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생물학적방제

검색결과 286건 처리시간 0.049초

버섯 세균성회색무늬병균 (Pseudomonas agarici) 에 대한 항균활성을 가지는 Bacillus safensis HC42 (Antagonistic Effect of Bacillus safensis HC42 on Brown Blotch Mushroom Disease Caused by Pseudomonas agarici)

  • 이찬중;이은지;박혜성;공원식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9-23
    • /
    • 2019
  • Pseudomonas agarici에 의해 발생하는 세균성회색무늬병은 양송이버섯 재배에서 문제가 되는 대표적인 병해이다. 본 연구에서는 세균성회색무늬병의 생물학적 방제법에 이용할 수 있는 길항미생물의 항균활성과 선발된 길항미생물에 대해 폿트 수준의 생물검정 실험을 실시하였다. 재배중인 양송이버섯 배지에서 세균성회색무늬병 병원균을 강하게 억제하는 길항세균 HC42를 선발하였으며, 생리 생화학적 실험과 유전적 실험결과 HC42균주는 B. safensis로 동정되었다. B. safensis HC42를 양송이에 처리한 결과 66%의 방제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B. safensis HC42가 양송이버섯 세균성회색무늬병 방제를 위해 합성농약을 대체할 수 있는 친환경 방제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해외연수기 일본 야채.차시험장을 다와서

  • 김용기
    • 식물병과 농업
    • /
    • 제2권2호
    • /
    • pp.30-32
    • /
    • 1996
  • 필자는 농촌진흥청에서 한일협력관계로 수행하고 있는 "중복기생균을 이용한 오이 흰가루병의 생물학적 방제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1996년 6월 18일부터 9월 8일까지 3개월 여간 일본 미에껜에 있는 야채.차시험장을 다녀왔다. 본고에서는 그곳에서 수행한 연구내용과 느낀 점을 연수기로 정리해 보았다.

  • PDF

벼 담수직파재배에서 Pythium arrhenomanes에 의한 벼모썩음병의 생물학적 방제 (Biological Control of Seed and Seedling Rot Caused by Pythium arrhenomanes in Water-Seeded Rice)

  • 문병주;;박현철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407-414
    • /
    • 1996
  • 벼 담수직파재배에서 Pythium arrhenomanes 1398에 의한 벼목썩음병의 발병 억제효과가 높은 biological control agent를 배지와 growth chamber 검정을 통하여 선발하고 생물학적 방제 효과를 온실에서 검정한 결과 공시한 66 세균 중 91-110 균주에 의해서만 벼모썩음병의 발병이 억제되었다. CMA 배지 검정에서는 P. arrhenomanes 1398 균주만을 접종한 볍씨는 100% 발병율을 보인 반면 91-110 균주와 P. arrhenomanes 1398 균주를 함께 처리한 경우에는 25.0%가 발병되었으며, 이 효과는 metalaxyl을 처리한 볍씨에서의 21.7% 발병율과 유사하였다. Growth chamber 검정에서는 P. arrhenomanes 1398 균주만을 접종한 볍씨는 27.7% 모 출아율을 보인 반면 91-110 균주와 함께 처리하면 59.1%가 출아되었다. 그러나 91-110 균주에 의한 발병 억제효과는 50% household bleach로 표면 소독한 볍씨에서만 인정되었으며, 이 소독한 볍씨를 91-110 균주의 세균 부유액에 침지하여 3시간 진탕한 후 그 부유액을 따라내고 24시간 배양한 것이 진탕하지 않고 배양한 것에 비하여 모출아율이 54.3%에서 65.7%로 증가되었다. 91-110 균주와 P. arrhenomanes 1398 균주를 함께 처리한 볍씨의 출아율은 62.3%로서 P. arrhenomanes 1398 균주만을 접종한것의 30.8%에 비하여 높았다. 이상과 같이 담수직파한 벼모썩음병의 발병 억제효과가 높은 91-110 균주는 Bacillus brevis로 동정되었다.

  • PDF

제주도에서의 외래종 돼지풀잎벌레 분포 및 외래종 돼지풀 제거를 위한 생물학적 방제 대상종으로의 활용 가능성 (The Distribution of the Exotic Species, Ophraella communa LeSage (Coleoptera, Chrysomelidae) and Their Applicability for Biological Control against Ragweed Ambrosia artemisiifolia L. on Jeju Island)

  • 김도성;오기석;이영돈;이수영;이희조;김현정;김동언
    • 환경생물
    • /
    • 제35권4호
    • /
    • pp.437-445
    • /
    • 2017
  • 본 연구는 제주도에서 외래종 돼지풀잎벌레의 분포와 생태계 교란식물인 돼지풀에 대한 생물학적 방제 활용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야외조사와 최근에 연구된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제주도에서 돼지풀잎벌레는 기주식물인 돼지풀이 있는 모든 곳에서 관찰되었으며, 기주식물에 대한 특이성이 매우 강하고, 다화성으로써 온도에 대한 내성과 비행능력이 뛰어난 것으로 연구되었다. 돼지풀은 제주특별자치도 전역에 이미 광범위하게 퍼져 있고 점차 서식지를 넓혀 가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돼지풀 제거를 위해서 돼지풀잎벌레를 활용하는 것을 제안한다. 특히 제주도와 같이 천연보호구역이 많고 섬이라는 지리적 특성을 감안하면 돼지풀을 제거하기 위하여 농약이나 직접 제거보다는 돼지풀잎벌레를 이용한 생물학적 방제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굴 양식장 수하연에 부착하는 다모환충류의 분류학적 연구 (POLYCHAETOUS ANNELIDS GROWING IN OYSTER FARMS)

  • 백의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33-44
    • /
    • 1980
  • 부착 생물에 관한 연구는 선박, 해수 이용시설, 수산 양식업 둥의 방제대책과 관련하여 부착 생물의 종류, 부착 량, 성장도 및 계절적 변화 둥의 연구가 중요한 문제하고 생각한다. 특히 양식시설이 밀집한 진해만 해역의 굴 양식 시설에 부착하는 대부분의 생물들이 Ascidicea, Crustacea, Cirripedia, Bivalvia, Bryozoa, Polychaeta, marine algae 등이며, 이들 가운데 피해가 심한 다모환충류에 관하여 분류학적인 연구를 시도하였던 바 수하연의 양식 굴 사이에서 많은 양의 갯지렁이류를 얻었기에 보고 한다. 수하연에 서식하는 갯지렁이류는 제2부착성(Kazihara, 1964)의 갯지렁이류로서 왕관 모양의 큰 아가미 혹은 몸앞 부분에 실모양의 감각 촉수를 가지고 굴에 피해를 입히는 짧은수술갯지렁이 Loimia medusa, 미끈꽃갯지렁이 Myxicola infundibulum와 제1부착성으로서 굴 패각, 양식 시설 등에 석회질의 집을 형성시켜 피해를 입히는 우산관덮개꽃갯지렁이 Hydroides ezoensis, 둥근구멍환덮개꽃갯지렁이 Dexiospira alveolatus 등의 7과 12속 13종을 보고한다. 이 가운데 새날개갯지렁이 Chaetopterus variopedatus와 둥근구멍관덮개꽃갯지렁이 Dexiospira alveolatus는 한국 미기록종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