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생물상

검색결과 1,964건 처리시간 0.027초

하우스 밴드의 설치방법 개발 (New Installation Method of House Bend)

  • 김진한;김형준;유복상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1999년도 학술발표논문집
    • /
    • pp.86-88
    • /
    • 1999
  • 비닐하우스에 있어서 외피복 비닐은 매년 혹은 몇 년에 한번씩 갈아 씌우게 된다. 이때에는 하우스 밴드를 풀어서 다시 매야 하는데 현재로서는 적당한 방법이 없다. 돌, 피트병을 묶어 던지거나 장갑 속에 돌을 넣고 던지는데 이때에 하우스에 상처를 주기 쉽고 반대편의 사람이 맞으면 해를 입으며 무게를 조절할 수 없어서 넘기는데 애로가 많다. 그러므로 힘이 적게 들고 간편하며 작업속도가 빠른 방법을 찾고자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중략)

  • PDF

흰쥐 뇌에서의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합성 ((The neurosteroidogenesis in the rat brain))

  • 강상수
    • 한국동물학회:뉴스레터
    • /
    • 제18권1호
    • /
    • pp.41-48
    • /
    • 2001
  • 1980년대 초반에 'Neurosteroid'라는 개념이 소개 되면서, 지난 20년간 이 분야에 많은 연구결과들이 쌓이게 되었다. 그리고, neurosteroid는 과거에 알고 있었던 스테로이드들과는 다른 방법으로 생물체에 생리적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특히 신경계 내에서는 신경전달물질과 같은 작용을 한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신경계 내에서의 자체적인 스테로이드 호르몬 합성에 관한 연구들이 본격화되기 시작했다. 지난 10년 사이에 많은 review 논문들이 발표되고 있지만, neurosteroid와 신경계의 특성상스테로이드 호르몬의 신경계에 미치는 기능에 대한 연구가 쉽지 않으며, 정밀하게 조절되는 신경계의 스테로이드 함량변화를 조절하는 합성 효소에 대한 연구는 아직도 초보적인 단계에 머물러 있다. 이에 본 논단에서는 neurosteroid에 대한 소개와 함께 최근 우리실험실의 연구결과를 소개하고자 한다.

  • PDF

증발냉각시스템 설치온실의 실태 조사 및 분석 (Field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Greenhouse with Evaporative Cooling Systems)

  • 김기성;김문기;유인호;원종선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1999년도 학술발표논문집
    • /
    • pp.213-216
    • /
    • 1999
  • 우리나라의 기후 특성상 여름철에는 온실내 기온과 지온이 과다하게 상승하여 정상적인 작물 생육을 기대하기 어렵다. 이러한 고온현상을 극복하기 위해 우리나라 시설원예 농가에서는 소극적이면서 비용이 적게 드는 흑색 차광망이나 자연환기를 주로 이용하고 있으며 냉방 효과가 적어 문제가 되고 있다. 근래 온실 냉방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증발냉각시스템을 도입하는 시설원예농가가 증가하고 있으나 기술적인 측면에서 아직 많은 문제점들이 남아있는 실정이다. (중략)

  • PDF

울산 정자연안 정치망어장에 채집된 어류의 종조성 및 양적변동

  • 김종헌;김기태;한경호;백승록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1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426-427
    • /
    • 2001
  • 동해 남부 연안에 위치한 울산 정자연안은 울산공단으로부터의 폐수와 생활오수 유입 뿐 아니라, 위로 월성 원자력 발전소, 아래로는 고리 원자력 발전소가 위치하고 있어 수질이 점차 악화되고 있는 곳으로서 생물상의 변화가 예상되므로 정치망에 어획되는 어류를 대상으로 종조성 및 양적변동을 밝힐 필요성이 높아졌다. 어류 군집의 구조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정량적인 채집이 이루어져야 한다. (중략)

  • PDF

표면 미세 가공기술을 이용한 마이크로 캔틸레버의 제작과 바이오션서로의 응용 (Microcantilever-based biosensor using the surface micromachining technique)

