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태영향

Search Result 3,981,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사람중심 조직문화 특성이 중소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Lee, Il-Han;Han, Su-Ji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9.11a
    • /
    • pp.113-122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사람중심 조직문화 특성이 중소기업의 비지니스 생태계와 회사탁월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비지니스 생태계와 회사탁월성은 기업성과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업의 사람중심 조직문화 특성을 공감, 역량개발, 권한위임, 업무몰입도로 구분하고 각각의 독립변수들이 매개 변수인 비즈니스 생태계와 화사탁월성에 미치는 영향과 비니니스 생태계와 회사탁월성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인과관계 분석이 주된 연구대상이다. 연구의 결과를 자세히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사람중심 조직문화 특성과 비즈니스 생태계 간의 인과관계에 대한 실증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공감, 역량개발, 권한위임, 업무몰입도는 비즈니스 생태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람중심 조직문화 특성과 회사탁월성 간의 인과관계에 대한 실증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업무몰입도는 회사탁월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감, 역량개발, 권한위임은 통계적으로 회사탁월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역량인 비즈니스 생태계와 회사탁월성과 경영성과 간의 인과관계에 대한 실증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비즈니스 생태계는 경영성과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사탁월성는 경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와 함께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 기존연구와 사람중심 조직문화 특성을 활용하여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실증연구 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학문적 기여점을 찾을 수 있다. 중소기업은 대기업이나 공공기관에 비해 사람중심 경영에 대한 인식이 낮을 것으로 추측되었으나 분석결과 사람중심 조직문화 특성이 기업역량과 기업성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둘째, 기업은 기존의 사업중심의 전통적 기업가정신과 사람중심경영이 잘 융합되어 중소기업 핵심역량에 영향을 주고 이는 다시 기업성과로 이어지는 결과를 낳는 선순환 모형이 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PDF

Relationship between Tourism Interpretation Quality and Tourist Satisfaction in Ecotourism (생태관광 해설품질과 만족의 관계)

  • Chun, Joo-Hyung;Lim, Yeon-Woo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7 no.2
    • /
    • pp.520-527
    • /
    • 2016
  •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among Interpreter's Role, Interpretation System, Interpretation Quality, and Tourist Satisfaction in ecotourism. As a results of the analysis, the following findings were obtained. First, the Interpreter's Role affects the Interpretation Quality, but does not affect the Tourist Satisfaction in ecotourism. Second, the Interpretation System affects Interpretation Quality and Tourist Satisfaction. Third, Interpretation Quality influences the Tourist Satisfaction. Finally, the Interpretation Quality plays a mediated effect between relationship Interpreter's Role, Interpretation System and Tourist Satisfaction. Nevertheless, the key to success in ecotourism is how to explain the interpretation to the tourist

Trend and Affecting Factors of Ecological Deficit in North Korea (북한의 생태적자 추이 및 영향요인 분석)

  • Yeo, Min Ju;Kim, Yong Pyo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7 no.1
    • /
    • pp.56-72
    • /
    • 2018
  • North Korea has been in ecologically deficit state since 1966, despite of lack of energy and food resources. Trends of the Biocapacity (BC), the Ecological Footprint (EF), and the Ecological Deficit (ED) of North Korea were shown and five factors influencing on the Overshoot Rate (OSR) which is the ratio of the BC and the EF in North Korea was analyzed in this study. The five factors consist of two factors affecting to the EF and three factors affecting to the BC in North Korea. Two of the five factors are affecting to the EF those are population, the EF per capita (EFPC) which indicates the individual environmental consumption intensity, and three are affecting to the BC those are the land area, the yield factor, and the value multiplying the equivalence factor and the intertemporal yield factor. The EF has contributed more than the BC to the OSR. From 1966 to mid-1990s, the EFPC was the most contributing factor at about 60%, and after mid-1990s, population at about 40~60%. Contribution ratio of land area and the yield factor have increased after mid-1990s up to 15% and 18%, respectively. The BC of cropland which has decreased due to a decrease in productivity. In order to reduce the ED of North Korea, improvement of productivity of cropland and restoration of forest. Forest area has decreased significantly since 1990 in NK. And ways to solve the food shortage problem which influences on decrease of both productivity of cropland and forest area.

