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생체활성도

검색결과 1,057건 처리시간 0.022초

암로디핀이 레파그리니드의 약물동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mlodipine on the pharmacokinetics of Repaglinide)

  • 최동현;최준식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15-223
    • /
    • 2011
  • 암로디핀과 레파그리니드의 병용은 당뇨병의 합병증으로인한 고혈압 유발 시 병용 처방될 수 있다. 암로디핀과 레파그리니드의 약동학적 상호작용 연구를 위하여 암로디핀 (0.1 및 0.4 mg/kg) 과 레파그리니드를 흰 쥐에 경구(0.5 mg/kg) 및 정맥 (0.2 mg/kg) 투여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암로디핀이 cytochrome P450 (CYP) 3A4 활성과 P-glycoprotein (P-gp)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도 평가하였다. 암로디핀의 CYP3A4의 50% 효소활성억제는 $9.1{\mu}M$ 이었다. 암로디핀은 P-gp의 활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암로디핀 (0.4 mg/kg)은 레파그리니드의 혈장곡선하면적(AUC)과 최고혈장농도 ($C_{max}$)를 40.2% 와 22.2% 각각 유의성 (p < 0.05)있게 증가시켰다. 따라서, 레파그리니드의 상대적생체이용률 (RB)은 암로디핀과 병용투여 시 1.18-1.40 배 증가되었으며, 또한 레파그리니드의 절대적생체이용률(AB)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41.0% 유의성 있게 증가되었다. 경구 투여 시와는 대조적으로, 암로디핀은 정맥 내로 투여된 레파그리니드에서는 약동학적 파라미터에 어떤 영향도 미치지 않았다. 따라서 암로디핀이 레파그리니드의 생체이용률을 증가시킨 것은 신장배설 감소 또는 P-gp 활성억제 보다는 암로디핀이 소장 또는 간장에서 CYP3A4을 억제시켰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암로디핀과 레파그리니드의 병용투여 시 레파그리니드의 용량을 조절하는 것이 안전하다고 사료된다.

Glycation propagator에 의한 DNA damage 증가 (Increased DNA Damage Induced by Glycation Propagator)

  • 손태건;곽이섭;진영완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406-410
    • /
    • 2004
  • Glycation 반응은 glucose와 amino group 간에 일어나는 비효소적 축합 반응인 maillard 반응의 초기 반응으로 non enzymatic glycation 이라고도 한다. 생체내 glycation 반응을 통해 다수의 dicarbonyl화합물이 생성되고, 이들 dicarbonyl들 중에서 매우 반응성이 큰 것으로 확인된 glyoxal과 methylglyoxal과 catalase를 반응 시켜 glycation catalase의 활성 변화를 확인하였다. Non-glycated catalase에 비해 glycation catalase에서 구조적 인 modification과 degradation이 일어났으며, glycation반응 시간에 따라 활성이 크게 저하되는 것으로 확인 할 수 있었다. 특히 glycation 반응 시간 20일 경과 이후 glycation catalase 경우 활성이 거의 상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Glyoxal과 methylglyoxal의 농도를 달리 해서 DNA와 반응 시켜 glycation propagator에 의한 직접적인 DNA damage를 확인 한 결과 Glyoxal과 methylglyoxal의 농도와 반응 시간에 따라 DNA mobility sit의 차이를 나타냈다. Fenton reaction 조건에 glyoxal과 methylglyoxal에 의해 활성이 저하된 catalase를 첨가 시켜 8-OH-dG의 생성을 확인한 결과 두 glycation propagator와의 반응 시간 의존적으로 8-OH-dG의 생성이 증가함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glyoxal과 methylglyoxal의 antioxidant의 glycation은 oxidative stress의 증사를 유발해 생체내 활성 산소로부터 방어 기작에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Rhodotorula glutinis K-501에 의해 생산된 세포외지질의 생체계면활성제로서 물리화학적 특성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Extracellular Lipid Produced by Rhodotorula glutinis K-501 as a Biosurfactant)

  • 박평규;채희정;김의용
    • KSBB Journal
    • /
    • 제13권1호
    • /
    • pp.65-70
    • /
    • 1998
  • 지질 생산 효모인 Rhodotorula glutinis K -501이 생산하는 세포외지질(extracellular lipid)의 물리화학적 성질을 조사하여 생체 계면활성제로서의 응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분석실험 결과 생산된 세포외지질은 당지질계 물질임을 알 수 있었다. 세포외지질의 임계미셀농도와 표면장력은 각각 89mg/L와 31dyne/cm로서 계면활성제로서 매우 우수한 표면활성을 가지고 있었으며 넓은 범위의 pH에서 표면장력의 값은 일정하였다. 상용 계면활성제인 Tween 80과 Triton X-100에 비하여 세포외지질은 각각2-3배 높은 유화도와 1.3배 높은 분산력을 가지고 있었다.

