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생물학적방제

검색결과 286건 처리시간 0.054초

Bacillus sp. NAAS-1을 이용한 고추 탄저병 생물학적 방제 (Biocontrol of Anthracnose of Chili Pepper by Bacillus sp. NAAS-1)

  • 유재홍;박인철;김완규
    • 한국균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77-281
    • /
    • 2012
  • 고추포장의 토양에서 분리한 Bacillus sp. NAAS-1 Colletotrichum acutatum에 대한 생물학적 방제 활성을 검정 하였다 이 분리균주를 일종의 작물보호제인 카밴다짐 가스가마이신 수화제와 비교하여 검정한 결과, 기준사용량 농도(50 ${\mu}L/mL$)와 비슷한 항진균 활성을 나타냈다. 또한 생물 검정 결과, 공시 작물보호제의 기준사용량 농도(50 ${\mu}L/mL$)에서 보다 고추 탄저병균의 발병억제효과가 높게 나타나내었다.

포도나무 줄기 혹병의 생물학적 방제 (Biological control of grapevine crown gall)

  • 정광진;심재섭;정봉구
    • 농약과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97-101
    • /
    • 1998
  • 최근에 재배면적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포도에 난방제 병해인 줄기혹병의 길항세균을 선발하여 생물학적 방제의 가능성을 조사한 결과 포도 줄기혹병 이병포장으로부터 채취한 토양에서 길항균 strain 27를 선발하여 in vitro 및 in vivo bioassay결과 biovar 1 병원균인 A. tumefaciens C58과 Ach5, biovar 2 병원균인 A. rhizogenes 13264 및 biovar 3 병원균인 A. vitis 등을 모두 억제시키는 효과를 보였으며, Strain 27의 세균학적 특성은 pAgK84와 비슷한 크기(46 Kb)의 plasmid를 갖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작은구슬산호말 (Corallina pilulifera)의 Methanol 추출물로부터 항적조물질 분리

  • 진형주;;김미정;홍용기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1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209-210
    • /
    • 2001
  • 적조에 대한 대책으로서 가장 많이 이용되는 황토법은 적조생물을 침전시키므로써 제거하지만, 황토의 침전에 의한 2차적인 오염의 가능성이 있다 (Na et al., 1996). 황산구리, 과산화수소와 Triosyn에 의한 적조 살조효과가 있지만 이러한 화학물질은 모든 생물에 대한 살조효과가 있으므로 현상에 사용하기는 힘들다. 생물학적 방제에는 바이러스, 박테리아의 방법이 강구되고 있지만, 산소고갈 등의 2차적인 부작용이 야기된다. (중략)

  • PDF

대학박물관 수장환경조사 및 생물학적 환경조사 (Conservation condition of academic museum cultural properties and biological environmental investigation)

  • 이중수;배미현;이민수;박지선;황석연;김기현
    • 고문화
    • /
    • 64호
    • /
    • pp.111-131
    • /
    • 2004
  • 대학박물관에서 전시 또는 수장되는 유물들은 현재의 시설 및 환경조건에서도 미생물(세균, 곰팡이)에 의 한 손상과 훼손을 방지하여 보존되어야 한다. 그러기에, 대학박물관의 보존환경 실태를 분석, 파악하여 박물관 내 전시 및 수장유물에의 생물학적 환경을 조사하고 이에 대한 이상적이고, 최적의 보존환경을 설정하여야 한다. 이에 지역별 대학박물관(대구한의대학교, 부산대학교, 성신여자대학교, 숭실대학교, 연세대학교, 용인대학교, 전북대학교, 전주대학교, 조선대학교, 한림대학교, 한양대학교)을 선정하여 전시실과 유물 및 수장고의 보존환경을 조사하여 이를 평가 분석하여 최적의 보존환경 보존 지침(Guide Line)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수장고에서 문화재의 유물을 손상시키는 유해미생물을 분리하였고, 전시실 및 수장고에서 근무하는 근무자들에게 호흡기 및 피부질환을 일으킬 수 있는 병원미생물을 분리하여 그 특성을 규명하였으며, 이와 같은 생물학적 열화 예방을 위하여 대학박물관의 가장 효율적인 방제 방안을 설정하고자 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 PDF

천적포식어 (Aplocheilus latipes)와 식식성 어류 (Tilapia mossambicus niloticus) 의 병합적 처리에 의한 논에 서식하는 말라리아 매개모기 (Anopheles sinensis Wied.) 의 생물학적 방제 (Biological Control of Malaria Vector (Anopheles sinensis Wied.) by Combined Use of Larvivorous Fish (Aplocheilus latipes) and Herbivorous Hybrid (Tilapia mossambicus niloticus) and Herbivorous Hybrid (Tilapia mossambicus niloticus) in Rice Paddies of Korea)

