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생시체중

검색결과 91건 처리시간 0.031초

성 성숙기 이후 농후사료 급여수준이 한우 암소의 성장과 번식능력, 혈액성상 및 초음파 도체성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ncentrate Feeding Level after Sexual Maturity on the Growth and Breeding Performances, Blood Composition, and Ultrasonic Carcass Traits in Hanwoo Cows)

  • 정찬성;장선식;이성실;문여황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50권4호
    • /
    • pp.113-125
    • /
    • 2016
  • 본 시험은 성 성숙기의 한우 암송아지 18두(14개월령, 평균체중 251kg)를 이용하여 저 수준의 농후사료 급여에 따른 성장과 번식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공시축은 시판 한우 번식우용 배합사료를 체중의 0.8%(T1) 및 1.2%(T2)씩 총 30개월(사양시험 20개월, 번식능력시험 10개월) 동안 섭취하였으며, 처리구당 9두를 2우리에 완전임의 배치를 하였다. 본 시험의 사양시험 결과를 한국가축사양표준의 영양소 요구량과 비교해 볼 때, T1구에서 성장이 제대로 되지 못한 이유는 에너지 보다는 단백질 섭취부족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공시축의 체형변화에서 저 영양수준으로 인하여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부위는 흉폭과 체장이었으며 특히, 흉폭은 시험시작시보다도 종료시 측정치가 오히려 3.7% 작았다. 난소의 크기는 T1구가 T2구의 약 63%수준밖에 되지 않았으며, 수태율(33.3% : 77.8%)과 송아지의 생시체중(22.5kg : 29.5kg)도 T1구에서 심각하게 저하되었다. 따라서 한우번식우 사양에 있어서 성성숙기 이후에도 에너지보다는 단백질 공급수준에 의해 사양성적 및 번식능력에 많은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우 거세 및 비거세우의 성장곡선 특성 (Growth Curve Characteristics of Bull and Steer of Hanwoo(Korean Cattle))

  • 김내수;주종철;송만강;정정수;최양일;박철진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5호
    • /
    • pp.519-522
    • /
    • 2002
  • 농협 한우 개량부에서 시험 사육한 거세우 및 비거세우 각각 60두의 자료를 근거로 곰페르츠 방정식에 의한 성장곡선을 추정한 결과 비거세우의 성장곡선 방정식은 $W_t$ = 906.1.exp{-3.956.exp(-0.0034t)}이었으며, 거세우의 성장곡선 방정식은 $W_t$ = 823.1.exp{-3.301.exp(-0.0027t}이었다. 이 추정식에 의한 성숙체중은 과거에 추정한 식보다 높게 추정되었는데 이는 사양조건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비거세우에 대한 거세우의 체중비는 19.5개월까지는 급격히 감소하여 79.2% 정도에 이르렀으나, 이후 격차는 서서히 줄어들어 성숙시에는 90.8%에 이르렀다. 추정식은 생시 체중이 거세우의 경우 과다하게 그리고 비거세우의 경우 과소하게 추정되었으며, 실제 체중의 변이는 비거세우가 거세우에 비해 큰 경향을 보였다.

SPME-GC/MS와 전자코(Electronic Nose)를 이용한 재래흑돼지와 개량종 돼지 가열육의 휘발성 향기 성분 및 향기 패턴 비교

  • 강선문;이성기
    • 한국축산식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축산식품학회 2006년도 정기총회 및 제37차 춘계 국제학술발표대회
    • /
    • pp.209-213
    • /
    • 2006
  • 본 연구는 재래흑돼지와 개량종 돼지 가열육의 SPME-GC/MS와 전자코를 이용한 휘발성 향기 성분 및 향기 패턴 비교를 구명하고자 실시하였으며, 평균 생시 체중이 70 kg인 재래흑돼지(거세돈) 5두와 103 kg인 개량종 돼지($Landrace{\times}Yorkshire$,거세돈) 5두를 도축후 뒷다리 부위를 시료로 이용하였다. SPME-GC/MS를 이용한 휘발성 향기 성분에서 6-mehtyl-1-heptanol이 재래흑돼지육에서만 검출되었고, 1-octen-3-ol과 benzaldehyde가 재래흑돼지육이 개량종 돼지육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전자코의 PCA에 의한 향기 패턴은 두 품종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재래흑돼지 가열육이 개량종 돼지 가열육보다 높은 6-mehtyl-1-heptanol, 1-octen-3-ol, benzaldehyde를 가졌으며, SPME-GC/MS와 전자코에 의해 품종이 다른 가열 돈육의 휘발성 향기 성분과 패턴을 성공적으로 분별하였다.

