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색채디자인

검색결과 559건 처리시간 0.03초

주조색과 밝기정보를 이용한 스마트폰케이스 패턴디자인 분석 (Analaysis of Smart phone Case Pattern Design Using Dominant Color and Luminosity)

  • 최란;김철기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4년도 제50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2권2호
    • /
    • pp.41-42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 케이스에 제품디자인에 있어서 패턴 디자인 활용사례를 알아보고 주조색 분석을 통해 패턴디자인 트렌드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주조색 추출에 사용된 스마트폰 케이스는 +D프로젝트에 출시된 자료를 활용해 9명 디자이너 별 대표제품 2개를 분석했으며, 분석은 한국 표준색 색채분석, KSCA (Korea Standard Color Analysis) 프로그램을사용하여 각각의 이미지에서 5%이상 쓰인 주조색을 추출 하였고, Hue&Tone 분포를 통해 스마트폰케이스 패턴디자인에 사용된 색채 트렌드를 알아보고자 한다. 스마트폰케이스에 사용된 전체 주조색들을 살펴보면 색상에 있어서는 붉은색(R) 과 보라색-파랑색(PB) 의 분포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색조에 있어서는 밝은(B), 옅은(P) 톤이 가장 많이 사용 된 것을 알 수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색채를 통한 감성분석을 연구해 스마트폰 케이스 제품디자인에 있어서 색채와 감성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 PDF

인터플로라 세계월드컵대회의 웨딩부케 색채이미지 분석 (Analysis of Color Image Wedding Bouquet in the Interflora World Cup Competition)

  • 여화선;김신원;박시현
    • 화훼연구
    • /
    • 제18권4호
    • /
    • pp.308-314
    • /
    • 2010
  • 화훼디자인 분야에 있어서 색채의 중요성이 부각된 것은 오래 되었지만 전문적인 교육과 표준화 작업은 미흡한 실정이며, 화훼디자인 분야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웨딩부케도 이러한 문제점을 직시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인터플로라 세계월드컵대회의 출품작 중 웨딩부케의 색채이미지 분석을 통해 화훼디자인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명도와 채도가 높은 색채를 선호하였고, 난색과 한색의 고른 분포가 나타났다. 반면 파란색(Blue)의 사용은 없는 것으로 결과가 도출되어, 화색(花色) 중 파란색(Blue)을 띠는 식물의 희소성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판단되었다. 색채 배색의 분석 결과 대륙별로 차이점을 보이고 있었다. 유럽의 웨딩부케는 한가지 색에 치중하지 않고 다양한 색채 배색이 나타난 반면, 아시아의 웨딩부케는 빨간색(Red)계열이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결과 웨딩부케의 색채이미지스케일은 12개의 대표이미지 중 8개의 이미지에 분포하였고, '맑은, 우아한, 점잖은, 모던한'의 4개의 이미지에는 나타나지 않았다.

디지털 색채 디자인 교육과정 개발 (Development of a Digital Color Design Education Curriculum)

  • 김유진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6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246-250
    • /
    • 2006
  • 디지털 콘텐츠 분야의 급속한 발전과 함께, 디자이너들에게 있어 다양한 미디어를 통해 구현되는 디지털 색채를 전문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색채 디자인 능력을 함양시킬 수 있는 새로운 디지털 색채 디자인 교육과정을 제안함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색채이론과 디지털 매체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다양한 디지털 색채 실습 기회를 제공하는 대학수준의 디지털 색채 디자인 교육내용을 개발하였다. 또한 면대면 교실 수업과 웹 기반 수업을 통합한 혼합학습(Blended Learning) 방식을 활용하여, 학습자와의 상호작용을 촉진시켜 보다 풍부한 색채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교육방법을 제안하였다. 새로운 디지털 색채 교육과정을 두 차례의 대학 강의에 적용하여, 교육과정의 효율성을 검증하였다.

  • PDF

감성생리 실험을 이용한 실내 색채 디자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Interior Color Design based on Psychophysiological Responses)

  • 김주연;이현수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141-1144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미래 감성실내 공간색채에 대한 연구로 심리설문반응과 생리 신호 분석을 통하여 감성색채데이터 분석에 목적을 두었다. 생리신호반응 분석 중 뇌파측정과 7점 척도 SD 스케일법을 이용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정상적인 감성어휘와 정량적인 생리신호 결과의 상호관계를 분석하였다. 기존의 직관적이며 주관적인 색채 배색디자인과 심리분석의 색채연구결과에 비해 본 연구는 객관적이며 과학적인 방법 및 주관적인 감성어휘를 연결짓는 것으로 연구의 의의를 두었다. 이러한 연구는 감성에 미리 반응하는 감성 지능형 환경디자인에 중요한 페이지로 활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대인의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에 따라 건강 증진 환경디자인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색채 배색을 제안할 수 있다.