  • 유효석;이준학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229-236
    • /
    • 1989
  • 1998년 6월부터 9월까지 4개월간 수초자생 논에서 서식하는 말라리아 매개모기(Anopheles sinensis)를 대상으로 포식천적 송사리(Aplocheilus latipes)와 식식성 어류(Tilapia mossambicus niloticus)의 병합적 처리에 의한 생물학적 방제효과를 경기도 수원소재 대학 부속농장 실험포장에서 야외 조사하였다. 포식천적어 송사리는 논 수면에 $2.0\;fish/M^{2}$ 방사율로, 식식성 어류 Ti-lapia는 $1-pair/10M^{2}$ 비율로 병합적 처리한 결과, 처리 일주일후에 말라리아 매개모기는 대조군에 비해 70.8%의 방제효과를 나타내었고 4주와 5주후에 방제율은 점차 증가하여 각각 73.5%와 80.2%에 달하였으며, 5주후에는 말라리아 매개모기와 집모기(Culex pipiens)를 합하여 80~82%의 모기개체군 밀도의 억제효과를 계속 유지하였다. 송사리만의 $2.0\;fish/M^{2}$ 비율로 단일처리한 논에서는, 4주후 말라리아 매개모기의 방제효과는 평균 51.4~56.5%로 비교적 저조하게 나타났으며, 모기 유충의 개체군 밀도를 억제하기 위한 미생물제제 B.t.i.(R153.78)을 1 kg/ha의 농도로 병합처리하여 그 방제효과를 비교 고찰하였다.

  • PDF

잔디 피시움마름병(Pythium blight)의 생물학적 방제를 위한 길항 미생물의 선발과 효력 검정 (Development of Antagonistic Microorganism for Biological Control of Pythium Blight of Turfgrass)

  • 정우철;신택수;도기석;김원극;이재호;최기현
    • 식물병연구
    • /
    • 제12권3호
    • /
    • pp.260-266
    • /
    • 2006
  • Pythium spp. 균에 의해 발생되는 피시움마름병(Pythium blight)은 골프장 퍼팅 그린에서 문제가 되는 대표적 병해이다. 본 연구에서는 Pythium aphanidermatum를 피시움마름병 병원균으로 하여 생물학적 방제법에 이용할 수 있는 길항 미생물을 1차 선발하였고, 선발된 길항 미생물에 대해 폿트 수준의 생물 검정 실험을 실시하였다. 두 실험을 동해 선발된 미생물 중에서 Relative Performance Indies 값을 기준으로 가장 우수한 것을 선별하여 피시움마름병에 대한 길항 미생물로 최종 선발하였고, 동정한 결과 Bacillus subtilis로 밝혀졌다. 최종 선발된 미생물은 B. subtilis GB-0365라 명명하였고, 화학 농약에 대한 내성 실험과 혼용 처리에 따른 효과를 검정하여 화학 농약과 시간의 차이를 두고 교호 살포할 경우 방제효과가 보다 높게 나타났다. 골프장의 간이 묘포장에서 자연 발생된 피시움마름병에 대한 B. subtilis GB-0365의 방제효과를 검증한 결과, 무처리 대비 방제가는 56.4%, 화학 농약 대비 방제가는 60.9%로 우수한 방제 효과을 가진 것으로 판명되었다.

미생물을 활용한 친환경적인 벼 병해 방제법 (Biocontrol of Rice Diseases by Microorganisms)

  • 김정애;송정섭;정민혜;박숙영;김양선
    • 식물병연구
    • /
    • 제27권4호
    • /
    • pp.129-136
    • /
    • 2021
  • 벼는 전 세계 30억 인구의 식량 공급원으로 아시아 인구의 약 절반이 쌀을 식량자원으로 의존하며 100개 이상의 국가에서 재배되고 있다. 따라서 벼의 병해충에 따른 경제적 손실과 수확량 감소는 식량 수요와 공급을 위협할 수 있다. 벼에 발생하는 병해충을 방제하기 위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은 농약을 통한 화학적 방제이다. 그러나 이러한 농약을 통한 환경 오염, 잔류 독성, 내성 병원균 출현, 토양 품질 저하 및 생물 다양성 파괴 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벼의 병해를 방제하기 위한 최근의 대안으로 미생물을 포함한 환경친화적인 생물학적 방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미생물 작용제는 식물 병원균과의 경쟁, 항생제 효과 및 기생을 통해 식물 병을 방제 할 수 있다. 벼 근권에서 분리한 미생물들, 예를들어 Bacillus spp., Pseudomonas spp., Trichoderma sp. 등은 벼에 발생하는 다양한 곰팡이 및 세균 병들에 대한 생물 방제제로 사용가능성이 보고되었는데, 특히 벼도열병, 벼 잎집무늬마름병, 벼 흰잎마름병, 벼 깨씨무늬병 및 벼 키다리병을 방제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 리뷰에서는 벼에 발생하는 다양한 병에 대한 생물 방제제로서 미생물들이 적용된 연구들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Streptomyces sp. 에 의한 참깨 시들음병 (Fusarium oxysporum f. sp. vasinfectum) 및 역병 (Phytophthora nicotianae var. parasitica)의 생물학적(生物學的) 방제(防除) (Biological Control with Streptomyces sp. on Fusarium oxysporum f. sp. vasinfectum and Phytophthora nicotianae var. parasitica Causing Sesame Wilt and Blight)