  • 유경아;정승룡;강치중;김용상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5년도 제36회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C
    • /
    • pp.2407-2409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생물분자 감지를 위한 센서로 마이크로캔틸레버를 제안하였고 이것을 이용해 여러 생물 분자들을 광학적, 전기적으로 분석하였다. 마이로캔틸레버는 표면 미세 가공 기술로 제작되었고, 이러한 제작 방식은 공정이 간단하고 비용이 적게 들며 센서 array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생물분자를 포함하는 용액을 주입하기 위하여 PDMS와 fused silica glass를 이용해 fluid cell system을 제작하였다. 마이크로캔틸레버 상단의 gold가 코팅된 부분에서 생물분자의 자기조립 (self assembly)현상이 일어나고 이는 마이크로캔틸레버 상, 하단의 표면 스트레스 차이를 야기 시킨다. 이로 인해 마이크로캔틸레버 자체의 휘어짐 현상이 일어나게 되고 이러한 휘어진 정도를 측정함으로써 마이크로캔틸레버의 생물분자 감지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Cystamine dihydrochloride와 glutaraldehyde 분자를 분석하였고 각기 다른 농도의 cystamine dihydrochloride 용액에서도 실험함으로써 농도별 감지능 또한 확인하였다. 이러한 생물분자 감지를 위한 마이크로캔틸레버의 센서로써의 성능은 u-TAS 와 lab-on-a-chip에서 유용히 이용될 수 있으리라 확신한다.

  • PDF

RP-HPLC를 이용한 감초에서 liquiritin, glycyrrhizic acid, glabridin의 분리 (Separation of liquiritin, glycyrrhizic acid and glabridin from licorice by RP-HPLC)

  • 전명래;염홍원;노경호
    • 분석과학
    • /
    • 제21권2호
    • /
    • pp.102-108
    • /
    • 2008
  • 역상고성능액상크로마토그래피(RP-HPLC)를사용하여감초에포함된 liquiritin (LQ), glycyrrhizic acid (GA)과 glabridin을 분석하였다. 이동상의 조성에 대한 실험을 수행한 실험결과에 의하면, 최적화된 이동상은 메탄올-물 이성분계이다. 이동상의 유량은 1 mL/min으로 일정하였고, 초기 8분동안에 35/65 (MeOH/water, v/v%)에서 80/20으로 구배용매조성법을 적용하였고, 그 이후에는 80/20으로 유지하였다. LQ과 GA의 농도는 0.2 mg/mL에서 1.0 mg/mL까지, glabridin의 농도는 0.01 mg/mL에서 0.2 mg/mL의 범위에서 선형성을 보였고, 상대 표준편차는 0.90%(n=5) 보다 낮았다. 개발된 방법을 사용하여 감초에 포함된위의세가지성분의정량분석을성공적으로수행하였다. 평균수율은 LQ가 80.79%, GA가 89.71%, glabridin이 72.50%이었다.

상변화축열재의 물성안정과 열특성 분석 (Stabilization of Physical Properties and Thermal Characteristic Analysis of Phase Change Material)

  • 유영선;윤진하;손정익;김영중;강금춘;송현갑;장진택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214-218
    • /
    • 1998
  • 저밀도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축열하기 위해서 현열축열재보다는 상변화 온도 3$0^{\circ}C$ 수준의 잠열축열재를 이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를 위하여 연구를 수행한 결과, SCD에 APS를 0.0~5.0wt% 첨가하여 과냉도를 25.$0^{\circ}C$에서 $1.5^{\circ}C$ 이하로 조절하였으며, APS의 적정 함량은 3.0wt%였다. SCD에 PSC를 0.0~3.0wt% 첨가하여 상분리량을 70.0%에서 0.0%로 조절하였으며, PSC의 적정 함량은 1.5wt%였다. 축열재 내구성 검증을 위하여 0~1,500회의 상변화 사이클을 수행한 결과 상변화 온도의 변화량이 30$\pm$l.$0^{\circ}C$ 이하, 잠열량 변화가 54$\pm$2.0 Kcal .kg-1 이하로 안정된 값을 보였다. 따라서 축열재의 수명은 10년 정도 보장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여과분리형 생물반응조의 고액분리 특성 (Solid-Liquid Separation Characteristics with Bio-filter Media Reactor)