Analysis of Biotope Area Ratio in the Environmental Impact Statements (환경영향평가서에 나타난 개발사업의 생태면적률 검토 연구)

  • Lee, Sang-Don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7 no.4
    • /
    • pp.394-401
    • /
    • 2018
  • Tendency in ratio of biotope area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EIA) according to population, location, project type, and total project area was analyzed by type of the projects. According to EIA, biotope area ratio is the ratio of the weighted biotope areas and total project area. biotope area is important to resident's health and quality of their life. Ministry of Environment recommends to meet the biotope area ratio standard presented by each project type. The analysis is based on 4 types of project, urban development, industrial comlpex deveopment, tourism development, and waste and sewerage treatment facility, and 55 data extracted from them. It is needed that new standard that the population is reflected, adjustment that region and frequency are considered, and regulation strengthening according to achievement of 'the minimum achievable goals' to improve biotope area policy. The research includes more data and improvements of specific system are needed as a further research.

Environmental Effect of River Aggregate Dredging (하천 골재채취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분석)

  • Park, Eui Jung;Kim, Chul;Kim, Seok Ky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1350-1355
    • /
    • 2004
  • 주택건설과 대규모 개발사업으로 인해 골재부족이 심화되면서 하천정비공사에서 골재채취가 주요한 사업이 되고 있다. 하지만 무분별한 골재채취는 하천생태계를 파괴시키는 원인이 된다. 본 연구는 하천에서 골재를 채취할 때 수생태계에 미치는 영향과 골재채취를 중지하고 휴식년제를 취할 때의 수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서로 비교${\cdot}$분석함으로서 하천골재 채취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수리학적 분석, 수질분석, 생태학적 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대상지역은 영산강의 일부구간으로 현재 이 구간은 골재채취공사가 진행중인 지역이다. 하상변동을 수치해석으로 모의한 결과 하상은 골재채취후 안정적으로 유지될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골재채취가 수질에 미치는 영향은 그리 크지 않았고 단지 부유사(SS)가 약간 증가하였다. 생태학적 조사 결과 어류, 포유류, 양서류, 파충류와 조류는 공사로 인한 영향을 많이 받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골재채취 사업에 따른 환경영향평가 및 사전환경성 검토에 활용될 수 있고, 하천공사와 수공구조물의 설계 및 유지관리 등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Comparisons of the Assessment of Ecological Landscape Design and the Apartment Skylines (생태학적 조경설계 평가와 아파트 스카이라인의 비교)

  • Kwon, Sang-Zoo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31 no.1
    • /
    • pp.90-100
    • /
    • 2003
  • 본 연구는 건축고도제한에 의해 생태학적 조경설계는 어떻게 통제되며, 또한 생태학적 조경 설계가 무엇인가를 구명하는 것이다. 따라서 두 가지 다른 단지를 비교하여 건축물 스카이라인이 주변경관과 조화로운 심미적 설계를 가능하게 하는 영향에 관하여 고찰할 수 있다. 이 비교를 통하여 스카이라인 통제가 아파트단지 계획과 설계에서 생태학적 조경설계에 영향을 주는가를 검증하게 될 것이며, 스카이라인이 통제된 아파트단지가 조경시설 설계에 있어서 전체적, 역동적, 반응적, 직관적 접근을 할 때 상대적으로 우선성을 표출할 수 있을 것이다. 아파트단지 계획·설계에 있어 건물고도제한이 적절하게 검토되어 스카이라인의 통제를 더 강하게 할수록 아파트단지에서 만들어진 조경환경의 특성이 강조되고 강화한 경관이 더 조화롭게 된다는 점에서 경관에 유용하고 편익이 있다. 생태학적 조경설계의 평가사항은 자기 지속적, 자연적·문화적 정체성, 개연적 외관, 생태학적 접근으로 이뤄진다는 전제 아래 세부사항 18개 항목을 표출하였다. 또한 스카이라인 통제는 자연적 경관을 보전하고 수목이 단지의 안팎으로 자연스럽게 펼쳐지는 녹지 네트워크와 야생 동물 코리도를 획득하기 위하여 독특한 경관을 설계하고 개성적인 것으로 도출하여 조화로운 심미성을 이룩하는데 유용하다는 것을 계량적으로 표출하였다. 아파트단지의 경관에서 의미 있는 것은 다양한 접근으로 설계되고 건물 스카이라인 통제방법을 강화함으로써 관리되는 스카이라인의 실루엣이 다양하고 개성적 형태를 표출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결과적으로 스카이라인의 영향과 생태학적 조경설계가 계량적 요소에 의해 상대적으로 비교될 수 있으며, 생태학적 조경설계의 평가시설지표는 보다 세분화됨으로써 전체적인 설계요소의 강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The Current Status of Ecosystem Diversity in Korean and Conservation Strategy (우리 나라 생태계 다양성 현황과 보전전략)

