of magnetic susceptibility and clearer reddish feature. A series of evidence, such as historical records, stone cutting traces and petrographical features, for the source of stone materials used in the Woldae tells that Mt. Surak would have been the provenance for the stone materials used in the Woldae. We also conducted a nondestructive test to examine the physical property of the rocks. The original stone shows low compressive strength (147 MPa) due to the weathering, whereas the rock in Mt. Surak has higher compressive strength (244 MPa) capable of being used as building materials. If there were any difficulties to use the granitic rocks in Mt. Surak, some granitic rocks that have similar petr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Changsu stone and Yeongjung stone from the Pocheon area, could be used as building material instead.

Flora and Restoration Plan of Hanon Paddy Fields Made in Maar Crater, Jeju Island, South Korea (제주도 마르형 분화구 내에 형성된 하논의 식물상과 복원 방안)

  • Kim, Myung-Hyun;Nam, Hyung-Kyu;Eo, Jinu;Kwon, Soon-Ik;Song, Young-Ju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
    • v.36 no.4
    • /
    • pp.439-455
    • /
    • 2018
  • Hanon made in the largest maar crater in Korea, is the only paddy field ecosystem in Jeju Island that has been conducting rice farming, for the past 500 years. Flora surveys were conducted eight times, 2015-2018, to understand floristic characteristics and a restoration plan of the study area. As a result, vascular plants of Hanon paddy fields were listed 225 taxa that consist of 55 families, 151 genera, 194 species, 1 subspecies, 25 varieties, and 4 forms. The taxonomic group including the most species, was Gramineae (36 taxa). The next families were Compositae (29 taxa), Cyperaceae (20), Leguminosae (13), and Polygonaceae (11). Biological type of the Hanon was $Th-R_5-D_4-t$ type. The rare plants revealed 3 taxa; Ottelia alismoides(L.) Pers., Acorus calamus L., Pseudoraphis ukishiba Ohwi. Endemic plant revealed 1 taxon; Saururus chinensis(Lour.) Baill. Forty three taxa were naturalized plants composed of 15 families, 24 genera, 41 species, and 2 varieties. The urbanization index and naturalized index were 13.3% and 16.9%, respectively. The Hanon has high plant diversity, including endemic plant and rare plants, and is the only rice paddy in Jeju Island. So, the Hanon has sufficient values in ecological and socio-cultural aspects, so it should be maintained continuously in the future.

Stable Isotopic Reconstructions of Diets in Joseon Dynasty Using Human Remains from Myeongam-ri Site, Asan (조선시대 회곽묘 출토 인골의 안정동위원소 분석을 통한 아산 명암리 피장자의 식생활 복원)

  • Kang, Soyeong;Kim, Yun-Ji;Cho, Eun Min;Kim, Sue Hoon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49 no.4
    • /
    • pp.38-51
    • /
    • 2016
  • This study reports on human dietary reconstruction of Joseon Dynasty using stable isotope analysis. The stable carbon and nitrogen isotope values were measured of bone collagen extracted from 25 human bones from archaeological site in Myeongam-ri, Asan. Average values of ${\delta}^{13}C$ and ${\delta}^{15}N$ are $-19.7{\pm}0.5$‰(n=23) and $9.6{\pm}1.1$‰(n=23), respectively. The isotopic data indicates that Myeongam-ri individuals consumed $C_3$ plants mainly and assumed of dietary resourced from a terrestrial animal protein. Previous isotopic studies of the Joseon era suggested that dietary composition of Joseon population was not influenced by region and burial type. Also comparison of the isotopic results of male and female from double burials showed sex-dependent dietary patterns among individuals living in the same circumsta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