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생태영향

검색결과 3,983건 처리시간 0.072초

사람중심 조직문화 특성이 중소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이일한;한수진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1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13-122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사람중심 조직문화 특성이 중소기업의 비지니스 생태계와 회사탁월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비지니스 생태계와 회사탁월성은 기업성과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업의 사람중심 조직문화 특성을 공감, 역량개발, 권한위임, 업무몰입도로 구분하고 각각의 독립변수들이 매개 변수인 비즈니스 생태계와 화사탁월성에 미치는 영향과 비니니스 생태계와 회사탁월성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인과관계 분석이 주된 연구대상이다. 연구의 결과를 자세히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사람중심 조직문화 특성과 비즈니스 생태계 간의 인과관계에 대한 실증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공감, 역량개발, 권한위임, 업무몰입도는 비즈니스 생태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람중심 조직문화 특성과 회사탁월성 간의 인과관계에 대한 실증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업무몰입도는 회사탁월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감, 역량개발, 권한위임은 통계적으로 회사탁월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역량인 비즈니스 생태계와 회사탁월성과 경영성과 간의 인과관계에 대한 실증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비즈니스 생태계는 경영성과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사탁월성는 경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와 함께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 기존연구와 사람중심 조직문화 특성을 활용하여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실증연구 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학문적 기여점을 찾을 수 있다. 중소기업은 대기업이나 공공기관에 비해 사람중심 경영에 대한 인식이 낮을 것으로 추측되었으나 분석결과 사람중심 조직문화 특성이 기업역량과 기업성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둘째, 기업은 기존의 사업중심의 전통적 기업가정신과 사람중심경영이 잘 융합되어 중소기업 핵심역량에 영향을 주고 이는 다시 기업성과로 이어지는 결과를 낳는 선순환 모형이 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PDF

생태관광 해설품질과 만족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Tourism Interpretation Quality and Tourist Satisfaction in Ecotourism)

  • 전주형;임연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520-527
    • /
    • 2016
  • 이 연구는 생태관광에서 해설자 역할, 해설 시스템, 해설품질과 생태 관광자 만족의 관계 이외 해설품질의 매개역할을 밝히는 것이 연구목적이다. 연구결과 생태관광에서 해설자 역할은 해설품질에 영향을 미쳤으나 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생태관광 해설 예약과 프로그램과 같은 해설 시스템은 해설품질과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생태관광의 해설 품질은 관광자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생태관광 해설품질은 생태관광 해설자 역할과 생태관광 해설 시스템이 만족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 연구 결과는 생태관광 해설사 역할만으로는 관광자 만족을 충족시키지 못하며, 물리적 증거가 생태관광 활성화를 위해 중요하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결론적으로 생태관광 해설은 해설자가 관광객에게 어느 정도의 해설 내용과 프로그램으로 해설 품질을 제공하느냐에 그 성공여부가 달려있다.

북한의 생태적자 추이 및 영향요인 분석 (Trend and Affecting Factors of Ecological Deficit in North Korea)

  • 여민주;김용표
    • 환경영향평가
    • /
    • 제27권1호
    • /
    • pp.56-72
    • /
    • 2018
  • 북한은 환경자원 소비가 충분하지 못함에도 불구하고 생태발자국이 생태수용력보다 큰 생태적자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북한의 생태수용력과 생태발자국, 생태적자 추이를 살펴보고, 생태발자국과 생태수용력의 비를 의미하는 오버슈트 비율에 영향을 준 5개 요인의 기여도를 살펴보았다. 5개 요인은 생태발자국을 구성하는 인구와 개인의 환경자원 소비강도를 의미하는 일인당 생태발자국, 생태수용력을 구성하는 토지면적, 생산성인자, 그리고 토지면적과 생산성인자를 제외하고 생태수용력에 영향을 주는 요인(등가인자와 연간생산성인자 변화율의 곱)이다. 북한의 생태적자는 생태수용력보다 생태발자국을 구성하는 요인에 의한 기여가 높았다. 생태적자는 1966년에 시작되었는데, 이 시점부터 1990년대 중반까지는 일인당 생태발자국 값이 오버슈트 비율에 기여하는 비율이 60% 전후로 가장 높았고, 1990년대 중반 이후에는 인구에 의한 기여도가 40~60%로 가장 높았다. 토지면적과 생산성인자에 의한 기여도도 1990년대 중반 이후 높아져서 토지면적은 최대 15%, 생산성인자는 최대 18%까지 증가하였다. 생태수용력과 생태발자국 모두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경작지 부문의 경우, 면적이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생산성이 줄어들어 생태수용력이 감소하였다. 북한의 생태적자를 줄이기 위해서는 1990년 이후 눈에 띄게 줄어들고 있는 산림면적을 이전 수준으로 복구하고, 경작지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또한 근본적으로 북한 주민의 빈곤을 해결할 수 있는 식량 지원 방안, 자연재해에 대한 취약성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도 함께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환경영향평가서에 나타난 개발사업의 생태면적률 검토 연구 (Analysis of Biotope Area Ratio in the Environmental Impact Statements)