  • 박영배;정용준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47-353
    • /
    • 2014
  • 여과분리형 생물반응조 운전에서 발생하는 flux 감소 원인을 분석하였고, 상등수 수질과 침강성 변화가 flux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또한 여과막 모듈과 역세정 장치 일체형 시스템의 특성을 평가하였다. 반응조는 17L 유효 용적의 아크릴 반응조에 $100{\mu}m$ 공경의 여과막 모듈을 통해 배출되는 여과시스템으로, 여과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상등수의 수질 특히 탁도와 TOC의 수질이 악화됨에 따라 flux가 점진적으로 감소하였다. MLSS 농도가 18000mg/L 이상에서는 여과저항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상등수의 수질과 flux와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서는 MLSS 농도가 10000mg/L 이상에서는 곤란함에 따라 5000mg/L이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활성슬러지 플록을 파괴시켜 SVI를 250으로 조정하여 여과를 시작한 경우, 상등수의 탁도가 증가하여, 침강성이 악화됨에 따라 flux도 점차 감소하였다. 여과막 모듈과 폭기세정 장치를 일체화한 시스템에서 공기 공급은 30~60초 정도로 설정함이 적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공성 담체를 이용한 유동상 및 하이브리드 반응기에서의 질소제거 (Nitrogen Removal in Fluidized Bed and Hybrid Reactor using Porous Media)

  • 전병희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542-548
    • /
    • 2005
  • 부착 미생물을 이용한 다공성 담체 유동상 반응기는 하폐수중의 유기물 및 질소제거에 많이 적용되어져 왔다. 특히 생물막이 형성된 담체에서는 호기, 무산소 그리고 혐기영역이 공존하여 동시적 질산화/탈질 반응에 의한 질소제거에 유리한 환경이 제공된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반응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담체표면과 내부에서 산소와 유기물등의 적절한 기질확산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하폐수중의 유기물농도나 생물막의 마찰조건등 운전조건에 따라서는 표면에서의 종속영양균의 과잉성장에 의해 질소 제거 반응이 저해되기도 한다. 다공성 담체 유동상 반응기에 막모듈을 결합시킨 하이브리드 반응기는 단일조내에서 활성화된 동시적 질산화/탈질 반응으로 종래의 유동상 반응기에 비해 30% 이상 질소제거 효율이 증가하였다. 미소전극 연구를 통해 담체내부의 탈질율을 조사할 수 있으며 유동상 반응기에 비하여 하이브리드 반응기내 담체내부에서는 탈질반응에 대한 유기물의 확산에 대한 제한인자가 작으며 따라서 보다 높은 탈질율을 유지할 수 있음을 보였다.

Spray Column에서 역미셀을 이용한 Lipase의 분리 (Separation of Lipase Using Reverse Micelles in Spray Column)

  • 한동훈;홍원희
    • KSBB Journal
    • /
    • 제8권1호
    • /
    • pp.83-88
    • /
    • 1993
  • 연속추출시 그 상의 분리가 용이한 spray column 에서 역미셀을 이용한 추출에 영향을 미치는 pH, 접촉횟수, 유속, 수용상과 유기상의 비 등 추출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인자들을 조사해 보았다. 그 결과 lipase는 등전점보다 낮은 3.6-4.5 사이에서 추출이 잘되었으며 역추출시에는 그와 반대로 등전점보다 높은 pH인 8.0-9.0에서 잘 추출되었다. 수용상과 유기상 사이의 접촉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추출량이 증가되었으며 추출시 계면활성제의 손실 때문에 유기상의 계속적인 공급이 필요하다. 유속의 효과는 접촉면적과 유기상 사이의 물의 함량의 반대효과로 0 0.068ml/sec과 0.101ml/sec사이에서 최적의 값을 갖는다. 수용상과 유기상간의 비에 따른 추출량은 예측했던데로 수용상의 양이 많을수록 그 추출량이 급격히 증가하는 경 향을 보였다. 각각에서 활성도는 추출전에 비해 70%의 회수율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