  • PDF

품종에 따른 돈육의 지방 함량, 지방산 조성 및 전자코에 의한 향기 패턴의 차이 분석

  • 강선문;강창기;이성기
    • 한국축산식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축산식품학회 2006년도 정기총회 및 제37차 춘계 국제학술발표대회
    • /
    • pp.107-111
    • /
    • 2006
  • 본 연구는 돼지 품종에 따른 지방 함량, 지방산 조성 및 전자코에 의한 향기 패턴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실시하였으며, 평균 생시체중이 111 kg인 멧돼지 5두, 64 kg인 재래흑돼지 5두 및 114 kg인 개량종 돼지($Landrace{\times}Yorkshire$) 5두의 등심(M. longissimus) 부위를 본 실험에 이용하였다. 근내 지방함량은 재래흑돼지가 멧돼지, 개량종 돼지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지방산 조성에서 C14:0, C18:3n3, MUFA/SFA 비율은 재래흑돼지가 가장 유의적으로 높았으며(p<0.05), C18:1n9는 개량종 돼지가 멧돼지보다 높았다(p<0.05). C16:1n7, C18:1n7, UFA/SFA 비율은 멧돼지가 가장 높았으며(p<0.05), C18:0, C20:1n9는 멧돼지가 가장 낮았다(p<0.05). C20:4 n6은 멧돼지가 개량종 돼지보다 높았고(p<0.05), C22:4n6은 재래흑돼지가 가장 높았으며(p<0.05), C22:5n3은 멧돼지가 재래흑돼지보다 높았다(p<0.05). PUFA n6/n3 비율은 개량종 돼지가 가장 낮았으며(p<0.05), 멧돼지가 재래흑돼지보다 낮았다(p<0.05). 전자코의 PCA에 의한 향기패턴은 신선육에서 품종에 따른 차이가 명확히 나타났으며, 가열육에서는 멧돼지 및 재래흑돼지, 개량종 돼지간에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재래흑돼지가 가장 높은 근내 지방 함량 및 가장 낮은 MUFA/SFA 비율을 가졌고, 멧돼지가 가장 높은 UFA/SFA 비율을 가졌으며, 개량종 돼지가 가장 낮은 PUFA n6/n3 비율을 가졌다. 또한 전자코에 의해 돼지 품종에 따른 돈육의 향기 패턴 차이를 효과적으로 분별할 수 있었다.

  • PDF

한우 암소의 개체별 성장곡선 모수 추정 (Estimation of Parameters for Individual Growth Curves of Cows in Bostaurus Coreanae)

