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생의 경험

검색결과 845건 처리시간 0.023초

학부생연구프로그램 참여가 융합역량, 전공만족도,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Undergraduate Research Program on Convergence Competency, Major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 유지원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10호
    • /
    • pp.114-121
    • /
    • 2019
  • 본 연구는 국내 대학에서 수행된 학부생연구프로그램(Undergraduate Research Program)에 대한 효과를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학부생연구프로그램은 과학 분야의 우수 인력 양성에 주로 활용되는 프로그램으로, 본 연구에서는 학부생연구프로그램 참여가 융합역량, 전공만족도,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였다. 자료 수집은 학부생연구프로그램을 시행하는 A대학 5개학과 재학생으로부터 이루어졌으며, 응답자 중 학부생연구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미참여자는 117명, 참여한 학생은 101명이었다. 참여 유무 집단에 따른 분석 결과, 학부생연구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이 참여하지 않은 집단에 비해 융합역량, 전공만족도, 학업성취도에 모두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학부생연구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이 학생의 융합적 태도와 기술을 훈련하는데 효과적이며, 학업성취와 전공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시사하였다.

간호대학생의 코로나19 관련 지식, 감염 위험지각, 불안이 감염예방 행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COVID-19 Knowledge, Risk Perception, Anxiety on Preventive Behaviors of Nursing Students)

  • 김유정
    • 보건의료생명과학 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207-217
    • /
    • 2023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코로나19 관련 지식, 감염 위험지각, 불안과 감염예방 행위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감염예방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간호대학생의 감염예방 행위 실천 향상 방안을 마련하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G 광역시 일개 대학 간호학과 2, 4학년을 대상으로 2021년 11월 2일부터 11월 30일까지 연구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코로나19 관련 지식 정도는 총점 평균 13.25±1.38점(평균 정답률 88.3%), 감염 위험지각 정도는 총점 평균 4.57±1.34점, 코로나19 관련 불안 정도는 총점 평균 44.55±9.66점, 감염예방 행위 실천 정도는 총점 평균 7.66±1.55점(평균 행위 실천율 85.08%)으로 나타났다. 간호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코로나19 관련 감염예방 행위 정도는 학년, 코로나19 이후 임상실습 경험 여부, 코로나19 관련 감염예방 교육 경험 여부, 코로나19 관련 감염예방 교육 요구 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간호대학생의 감염예방 행위는 코로나19 관련 지식, 감염 위험지각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간호대학생의 감염예방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코로나19 감염예방 교육 경험, 감염 위험지각, 코로나19 관련 지식 순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간호대학생의 감염예방 행위 실천을 위한 감염 위험인식 조절 프로그램, 코로나19 관련 신종 감염병 지식 향상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한 후 이에 대한 효과검증연구를 제언한다.

간호대학생의 폭력경험, 대처양식 및 회복탄력성이 정서반응과 임상실습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Verbal Abuse Experience, Coping Style and Resilience on Emotional Response and Stress During Clinical Practicum among Nursing Students)

  • 정윤화;이경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3호
    • /
    • pp.391-399
    • /
    • 2016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시 폭력경험, 대처양식 및 회복탄력성이 정서반응과 임상실습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대상자는 간호대학생 261명이 참여하였고 2014년 12월 1일부터 12월 20일까지 자가보고식 질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상관관계 분석 결과 폭력경험은 정서중심대처, 임상실습스트레스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문제중심대처는 정서중심대처, 회복탄력성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정서 중심대처는 정서반응, 임상실습스트레스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회복탄력성은 정서반응과 유의한 부적상관관계가 있었고, 정서반응은 임상실습스트레스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정서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높은 영향요인은 정서중심대처(${\beta}=.422$)였다. 임상실습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높은 영향요인은 폭력경험(${\beta}=.283$)이였다. 간호대학생의 안전한 실습환경을 위해 대인관계훈련 프로그램과 효율적인 의사소통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제언한다.