  • 이상돈
    • 환경영향평가
    • /
    • 제27권4호
    • /
    • pp.394-401
    • /
    • 2018
  • 본 연구는 환경영향평가의 생태면적률의 인구, 지역, 사업 유형, 총 사업면적에 따른 경향성을 분석하였다. 생태면적률은 총대지면적 중 생태적 기능이 있는 토지면적의 비율로, 생태계 보존과 개발된 단지에서 생활하는 시민들의 건강과 삶의 질에 중요한 요소이다. 현재 환경영향평가에서는 가중치가 고려된 생태면적과 총 사업면적의 비로 생태면적률을 산출하며, 각 사업 유형 별로 최소 목표 생태면적률을 제시하여 최소한의 생태면적을 확보하도록 하고 있다. 경향성에 대한 평가는 도시의 개발, 산업입지 및 산업단지 조성, 관광단지 개발, 폐기물처리시설 및 분뇨처리시설의 설치 사업 등 총 4가지 사업에 대하여 총 55개의 표본을 근거로 하였다. 본 연구는 경향성을 분석한 결과 인구에 대한 고려가 반영된 척도, 사업빈도와 지역 전체를 고려한 생태면적률 조정, 그리고 최소달성치 달성 여부에 대한 규제 강화를 통해 현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는 결론을 얻었다. 본 연구 이후로 더 많은 수의 데이터를 포함한 광범위한 연구와, 구체적 제도개선에 대한 연구가 후속되어야 한다.

하천 골재채취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분석 (Environmental Effect of River Aggregate Dredging)

  • 박의정;김철;김석규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4년도 학술발표회
    • /
    • pp.1350-1355
    • /
    • 2004
  • 주택건설과 대규모 개발사업으로 인해 골재부족이 심화되면서 하천정비공사에서 골재채취가 주요한 사업이 되고 있다. 하지만 무분별한 골재채취는 하천생태계를 파괴시키는 원인이 된다. 본 연구는 하천에서 골재를 채취할 때 수생태계에 미치는 영향과 골재채취를 중지하고 휴식년제를 취할 때의 수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서로 비교${\cdot}$분석함으로서 하천골재 채취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수리학적 분석, 수질분석, 생태학적 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대상지역은 영산강의 일부구간으로 현재 이 구간은 골재채취공사가 진행중인 지역이다. 하상변동을 수치해석으로 모의한 결과 하상은 골재채취후 안정적으로 유지될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골재채취가 수질에 미치는 영향은 그리 크지 않았고 단지 부유사(SS)가 약간 증가하였다. 생태학적 조사 결과 어류, 포유류, 양서류, 파충류와 조류는 공사로 인한 영향을 많이 받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골재채취 사업에 따른 환경영향평가 및 사전환경성 검토에 활용될 수 있고, 하천공사와 수공구조물의 설계 및 유지관리 등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생태학적 조경설계 평가와 아파트 스카이라인의 비교 (Comparisons of the Assessment of Ecological Landscape Design and the Apartment Skylines)

  • Kwon, Sang-Zoon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90-100
    • /
    • 2003
  • 본 연구는 건축고도제한에 의해 생태학적 조경설계는 어떻게 통제되며, 또한 생태학적 조경 설계가 무엇인가를 구명하는 것이다. 따라서 두 가지 다른 단지를 비교하여 건축물 스카이라인이 주변경관과 조화로운 심미적 설계를 가능하게 하는 영향에 관하여 고찰할 수 있다. 이 비교를 통하여 스카이라인 통제가 아파트단지 계획과 설계에서 생태학적 조경설계에 영향을 주는가를 검증하게 될 것이며, 스카이라인이 통제된 아파트단지가 조경시설 설계에 있어서 전체적, 역동적, 반응적, 직관적 접근을 할 때 상대적으로 우선성을 표출할 수 있을 것이다. 아파트단지 계획·설계에 있어 건물고도제한이 적절하게 검토되어 스카이라인의 통제를 더 강하게 할수록 아파트단지에서 만들어진 조경환경의 특성이 강조되고 강화한 경관이 더 조화롭게 된다는 점에서 경관에 유용하고 편익이 있다. 생태학적 조경설계의 평가사항은 자기 지속적, 자연적·문화적 정체성, 개연적 외관, 생태학적 접근으로 이뤄진다는 전제 아래 세부사항 18개 항목을 표출하였다. 또한 스카이라인 통제는 자연적 경관을 보전하고 수목이 단지의 안팎으로 자연스럽게 펼쳐지는 녹지 네트워크와 야생 동물 코리도를 획득하기 위하여 독특한 경관을 설계하고 개성적인 것으로 도출하여 조화로운 심미성을 이룩하는데 유용하다는 것을 계량적으로 표출하였다. 아파트단지의 경관에서 의미 있는 것은 다양한 접근으로 설계되고 건물 스카이라인 통제방법을 강화함으로써 관리되는 스카이라인의 실루엣이 다양하고 개성적 형태를 표출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결과적으로 스카이라인의 영향과 생태학적 조경설계가 계량적 요소에 의해 상대적으로 비교될 수 있으며, 생태학적 조경설계의 평가시설지표는 보다 세분화됨으로써 전체적인 설계요소의 강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우리 나라 생태계 다양성 현황과 보전전략 (The Current Status of Ecosystem Diversity in Korean and Conservation Strategy)