  • 이창우;최재관;전기준;나기준;이채영;황정미;김병완;김종복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5호
    • /
    • pp.689-694
    • /
    • 2003
  • 출산기술연구소 대관령지소에서 출생한 한우 암소로부터 시간적인 간격을 두고 조사된 체중측정 기록에 대해 비선형의 성장곡선 모형을 적용하여 한우 암소의 개체별 성장곡선 모수를 추정하고 개체별로 추정된 모수를 이용하여 한우 암소의 정확한 성장형태를 추정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Gompertz 모형으로 추정한 개체별 성장 곡선 모수 A, b 및 k의 평균치는 각각 383.42${\pm}$97.29kg, 2.374${\pm}$0.340 및 0.0037${\pm}$0.0012였으며, 개체별 변곡점의 평균은 255.63${\pm}$109.09일, 변곡점에서 체중의 평균은 141.05${\pm}$35.79kg, 변곡점에서의 일당증체량의 평균은 0.500${\pm}$0.123 kg이었고, 성장곡선 모수 A, b 및 k의 변이계수는 각각 25.3, 14.3 및 32.4%이었다. von Bertalanffy 모형으로 추정한 개체별 성장곡선 모수 A, b 및 k의 평균치는 각각 410.47${\pm}$117.98kg, 0.575${\pm}$0.057 및 0.003${\pm}$0.001이었고, 개체별 변곡점의 평균은 211.02${\pm}$105.53일, 변곡점에서 체중의 평균은 121.62${\pm}$34.94kg, 최대 증체율의 평균은 0.504${\pm}$0.124kg이었으며, 성장곡선 모수 A, b 및 k의 변이계수는 각각 28.7, 9.9 및 33.3%로 추정되었다. Logistic 모형으로 추정한 개체별 성장곡선 모수 A, b 및 k의 평균치는 각각 347.64${\pm}$97.29kg, 6.73${\pm}$0.34 및 0.006${\pm}$0.0018이었고, 개체별 변곡점의 평균은 324.47${\pm}$3.87일, 변곡점에서 체중의 평균은 173.82${\pm}$1.13kg, 최대 증체율의 평균은 0.508${\pm}$0.003kg이었으며, 성장곡선 모수 A, b 및 k의 변이계수는 각각 27.9, 5.0 및 30.0%이었다. Gompertz 모형, von Bertalanffy 모형 및 Logistic 모형에 의해 추정된 생시체중의 평균치들은 각각 36.40${\pm}$0.33, 31.59${\pm}$0.34 및 49.09${\pm}$0.88kg으로 추정되어 실제체중 23.73${\pm}$0.10kg 보다 컸으며 36개월 체중의 경우 세 모형이 각각 349.73${\pm}$2.01, 356.41${\pm}$2.07 및 336.18${\pm}$1.91kg으로 실제체중 363.67${\pm}$2.08kg보다 작았다. 그러나 세 모형으로 추정된 변곡점이 한우 암소의 실질적인 변곡점인지에 대해서는 좀더 검토가 필요한 부분인데, 최(2001)는 한우 암소의 경우 3개월령에서 4개월령 사이의 일당증체량이 0.590으로서 이 시기에 최대의 성장이 이루어지며 3개월령 체중과 4개월령 체중은 각각 79.31 및 98.91kg이라고 보고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 Table 4에 제시된 결과를 봐도 3개월령과 6개월령 사이 90일 동안에 50.89kg의 증체가 이루어져 일당증체량으로 환산하면 약 0.56kg이 되어 다른 어느 시기보다도 가장 증체속도가 빠른 시기인 것으로 나타났다. 변곡점이 일당증체량이 최대인 시점으로 해석한다면 각 모형에서 고정되어 있는 변곡점의 위치들인 성숙체중의 38.6%(Gompertz 모형), 29.6% (von Bertalanffy 모형) 및 50%(Logistic 모형)는 한우 암소의 실질적인 변곡점보다 늦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데, 실제로 세 모형 중 변곡점의 위치가 제일 빠른 von Bertalanffy 모형의 적합도가 제일 좋은 것도 이러한 이유 때문일 수 있다. 따라서 한우 암소의 정확한 성장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변곡점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지 않은 기존의 모형들을 이용하는 방안과 아울러 본 연구에 이용된 모형들을 변형시켜 활용하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포유자돈에 있어서 포유자돈용 발효유의 급여가 생산성, 혈액특성, 및 설사지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rmented milk substituted for creep feed on growth performance, diarrhea score and blood profiles in lactating piglets)

  • 김승철;김현수;허정민;김인호
    • 농업과학연구
    • /
    • 제42권4호
    • /
    • pp.375-382
    • /
    • 2015
  • 본 연구는 포유자돈용 발효유의 급여가 포유자돈의 생산성, 설사지수, 혈액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시험을 실시하였다. 사양 시험은 3산차 모돈($Landrace{\times}Yorkshire$)은 14두를 공시하여, 2처리구 처리당 7두로 분만 후 부터 이유시까지 3주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설계는 1) CF (Creep feeding), 2) FM (fermented milk)로 실시하였다. 포유자돈용 발효유의 급여가 생산성에 있어서 유의적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생시체중이 입붙임 사료구와 비교하여 수치상 낮았으나, 이유체중에서는 포유자돈용 발효유를 급여한 구가 300 g 증가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포유자돈용 발효유의 급여시 설사지수에 있어서는 처리구간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혈액 특성에 있어서는 혈액내 백혈구 함량에 있어서는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지만(P>0.05), 혈액 내 면역 글로불린 함량에 있어서는 입붙임 사료를 급여한 처리구가 포유자돈용 발효유를 급여한 처리구보다 높게 나타났다(P<0.05). 이와 같은 결과는 입붙임 사료는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및 면역관련물질을 함유하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 사용된 포유자돈용 발효유는 장내 미생물균총에 유익한 영향을 미치는 유산균은 함유하고 있으나, 다른 면역물질 및 첨가제를 함유하고 있지 않아 혈액 면역세포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포유기간 동안 입붙임 사료를 대신하여 포유자돈용 발효유를 급여하여도 생산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며, 입붙임 사료를 대체할 수 있는 물질로 급여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한우 Mitochondrial DNA D-Loop 영역의 RFLP Marker가 산유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FLP Marker of the Mitochondrial DNA D-Loop Region on Milk Production in Korean Cattle)