간호대학생의 카데바 실습일지에 대한 내용분석 (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of Journals for Cadaver Practice Experiences in Nursing Students)

  • 정추영;서영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8호
    • /
    • pp.257-264
    • /
    • 2017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카데바 실습교육 일지를 이용하여 카데바 실습교육의 경험을 확인하고자 시도하였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16년 10월 26일부터 10월 28일까지이다. 연구 참여자는 D시 소재 D대학 간호학과 2학년 재학생으로 카데바 실습교육에 참여한 20명이다. 자료는 연구 참여자들이 카데바 실습교육 기간 동안 매일 일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자신의 경험을 용지에 익명으로 기술하도록 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질적 내용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3개의 영역에서 8개 범주와 21개의 의미 있는 진술을 도출하였다. 카데바 실습교육에 참여한 간호대학생의 경험은 '불안', '몰입', '성찰'의 영역으로 나타났다. '불안' 영역에서는 '걱정됨', '두려움', '놀라움'이 포함되었으며, '몰입' 영역에서는 '흥미로움', '집중함', '알아감' 등이 포함되었다. 또한 '성찰' 영역에서는 '존엄', '감사' 등으로 범주화 되었다. 따라서 카데바 실습교육 전 간호대학생의 심리적 지지와 불안 완화를 위해 상담 및 카데바 실습교육을 경험 한 선배와의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제공이 필요하다. 또한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카데바 실습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시 경험한 언어폭력, 학업스트레스 대처 및 우울이 전문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Verbal Violence in Clinical Practice, Academic Stress Coping, and Depression on Professional Self-concepts among Korean Nursing Students)

  • 전해옥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501-512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임상실습 시 경험한 언어폭력, 감정반응, 학업스트레스 대처 및 우울이 전문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자료 수집은 C시 소재의 4년제 종합대학에 재학 중인 3-4학년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2017년 10월 25일부터 11월 1일까지 자가 보고식 설문조사로 시행되었다. 연구결과, 임상실습 시 언어폭력을 경험한 적이 있는 대상자는 41.9%로, 언어폭력 경험 횟수는 1회 16.9%, 2회 15.5%, 3회 4.7% 순이었다. 언어폭력 가해자는 환자 42.9%, 간호사 37.7%, 보호자 15.5% 순이었다. 대상자의 언어폭력 경험 시 감정반응은 언어폭력 경험 횟수 (r=.16, p=.049) 및 우울(r=.39, p<.001)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학업스트레스 대처는 우울과 음의상관관계가 있고(r=-.19, p=.021), 전문직 자아개념과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46, p<.001). 우울은 전문직 자아개념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r=-.38, p<.001). 회귀분석 결과, 학업스트레스 대처(${\beta}=.40$, p<.001)와 우울(${\beta}=-.32$, p<.001)이 간호대학생의 전문직 자아개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인은 간호대학생의 전문직 자아개념에 대해 28%의 설명력을 가지고 있었다(F=12.37, p<.001). 그러므로 간호대학생의 전문직 자아개념 향상을 위해, 학업스트레스 대처 수준을 높이고, 우울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전략 마련이 요구된다. 특히 임상실습 시 경험하는 우울을 조절하기 위해 이와 관련있는 언어폭력 후 감정반응에 대한 적절한 치료적 중재 적용이 도움이 될 것이다.

유사 사이버 괴롭힘 상황에서 여중생의 주변인으로서 반응 분석: 또래 괴롭힘 가·피해 및 분노 경험의 영향 (An Analysis of Response as Bystanders of Middle School Girls in a Simulated Cyberbullying Situation: Influences of Peer Bullying/Victimization and Anger Experiences)

