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생체축적

검색결과 221건 처리시간 0.024초

슬러지 급이에 따른 Zn, Cu, Fe, Al의 줄지렁이 체내 생물축적 (Bioaccumulation of Zn, Cu, Fe and Al in the Earthworm Eisenia Fetida (Ennelida; Oligochaeta) in Relation to the Supply of Sludges)

  • 박광일;배윤환
    • 유기물자원화
    • /
    • 제20권3호
    • /
    • pp.60-70
    • /
    • 2012
  • 경기도 포천시에 소재하는 몇 군데의 하수처리장에서 채취된 슬러지내의 Zn, Cu, Fe, Al 함량을 측정하고 슬러지를 줄지렁이에게 장기간 급이하면서 이들 금속류의 지렁이 체내 축적량을 조사하였다. 슬러지내 Zn 함량은 75.1~196.1 mg/kg, Cu 함량은 3.74~76.1 mg/kg, Fe 함량은 219.9~857.8mg/kg, Al 함량 198.4~991.7 mg/kg로 나타났다. 이들 금속류의 슬러지내 함량은 줄지렁이에 대하여 단기적으로 직접 치사 독성을 유발할 정도는 아니었으나, 장기적으로는 아독성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고 이들 금속류에 의한 산란 및 부화율 억제에 의한 차세대 개체군의 감소 현상을 유발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60g(dw)의 슬러지 급이후 이들 금속류의 지렁이 생체내 축적률(BAF)은 0.0-0.43으로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슬러지를 장기간 급이하여도 슬러지내 Zn, Cu, Fe, Al가 줄지렁이 생체내에 누적적으로 축적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 위해물질-식품의 중금속 오염 현황과 관리방안

  • 윤기선
    • 식품기술
    • /
    • 제20권4호
    • /
    • pp.37-49
    • /
    • 2007
  • 중금속은 인류가 금속을 이용하기 시작하면서 위험인자로 대두되기 시작하여 산업화 과정과 함께 환경오염을 초래하였고 나아가 식품을 오염시키는 원인물질로 작용함으로써 인간의 건강을 위협하기에 이르렀다. 중금속은 체내에서 분해되기 어렵고 배출이 쉽지 않아 생물체에 축적되면 먹이 연쇄를 따라 농축되므로 먹이사슬의 최종소비자인 사람에게 식품의 중금속 오염은 심각한 문제다. 특히 수은, 납, 카드뮴은 식품 중에서 공통적으로 볼 수 있는 독성물질로 생체조직과 강한 결합을하여 생체 내에 축적되어 천천히 제거되는 유해물질이다. 본문에서는 국내.외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식품의 중금속 오염현황, 위해성, 관리방안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PDF

업체탐방 - (주)소프트아쿠아

  • 최인환
    • 월간양계
    • /
    • 제48권2호
    • /
    • pp.128-131
    • /
    • 2016
  • 물은 생물체 내에 다량으로 존재하며 생체에서는 각종 생체물질의 이상적 용매와 생화학반의 반응물지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20년 간 축적된 기술력과 노하우로 양계장에 음수소독, 환경개선 등으로 농가 수익에 도움을 주고 있는 (주)소프트아쿠아(대표이사 장희정)는 수처리업계에서 큰 정평이 나 있다. 이번호에는 음수관리로 질병예방, 면역력 증강을 제안하는 (주)소프트아쿠아를 소개코자 한다.

환경모니터링을 위한 집비둘기 깃털의 중금속 축적특성 연구 (The Characteristics of Heavy Metal Accumulations in Feral Pigeon (Columba livia) Feathers for Environmental Monitoring)