  • 이상돈;정응호
    • 환경영향평가
    • /
    • 제11권4호
    • /
    • pp.259-269
    • /
    • 2002
  • 보전전략은 규모가 큰 지역을 설정하여야 하는 데 그 이유는 광역보전지역은 다양한 생물지리학적인 분포를 포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관점에서 본 보고서는 우리 나라의 다섯 개의 중요한 생태계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다섯 개의 생태계는 산림생태계, 담수생태계, 연안 및 해양 생태계와 도서생태계 그리고 비무장지대생태계이다. 각각의 생태계 보전전략에 대해 물리적인 측면과 생물지리적 측면에서 기술되었으며 생태계 보전방안은 생태계의 기능과 가치뿐만 아니라 자연시스템을 유지하고 복원하는 데 매우 유리하다. 생태계 보전을 위해 1) 지역주민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2) 연구와 교육 및 홍보의 기능을 강화하며, 3) 지역정보와 기술을 상호 교환하고, 4) 국제협력 증진을 도모, 5) 보전지역을 조성하기 위한 예산확보를 제안하였다.

하천 서식처 기반 생태학적 가뭄의 예경보 기술 개발 (Development of ecological drought forecasting and warning technology using river habitat)

  • 박서연;박상혁;김영준;이주헌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3년도 학술발표회
    • /
    • pp.49-49
    • /
    • 2023
  •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가뭄의 발생 빈도가 전 세계 곳곳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가뭄이란 강수량 혹은 가용 수자원 등이 평균적인 수준에 비해 지속해서 적게 유지되는 현상으로 다양한 분야(기상, 농업, 사회, 경제 등)에 피해를 발생시킨다. 가뭄이 지속되면 인간 사회 뿐만 아니라 동·식물이 서식하고 있는 생태계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우리나라에서도 2000년대 이후 주기적으로 발생한 가뭄으로 인해 가뭄 현상을 모니터링하고 예측, 전망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환경생태가뭄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가뭄으로 인해 환경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중 수생태계에 초점을 맞춰 진행하였으며, 수생태계에 서식하는 동·식물 중 어류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생태가뭄을 빠르고 쉽게 예측하기 위해 Ecological Nomograph를 개발하여 가뭄에 따른 수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온 결과를 바탕으로 환경가뭄을 감시하고 대응하기 위한 분석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생태지역 유형에 따른 방문경험의 인식적 차이에 관한 연구 (Exploring Visitor Experiences based on Types of Ecological Sites)

  • 최영석;김병국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25-230
    • /
    • 2018
  • 본 연구는 생태지역 유형에 따른 방문자의 경험에 대한 인식을 비교하는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생태지역 유형을 자연생태지역과 인공생태지역으로 구분하였으며, 생태지역별 방문 경험자를 대상으로 방문경험에 대한 인식도 분석과 인식도에 따른 만족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방문경험 인식 측정요소에 대한 분석결과, 생태체험, 환경친화, 사회성, 휴식 등의 4개 요인이 도출되었다. 자연생태지역과 인공생태지역에 따라 방문경험 요인별로 인식차이를 비교한 결과, 전반적으로 자연생태지역에서의 방문경험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생태지역방문경험 인식이 방문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결과에서는 자연생태지역과 인공생태지역에서 휴식성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자연생태지역에서는 생태체험 요인, 인공생태지역에서는 환경친화 요인이 방문자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에 대한 계획 및 관리적 차원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대학생의 생태관광 인식이 행동의도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cotourism Perception on Behavior Intention and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 이익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268-276
    • /
    • 2021
  •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생태관광에 대한 가치인식이 행동의도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식적 가치, 감정적 가치, 기능적 가치의 모든 생태관광 가치 인식 요인은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식적 가치, 감정적 가치, 기능적 가치의 모든 생태관광 인식요인은 행동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생태관광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생태관광 만족도와 행동의도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으나, 서비스 및 품질, 프로그램 등으로 이루어진 기능적 가치는 다른 요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영향을 적게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생태관광 상품 만족도 및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각각의 생태관광 가치인식 요소에 대해 대응할 수 있는 접근성 높은 주말상품 개발, 지속가능한 간광상품개발 등 다양한 마케팅 전략과 교육프로그램 등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