  • PDF

타이타늄 소재의 치과용 임플란트 표면처리 기술

  • 김명덕
    • 한국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료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20.1-20.1
    • /
    • 2011
  • 타이타늄의 내부식 특성은 분해하기 어려운 산화물의 보호피막을 형성 함으로서 무독성의 생체친화적 성질을 가지고 있어 심장밸브, 인공 뼈 등 신체 조직의 이식에 사용될 만큼 인체에 무해한 금속으로 의료용으로 많이 응용되고 있다. 본 강연에서는 생체재료로써 의료용 타이타늄의 적용현황을 소개하고, 이를 통해 타이타늄의 가치를 다시 한번 재고하고자 한다. 타이타늄 임플란트에서 그 표면과 골사이의 골유착(osseointegration)은 성공적인 임상결과를 얻기 위한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다. 1960년대에는 기계가공 된 매끈한 형태의 타이타늄 표면을 시작으로 골유착을 얻고자 하였다. 이러한 시도를 통해 임플란트가 점차 대중화 되면서 1980년대 부터 타이타늄 표면과 골과의 유착을 조기에 실현하고, 골유착 강도를 강화하기 위해 다양한 표면기술이 개발 되기 시작하였다. 크게는 1. 표면적 증대 기술, 2. 화학적 방식을 통한 표면기술, 3. 생체활성 유도형 표면기술, 4. 서방출 등을 응용한 골유도 및 활성 조절형 표면기술 등이 개발되어 제품화 되거나 그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다양한 표면기술에 대한 흐름을 이해하고 이에 대한 장, 단점을 이해함으로써 앞으로 기술적으로 극복해 나가야 할 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다양한 표면기술에 대한 유효성과 그에 대한 중, 장기 안전성에 대한 중요성을 이해하고 이를 평가하기 위한 여러 가지 절차와 방법 소개를 통해 신뢰성 있는 연구개발이 될 수 있기 바란다.

  • PDF

담배적용 생체내(in vivo) 평가;아만성 흡입독성 시험을 중심으로 (In Vivo Toxicological Assessment of Tobacco Products;Subchronic Inhalation Toxicity)

  • 손형옥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66-76
    • /
    • 2008
  • 생물학적으로 활성이 있는 물질들의 생체 내 대사를 이해하고 인체 독성 및 질환의 발현을 예측할 수 있는 가장 좋은 시험방법은 생체 내 독성 평가법이다. 담배연기의 생체 내 독성 평가법에는 14일 흡입독성시험, 90일 흡입독성 시험 및 피부도말 종양발생 시험 등이 있다. 90일 흡입독성 시험은 담배의 일반적인 독성 정보를 제공한다. 생체 내 독성평가는 담배 첨가물, 재료품 또는 제품 설계를 변경할 경우 담배연기 독성이 증가 또는 감소되었는 지를 평가할 수 있으며 이 결과는 제품보증에 활용될 수 있다. 캐나다의 독성평가자료 제출 및 EU 등의 담배첨가물에 대한 규제는 향 후 이런 생체 내 시험에 대한 지속적이고도 구체적인 요구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버섯균사체 발효 뽕잎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Mulberry Leaves Extract Fermented by Hericium erinaceum)

  • 강정훈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1025-1035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뽕잎(Morus alba)을 노루궁뎅이 버섯균사체(Hericium erinaceum)로 발효시킨 열수 추출물(MA-HE)의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MA-HE의 항산화 활성을 DPPH radical, ABTS radical 소거활성 측정을 통해 알아보았다. 그 결과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500{\mu}g/mL$ 농도에서 61.73%, ABTS radical 소거활성은 $250{\mu}g/mL$ 농도에서 97.39%로 나타났다. MA-HE은 DNA의 산화적 손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또한 생체고분자물질인 사람의 혈청단백질의 산화적 손상을 억제하였다. 세포에 $H_2O_2$를 처리하였을 때 세포생존율에 비하여 발효물을 $100{\mu}g/mL$ 농도로 전 처리한 세포생존율은 8% 증가했으며, 발효물을 $50{\mu}g/mL$ 농도로 처리했을 경우 세포 내 활성산소의 축적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MA-HE이 항산화 활성을 가지고 있으며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해 야기되는 세포 독성에 대한 보호 작용도 뛰어난 것으로 사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