  • 이장호;이종천;이상희;김명진;이유진;한아름;심규영
    • 환경영향평가
    • /
    • 제23권6호
    • /
    • pp.492-504
    • /
    • 2014
  • 집비둘기는 도시지역에서 환경오염물질의 생물축적 모니터링을 위한 지표종으로 알려져 있으며, 집비둘기 알은 생물 자체를 죽이지 않고도 생물축적의 경향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시료로서 유용하다. 하지만 알은 유기 오염물질 축적은 잘 되는 반면, 납, 카드뮴 같은 특정 중금속은 저농도로 축적되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중금속에 대한 적절한 모니터링을 위해 대체 시료의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집비둘기의 세척깃털을 이용하여 중금속 축적 특성을 연구하였고, 중금속 모니터링 시료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도시지역인 서울 한강공원과 농촌지역인 함평군 함평공원을 대상으로 2013년 4월~5월에 집비둘기 개체 포획 및 알 채집을 실시하였고, 생체 조직, 세척깃털, 알의 중금속 5종(Pb, Cd, Total Cr, Ni, As)에 대한 축적 농도를 분석하였다. 중금속 5종의 생체 조직 내 축적 특성을 보면, 납(Pb)과 카드뮴(Cd)은 나머지 3종(Total Cr, Ni, As)에 비해 생체 조직 내 축적이 두드러지게 높게 나타났다. 특히, 납은 다른 중금속에 비해 지역 간 비교에서도 두드러진 농도 차이를 보였는데, 뼈, 간, 혈액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농촌지역인 함평공원보다 도시지역인 한강공원이 높은 농도를 보였다. 이러한 경향은 깃털에서도 나타났다. 알 시료(알 내용물, 껍데기)는 깃털보다는 상대적으로 낮은 농도로 납이 축적되는 경향을 보였다. 깃털 중에서는 꼬리깃과 날개깃이 각각 신장 및 뼈 조직의 납 농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중금속 배출경로 요소(깃털, 알, 배설물 등) 중 하나인 깃털로 축적되는 납 농도는 다른 요소(예: 알)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고, 환경 오염요소(대기, 토양, 먹이 등) 내 납 농도가 서로 차이나는 지역들 내의 집비둘기의 생체 축적농도 차이를 깃털이 어느 정도 반영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낮은 동전점을 갖는 $^{99m}Tc$ 표지 Succinic Acid 결합 Avidin의 생체내분포에 관한 연구 (Biodistribution Study of $^{99m}Tc$-Labeled Succinic Acid-Conjugated Low pI Avidin)

  • 정재민;백창흠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85-292
    • /
    • 1993
  • Avidin과 biotin의 높은 결합력을 이용하여 종양 영상을 개선하는 방법이 많이 연구되고 있다. 본 실험에서는 이러한 목적으로 쓰기 위하여 적당한 $^{99m}Tc$ 표지 avidin을 제조하였다. Avidin을 표지하기 위하여 우선 $^{99m}Tc$과 안정한 킬레이트를 형성할 수 있는 benzoylmercaptoacetyltriglycine (Bz-MAG3)과 biocytin을 화학적으로 결합시킨 Bz-MAG3-biocytin을 합성하였다. 이 화합물을 Tc-99m으로 표지시켜 avidin 또는 streptavidin을 1:1로 섞어 줌으로서 Tc-99m으로 표지된 avidin과 streptavidin을 제조하였다. 이들의 생쥐 생체내 분포를 조사한 결과 avidin의 경우 높은 간(56.6%, 10min)과 신장(28.5%, 10min) 축적을 보였고 streptavidin의 경우 높은 신장 축적 (28.9%, 21hr)을 보였다. Avidin의 높은 정상 조직 축적을 줄이기 위하여 succinic acid를 결합시켜 등전점(pI)을 낮춘 다음 같은 실험을 하여 본 결과 신장 축적율은 pI가 $7.0{\sim}9.3,\;5.5{\sim}6.2,\;4.0{\sim}4.8$로 낮아졌을 경우 19.0%, 3.1%, 1.7%로 각각 떨어졌지만 간에의 축적은 pI 변화에 따른 상관성을 찾아 볼 수가 없었다. 체내 제거율을 측정하여 본 결과 pI를 변화시킨 avidin과 변화시키지 않은 avdin들은 반감기가 13.5에서 16.0시간 사이로 큰 차이점을 보이지 않았는데 streptavidin은 반감기 61.5시간 정도로 느리게 제거된다는 것을 알았다. 이 실험의 결과 1. Avidin을 $^{99m}Tc$-MAG3-biocytin으로 안정하게 표지할 수 있었고, 2. pI가 낮아진 avidin은 신장에의 축적율이 크게 감소되었으며, 3. $^{99m}Tc$으로 표지된 avidin과 streptavidin은 먼저 간으로 흡수된 후 대사된 다음 신장으로 배설된다는 사실을 알았다.