  • 정의룡;정구용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18-225
    • /
    • 2005
  • 본 연구는 mt DNA의 D-loop 영역을 probe로 이용한 Southern blot hybridization 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한우에서 mt DNA의 RFLP를 분석하고 RFLP marker가 유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산유량 관련 DNA marker를 개발하고자 수행하였다. Mt DNA의 D-loop 영역내 404번부터 15061까지 1142 bp 크기의 염기 서열 부위를 특이적인 primer를 이용하여 PCR로 증폭하였다. Mt DNA를 HpaII, BamHI, XbaI, HinfI, EcoRI, HindII 및 RsaI 7종류의 제한효소를 이용하여 각각 절단한 후 DIG로 표지된 D-loop probe를 이용하여 검출한 결과 XbaI, RsaI, BamHI 및 HpaII 4종류의 제한효소에서 각각 RFLP 다형성이 검출되었고 EcoRI, HindIII 및 HinfI 3종류 제한효소는 변이가 존재하지 않았다. 다유 계통과 저유 계통 선발 집단간의 각 제한효소별 RFLP type의 출현빈도를 비교한 결과 BamHI 및 RsaI 제한효소에서 두 집단간의 RFLP type의 출현율에 각각 통계적 유의성(P<.05)이 인정되었다. 다유 및 저유성으로 극단의 육종가 값을 갖는 두 계통의 mt DNA D-loop영역의 염기 서열을 비교 분석한 결과 441번째 염기가 G/C, 469번째 염기는 T/C, 503번째 염기는 C/T, 569번째 염기는 G/A, 614번째 염기는 C/A그리고 644번째 염기는 C/T로 각각 염기가 치환되었고 특히, 다유 계통 개체의 677번째의 A염기가 저유 계통 개체에서는 결실되어 있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한편, 한우 암소의 유생산에 영향을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mt DNA RFLP 형과 송아지 이유시 체중, 생시체중 및 비유량을 측정하여 얻어진 육종가의 성적을 근거로 통계 분석한 결과 XbaI 제한효소의 RFLP type이 산유 능력 육종가와 유의적인 관련성이 확인되었다 (P<05). 즉, RFLP A type을 갖는 축군의 평균 육종가 추정치가 6.233으로 B type을 갖는 축군의 평균 육종가 추정치 0.757보다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산유량과 관련성이 확인된 mt DNA RFLP type은 한우의 산유량 향상을 위한 DNA marker로 이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돼지 염색체상의 IGF II 유전자 인접 부위에서 번식 및 성장형질에 연관된 Imprinting 양적형질 유전자 좌위(QTL)의 탐색 (Detection of Imprinted Quantitative Traits Loci (QTL) for Reproductive and Growth Traits in Region of IGF II Gene on fig Chromosome)

  • Lee, Hakkyo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95-304
    • /
    • 2001
  • 양적형질 유전자 좌위 (QTL)의 탐색과 이들의 발현 양상 규명을 위해 Berkshire종과 Yorkshire종 간의 교배를 통해 생산된 F$_2$ 실험집단에서 regression interval mapping이 이루어졌다. 모두 525마리의 F$_2$ 자손들에서 일당 증체량, 평균 등지방 두께, 배장근 단면적이 표현형으로 조사되어 분석에 이용되었으며 모돈의 번식능력에 관련된 QTL 존재 여부 추정을 위해 간접 형질로 인정되고 있는 생시체중과 이유 시 체중을 분석에 포함하였다. 양적형질의 분리 여부를 추론하기 위하여 돼지의 2번 염색체에서 8종의 microsatellite 표지인자가 선택되어 유전자형이 조사되었다. 각각의 유전적 모델에서 산출된 통계량으로부터 QTL 존재 여부와 특정 QTL 발현 양상에 대한 여부를 나타낼 수 있는 인정되는 수준의 type I 오차율을 제어할 수 있는 임계값 (threshold)을 permutation test에 의해 제시하였다. QTL의 존재와 그 QTL의 Imprinting 여부는 부계와 모계를 통해 원가계 1세대의 대립유전자가 전달되는 과정에서 발현되는 특성을 분리시키는 통계적 의형을 설정하여 검정 통계량을 산출하였다. 분석에 이용된 3가지 형질과 연관된 3종류의 QTL 존재 가능성을 돼지의 2번 염색체에서 확인하였으며, 이들 중 평균 등지방 두께와 배장근 단면적에 각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론된 2종류의 QTL 발현은 정상적인 Mendelian 유전양식을 따르지 않고 imprinting된다는 증거를 얻어냈다. 또한 이들 imprinting되는 QTL은 이미 imprinting 표현 양식을 가진다고 알려진 IGF II 유전자의 위치와 거의 동일한 염색체강의 지점에서 부계로 전달되는 QTL만이 발현되는 특징을 보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한편 Mendelian 모형과 imprinting 모형 모두에서 유의적인 임계값 이상을 보이는 검정 통계량이 산출된 일당 증체량 연관 QTL은 두 모형간의 적정성 분석을 위한 검정을 퐁해 Mendelian 양식을 따른 것으로 최종 확인되었다.