  • 정아혜;최윤경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6권1호
    • /
    • pp.1-23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사 사이버 괴롭힘 상황에서 여중생의 주변인으로서 반응을 분석하는 것이었다. 또한 가·피해 경험, 분노표출, 그리고 상태분노가 여중생의 주변인으로서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참가자는 2, 3학년인 여중생(N=59)으로 구성되었다. 반응은 7개 범주(외현적 언어, 공격하기, 패스하기, 주제 바꾸기, 피해자 위로하기, 기타, 동조하기)로 분류되었다. 이 중 공격하기는 공격 표적에 따라 세분하였다(피해자, 가해자, 모두, 대상모호). 이는 다시 '공격반응', '도움반응'으로 분류되어 반응의 강도에 따라 채점 및 합산되어 종속변수로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상관 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타(41.69%) 반응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뒤이어 외현적 언어(20.34%), 패스하기(13.56%), 가해자 공격하기(8.81%), 동조하기(8.64%), 주제 바꾸기(6.61%), 그리고 피해자 위로하기(0.34%) 순으로 이어졌다. 둘째, 피해자 공격에는 과거 가해경험 및 분노표출은 정적영향을, 과거 피해경험은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태분노는 가해자 공격 및 피해자 도움반응에 정적영향을 미쳤다. 가·피해자 모두 및 대상모호 공격에는 어느 변인도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사이버 괴롭힘 상황에서 여중생들이 주변인으로서 적절한 개입을 하도록 돕는 데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간호대학생의 분만실 임상실습 질 향상 방안 (Quality Improvement of Clinical Practice in Nursing Students : Focused on Delivery Room Clinical Practice)

  • 전나미;노기옥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513-521
    • /
    • 2016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분만실 실습 중 수행내용을 파악하고 임상실습 환경에 따른 간호대학생의 실습 수행도 및 만족도를 분석하여 실습의 질 향상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분만실 임상실습은 대부분 관찰 위주로 진행되고 있었고, 제한된 영역에서만 직접수행과 보조적 수행을 경험하였다.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 만족도는 69%정도의 비교적 낮은 수준을 보였다. 임상실습지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여성전문병원의 분만실에서 실습 한 간호대학생은 종합병원에서 보다 더 많은 관찰을 수행 할 수 있었고, 그에 따라 만족도 점수 또한 높았다. 분만실 임상실습에서 관찰 및 보조적 수행이 많을수록 만족도는 상승하였다. 결과에서 확인된 실습 중 부족한 직접수행은 시뮬레이션기반 임상실습 등을 통해 보완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병원 실무자와의 긴밀한 의사소통을 기반으로 실습지를 확보하고, 다양한 간호대상자를 경험하고 관찰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것은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만족도와 질 향상을 위한 전략으로서 제시될 수 있겠다.

비대면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요인 (Influencing Factors on Clinical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non-Face-to-Face Clinical Practice)

  • 황성우;차현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539-550
    • /
    • 2021
  • 본 연구는 비대면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만족도, 비판적 사고성향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4개 간호대학교 3,4학년에 재학 중인 163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지를 이용하여 2021년 1월 부터 2021년 2월 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SPSS WIN22을 이용하여 빈도, t-test, ANOVA, 사후 검정은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으로 통계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임상실습 만족도, 비판적 사고성향이었으며 임상수행 능력에 대한 총 설명력은 60.6% 이었다. 대상자의 임상실습 만족도는 5점 만점에 3.73점, 비판적 사고성향은 5점 만점에 3.78점, 임상수행능력은 5점 만점에 3.84점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비대면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을 높이기 위해 임상실습 만족도, 비판적 사고성향을 증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을 제언한다.

주관적 건강 및 노인차별경험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erceived Health and Ageism Experience on Successful Aging)

  • 전상남;신학진
    • 한국노년학
    • /
    • 제29권4호
    • /
    • pp.1383-1396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성공적 노화이론의 생의학적 이론과 사회심리학적 이론에 대한 각각의 선행요인인 주관적 건강 및 노인차별경험을 측정하여 어느 측면이 보다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주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주요 결과를 보면, 첫째, 노인차별경험 중 무시차별경험이 다른 차별경험 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사회인구적 변수를 가지고 주관적 건강, 노인차별경험, 성공적 노화에 대한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여성에 비해 남성이 높은 노인차별경험을 하고 있었다. 연령, 경제수준, 학력에서도 주관적 건강 및 차별경험 일부에서 차이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주요목적인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주관적 건강과 차별경험 중 재산차별이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통해 우리는 성공적 노화를 위해서 주관적 건강(생의학적 측면의 선행변수)이 노인차별경험(사회심리학적 측면의 선행변수) 보다 중요한 설명력을 갖는다는 사실을 검증했다. 이를 통해 효과적인 건강증진사업 등의 정책 입안 및 시행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는 것이 입증되었으며, 노인차별을 위한 방지대책도 사회적인 논의가 필요하다는 것이 입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