  • PDF

구리 내성 식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pper Tolerance of Herbaceous Plants)

  • 김성현;이인숙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7권1호
    • /
    • pp.43-47
    • /
    • 2004
  • 본 연구는 구리 내성을 가진 식물을 선별하기 위한 기본 자료를 마련하기 위하여 피, 알팔파, 닭의장풀, 해바라기, 옥수수, 어저귀 등 6종 유식물의 토양 내 구리 농도별 생장율 및 구리 제거율 등을 조사하였다. 대조구 및 50, 100, 200, 300 ㎎-CuCl₂/㎏ 의 토양에 각 식물의 종자를 심어 14일 후 수거하여 발아율, 유식물의 생장 및 생체량, 구리 축적 및 제거력 등을 관찰하였다. 구리 농도에 따른 발아율 저해가 나타나지 않은 식물로는 피, 해바라기, 닭의장풀 등이었다. 그러나 해바라기의 경우 300 ㎎-CuCl₂/㎏ 에서 유식물의 뿌리 및 지상부의 생장율이 대조구의 약 7% 수준으로 큰 저해를 받았으며 생체량도 대조구의 약 35%에 불과해 구리에 의한 생체량 저해가 가장 심한 종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피와 닭의장풀은 고농도의 구리 오염 토양에서도 생장률이 높아 구리에 대한 내성이 가장 뛰어난 식물로 나타났다. 특히 피의 경우, 토양 내 구리 제거율이 30% 이상이었으며, 토양 내 구리 농도가 증가할수록 축적량이 꾸준히 증가하여 300 ㎎-CuCl₂/㎏ 에서 ㎏당 약 1020㎎의 Cu를 축적하는 것으로 나타나 phytoremediation에 사용될 가능성 있는 종으로 사료된다.

치어 및 어린 일본송사리에서 TCDD와 PCB 126의 생체축적 및 배설에 관한 연구 (Bioconcentration and Elimination of 2,3,7,8-tetrachlorodibenzo-p-dioxin(TCDD) and 3,3′, 4,4′, 5-pentachlorobiphenyl(PCB 126) in fry and juvenile Japanese medaka(Oryzias latipes))

  • Kim, Youngchul
    • 한국환경독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독성학회 2001년도 춘계심포지움 및 학술발표회
    • /
    • pp.121-121
    • /
    • 2001
  • Studies were carried out to compare the bioconcentrations of TCDD and PCB 126 in different sizes of Japanese medaka, and to examine the whole body elimination kinetics of TCDD and PCB 126 in juvenile Japanese medaka. For bioconcentration studies, different sizes of fry and juvenile medaka were exposed statically to varying doses of waterborne TCDD and PCB 126 for 96 hours. (omitted)

  • PDF

생물벽체내 유기오염물질 TCE의 생물학적 분해 모의를 위한 수치모델개발 (Developing a Numerical Model for Simulating In-Situ Biodegradation of an Organic Contaminant, TCE, in Biobarrier)

  • 왕수균;오재일;배범한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8권4호
    • /
    • pp.12-20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원위치 생물학적 처리 과정에서 공대사 기작에 의해 분해되는 유기오염물질의 성상과 거동을 모의하기 위한 수학적 모델을 제기하였다. 토양구조 내에서 부동유역의 존재가 처리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기 위하여 이중공극 개념을 적용하였으며, 유기오염물질의 거동과 생물학적 처리에 미치는 미생물의 영향을 수학적으로 표현하기 위하여 수정된 Monod식과 토양상 미생물의 미소군집모형이 적용되었다. 가상의 원위치 생물학적 처리 과정에 대한 모델의 적용을 통하여 공극내 생체축적으로 인한 투수능의 감소가 지하수 흐름에 미치는 영향이 예시되었다. 가상의 생물학적 처리 과정에 대한 모델의 모의결과는 부동유역의 존재가 유기오염물질의 생물학적 가용성을 저감시키며, 생물벽체의 형성 및 처리과정에 있어 외부로부터의 미생물 및 영양물질 주입정의 위치가 효과적인 처리 계획의 수립을 위해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