  • PDF

한우 체내수정란의 성판별 후 이식으로 우수 암송아지 생산 (Production of Superior Cows by Sexed Embryo Transfer Using In Vivo Embryos in Hanwoo)

  • 손동수;조상래;최창용;최선호;한만희;김현종;조창연;진현주;김영근;정연길;;;최상용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63-168
    • /
    • 2005
  • 혈통이 등록된 우수한 한우 공란우로부터 회수한 수정란을 간편한 방법으로 성 판별하여 우수한 암송아지를 생산하고자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회수한 수정란을 punching 또는 bisection 방법으로 biopsy하여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법으로 성 판별하였으며, 암컷으로 예측되는 성 판별 수정란을 6두의 수란우에 이식하여 2두가 임신되었고, 수정란 이식 후 278일과 285일에 정상적인 암컷 송아지를 각각 분만하였다. 분만된 송아지 바란이와 보란이의 생시체중은 각각 18kg 및 25kg이었으며, 90일령 보정체중은 각각 61.1kg 및 88.8kg으로 일당증체량은 0.48kg 및 0.71kg이었다.

재래산양(在來山羊)의 성성숙(性成熟), 발정주기(發情週期) 및 임신기간(姙娠期間)에 따른 성(性) Hormone 수준(水準)의 변화(變化)에 관(關)한 연구(硏究)(I) -번식형질(繁殖形質)과 체성장(體成長)에 따른 혈청(血淸) 성(性) Hormone 수준(水準)의 변화(變化)- (Studies on the Sex Hormone Levels in Korean Native Goat during Puberty, Estrous Cycle and Pregnancy(I) - Studies on Reproductive Traits, and Changes of Sex Hormone Levels by Growth-)

  • 이규승;박창식;김영묵
    • 농업과학연구
    • /
    • 제12권1호
    • /
    • pp.55-61
    • /
    • 1985
  • 한국재래산양(韓國在來山羊)의 번식형질(繁殖形質)을 조사(調査)하고, 아울러 70일령(日令)부터 190일령(日令)까지 매(每)15일(日) 간격(間隔)으로 혈청(血淸) 성(性) hormone의 농도변화(濃度變化)를 조사(調査)하였다. 한국재래산양(韓國在來山羊)의 성성숙일령(性成熟日令)과 체중(體重)은 183.6일(日)과 14.3 kg이었고. 발정시기(發情時期)와 발정지속기간(發情持續期間)은 20.3일(日)과 36.7시간(時間)이었으며, 임신기간(姙娠期間), 복당산자수(腹當産仔數) 및 생시체중(生時體重)은 각각(各各) 148.4일(日), 1.4두(頭) 및 1.8 kg이었다. 혈청(血淸) LH의 수준(水準)은 70일령(日令)에서 3.93mIU/ml로 최고치(最高値)였고, 일령(日令)이 증가(增加)할수록 감소(減少)되는 경향(傾向) 이어서 190일령(日令)에는 1.21mIU/ml로 최소치(最少値)였다. FSH는 모든 관찰시간(觀察時間)에서 1.25 mIU/ml 以下의 수준(水準)이었다. Prolactin은 85일령(日令)에 3.09 ng/ml로 최소치(最少値)였고, 175일령(日令)에 4.65 ng/ml로 최고치(最高値)를 나타냈다. Estradiol-$17{\beta}$의 수준(水準)은 일령(日令)이 증가(增加)할수록 증가(增加)되는 경향(傾向)이어서 190일령(日令)에서 7.95 pg/ml로 최고치(最高値)를 나타냈다. Progesterone은 모든 관찰시간(觀察時間)에서 1.0 ng/ml 이하(以下)로서 매우 낮은 수준(水準)을 유지(維持)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