  • Lee, Sang-Don;Jung, Eung Ho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11 no.4
    • /
    • pp.259-269
    • /
    • 2002
  • 보전전략은 규모가 큰 지역을 설정하여야 하는 데 그 이유는 광역보전지역은 다양한 생물지리학적인 분포를 포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관점에서 본 보고서는 우리 나라의 다섯 개의 중요한 생태계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다섯 개의 생태계는 산림생태계, 담수생태계, 연안 및 해양 생태계와 도서생태계 그리고 비무장지대생태계이다. 각각의 생태계 보전전략에 대해 물리적인 측면과 생물지리적 측면에서 기술되었으며 생태계 보전방안은 생태계의 기능과 가치뿐만 아니라 자연시스템을 유지하고 복원하는 데 매우 유리하다. 생태계 보전을 위해 1) 지역주민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2) 연구와 교육 및 홍보의 기능을 강화하며, 3) 지역정보와 기술을 상호 교환하고, 4) 국제협력 증진을 도모, 5) 보전지역을 조성하기 위한 예산확보를 제안하였다.

Development of ecological drought forecasting and warning technology using river habitat (하천 서식처 기반 생태학적 가뭄의 예경보 기술 개발)

  • Seo-Yeon Park;Sang-Hyeok Park;Young-Jun Kim;Joo-Heon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9-49
    • /
    • 2023
  •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가뭄의 발생 빈도가 전 세계 곳곳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가뭄이란 강수량 혹은 가용 수자원 등이 평균적인 수준에 비해 지속해서 적게 유지되는 현상으로 다양한 분야(기상, 농업, 사회, 경제 등)에 피해를 발생시킨다. 가뭄이 지속되면 인간 사회 뿐만 아니라 동·식물이 서식하고 있는 생태계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우리나라에서도 2000년대 이후 주기적으로 발생한 가뭄으로 인해 가뭄 현상을 모니터링하고 예측, 전망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환경생태가뭄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가뭄으로 인해 환경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중 수생태계에 초점을 맞춰 진행하였으며, 수생태계에 서식하는 동·식물 중 어류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생태가뭄을 빠르고 쉽게 예측하기 위해 Ecological Nomograph를 개발하여 가뭄에 따른 수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온 결과를 바탕으로 환경가뭄을 감시하고 대응하기 위한 분석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Exploring Visitor Experiences based on Types of Ecological Sites (생태지역 유형에 따른 방문경험의 인식적 차이에 관한 연구)

  • Choi, Young-Seok;Kim, Byung-Gook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32 no.2
    • /
    • pp.225-230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visitors' experiences based on two different types of ecological sites: natural and artificial ecological sites. Specifically,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the perceived experiences and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perception of the visitors to the ecological sites. First, the analysis of measurement factors of visitor experience perception identified four factors such as ecological experience, environment friendliness, sociality, and relaxation. The comparison of perception according to the factor of visitor experience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natural and artificial ecological sites and that the perceived visitor experience was generally higher in the natural ecological sites.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the perceived visitor experience to ecological sites on visitor experience showed the relaxation had the largest influence for both natural and artificial ecological sites. The ecological experience and environmental friendliness also had a significant impact on visitor satisfaction in the natural ecological sites and artificial ecological sites, respectively. This paper also discussed the implications for planning and management issues at ecological sites.

The Effect of Ecotourism Perception on Behavior Intention and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대학생의 생태관광 인식이 행동의도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Lee, Yk-Su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1 no.1
    • /
    • pp.268-276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value perception of ecotourism on the behavioral intention and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all ecotourism value recognition factors, such as cognitive value, emotional value, and functional value, had a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all ecotourism recognition factors, such as cognitive value, emotional value, and functional value, had a positive(+)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 These results show that the higher the awareness of ecotourism is, the higher the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s of ecotourism are, but the functional value made up of services, quality, and programs has relatively less influence than other factors. Therefore, various marketing strategies and educational programs such as the development of accessible weekend products and development of sustainable light-emitting products that can respond to each ecotourism value recognition factor that affects the ecotourism product satisfaction and behavior intention should be develop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