  • 정봉구;홍기성
    • 한국균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31-237
    • /
    • 1991
  • 참깨 시들음병과 역병에 대한 괄항균(括抗菌) Streptomyces spp.의 길항현상과 생물학적 방제 효과를 구명코져 참깨 시들음병(F. oxysporum f. sp. vasinfectum)과 역병(P. nicotianae var. parasitica)이 발생한 포장에 이병주로 부터 병원균을 순수분리(純粹分離)하였고 괄항균(括抗菌)은 충북일원의 고추, 참깨포장의 72점의 흙으로 부터 공시 병원균에 효과있는 괄항균(括抗菌)을 대치배양법(對峙培養法)으로 선발하였다. 선발된 괄항균(括抗菌) St-11 과 St-20 을 공시하여 병원균에 대한 균사저지원, 괄항균(括抗菌) 배양 여액에서의 병원균의 생육저지, 발아억제 빛 lysis 를 관찰 조사하였고 괄항균(括抗菌) 현독액(縣獨液 )(St-11) 을 종자에 처리할 경우 참깨생육에 아무런 영향이 없었다. 온실에서 괄항균(括抗菌)의 토양접종에 의한 참깨시들음병과 역병에 대한 방제효과는 병원균 단독 접종구에 비하여 40-78% 의 방제효과를 보였다.

  • PDF

The Effects of Controlling the Aphis gossypii Glover (Homoptera, Aphididae) on Cucumber of Entomopahtogenic Fungus, Beauveria bassiana

  • Kang, Min-Ah;Youn, Young-Nam
    • 농업과학연구
    • /
    • 제35권2호
    • /
    • pp.127-136
    • /
    • 2008
  • 곤충병원성 곰팡이인 Beauveria bassiana는 미생물 살충제로서 다양한 해충들을 방제하는데 사용해오고 있다. 최근에 B. bassiana TBI-1균주가 두점박이응애, 온실가루이에 살충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생물학적 방제 인자인 B. bassiana TBI-1를 목화진딧물에도 어느 정도의 살충활성을 나타내었다. B. bassiana TBI-1 균주를 처리한 후 일주일 동안 평균 진딧물의 증가율은 0.21로 나타났으나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서는 0.24의 증가율로 약간 높게 나타나 보였다. 이러한 결과에서 백강균의 처리구에서 진딧물의 평가 증가율이 0.03 낮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오이 잎에 B. bassiana TBI-1 균주에 의하여 붉은빛 곰팡이의 형태로 죽은 진딧물의 죽은 흔적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적정농도로 B. bassiana TBI-1을 처리하면 목화진딧물의 개체군 증가율을 현저히 감소시킴으로 효과적으로 진딧물을 방제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버섯 세균성회색무늬병균(Pseudomonas agarici)에 대한 Alcaligenes sp. HC12의 항균활성 (Antagonistic Effects of the Bacterium Alcaligenes sp. HC12 on Browning Disease Caused by Pseudomonas agarici)

  • 이찬중;문지원;정종천;공원식
    • 한국균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171-175
    • /
    • 2016
  • Pseudomonas agarici에 의해 발생하는 세균성회색무늬병은 양송이 재배에서 문제가 되는 대표적인 병해이다. 본 연구에서는 세균성회색무늬병의 생물학적 방제법에 이용할 수 있는 길항미생물의 항균활성과 선발된 길항미생물에 대해 폿트 수준의 생물검정 실험을 실시하였다. 재배중인 양송이 배지에서 세균성회색무늬병 병원균을 강하게 억제하는 길항세균 HC12를 선발하였으며, 생리 생화학적 실험과 유전적 실험결과 HC12균주는 Alcaligenes sp.로 동정되었다. Alcaligenes sp. HC12를 양송이에 처리한 결과 63%의 방제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Alcaligenes sp. HC12가 양송이버섯 세균성회색무늬병 방제를 위해 합성농약을 대체할 수 있는 친환경 방제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