  • PDF

색채(色彩)가 유아심리에 미치는 일반적 고찰 (최근 경향분석을 통하여) (A study for the influence of the color upon preschool children)

  • 김황석
    • 한국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디자인학회 1999년도 추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68-69
    • /
    • 1999
  • 사람마다 다 색깔이 있다. 물론 좋아하는 색깔도 가지각색이다. 특히 유아시기(만2세이상∼만5세이하)는 다른 시기의 유아들 보다 색에 대한 관심이 특별하다. 즉, 어떤 물체를 형태보다는 색채에 의하여 동일 물체로 인정하려 하여 자신이 좋아하는 색채에 대해서 민감한 반응을 보이게 된다. (중략)

  • PDF

중국 기호품의 패키지디자인 색채연구 -중국홍[紅]을 중심으로- (The Colour Research of Package Design in China -The Chinese Red as a Core-)

  • 이옌리;김맹호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0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32-134
    • /
    • 2010
  • 중국홍[紅]은 중국 색채문화 중에서 중요한 자리매김을 하고 있고 또한 중국인의 마음속에 행복한 생활을 갈망하는 상징적 표현의 색채이다. 본 논문에서는 중국 전통 색채인 중국홍[紅]이 지니는 개성과 특징 및 패키지 디자인응용사례를 분석함으로써 중국홍[紅]이 기호품 패키지 디자인에서 중국인에게 보다 더 감성적으로 정보를 전달하고 매료시킬 수 있게 하는 매개체임을 시사하고자 한다.

  • PDF

실내디자인 분야에서 COS Color System의 활용성에 관한 연구 -′97-′98 실내마감재 색채분석을 중심으로 - (Practicl Use of the COS Color System in Interior Design - Focused on the Color Analysis of ′97-′98 Interior Materials Produced in Korea -)

  • 박영순;신인호;김미경;방희조;하승아
    • 한국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디자인학회 1999년도 추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64-65
    • /
    • 1999
  • 현대 생활에서 색채는 점점 더 중요한 환경의 구성 요인으로 고려되고 있다. 또한 색채와 관련되는 정보의 특성은 분야에 따라 다르므로 사용된 분야의 색채와 관련된 요인들을 분석하고, 이룰 토대로 한 활용색체계를 갖추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중략)

  • PDF

해양생물의 특징을 활용한 일러스트레이션 디자인 연구 -해양생물 색채와 형태를 중심으로- (A study on Illustration Design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Marine Life -Centered on the colors and forms of Marine life-)

  • 우명혜;조정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189-199
    • /
    • 2022
  • 현대의 일러스트레이션 디자인은 독창성을 필요로 하는데, 해양생물의 형태와 색채는 일러스트레이션 창작에 풍부한 소재를 제공한다. 일러스트레이션은 디자인적 창조 가치가 매우 높다. 본 연구는 해양생물을 거울삼아 색채학적 지식과 시각적 형태설계를 통해 이를 밝히고, 일러스트레이션 디자인과 해양생물을 주요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목적은 ① 해양생물의 전형적 특징을 색과 형태 중심으로 정리, ② 이를 해양생물을 대표하는 그래픽 기호로 도출하여, ③ 일러스트레이션으로 접목할 수 있음을 해양생물 일러스트레이션 제작으로 사례를 제시하였다. 연구를 통해서 결론을 도출하고, 해양생물과 육지생물을 구분하는 전형적인 특징 중 하나로 곡선적인 특징을 부각시켰다. 열대어 색채 현상에 대한 분류 연구와 비교분석을 통해 도출한 열대어류의 색채 특성을 바탕으로 해수 열대어의 색채를 추출 및 가공하여 일러스트레이션 디자인에 활용할 수 있다.

한국 산업 제품의 색채 연구 - 1960-70년대 산업화 시기를 중심으로 - (A Study on Colorization of Industrial Products of Korean Make - Focused on the reflection of the Panorama exhibited during the perior of the sixties and seventies of the Previous Century -)

  • 이옥분
    • 디자인학연구
    • /
    • 제18권4호
    • /
    • pp.215-224
    • /
    • 2005
  • 최근 장식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제품의 외관을 다루는 작업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는 색채 디자인 활동의 전문성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이러 찬 상황에서 색채 디자인에 대한 개념의 재정립과 방향성의 제고는 불가피하다고 하겠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우리나라 색채 디자인의 출발점인 1960-70년대의 색채를 살펴봄으로써 색채 디자인의 적극적 도입 과정과 그 매커니즘에 대한 이해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60-70년대의 산업 재효의 색채에 관한 문헌을 조사 분석하여 색채의 특징을 구분하고 각각의 색채에 대한 배경과 의미를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 우리나라의 제품 색채는 산업화 속에서 제품의 기능적, 시각적인 마무리를 위한 개념에서 설정된 생산과 판매중심의 접근임을 알 수 있었다. 색채는 경제 성장을 향하는 물질가치 중심의 산업화의 이념과 제품에 대한 인식틀 속에서 그 방향성이 결정되었고 따라서 단순한 모방이나 기능적 보완, 또는 시각적인 주목성과 차별화기 기능 역할을 부여 받았다. 이러한 인식은 가전 제품을 중심으로 하는 백색, 소규모 일상용품을 중심으로 하는 순색, 가구와 같은 장식 개념의 제품을 중심으로 하는 자연 소재색의 3영역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는 제품 색채에 대한 연구가 미흡했던 점, 특히 제품 디자인에 대한 연구가 외형적 특성에만 집중하는 기존의 연구 태도로 인해 중요성의 인식이 부족하였던 색채에 대한 고찰이라는 면에서 의의를 갖는다.

  • PDF

WWW을 활용한 디자인과 색채 기호 조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sign and Color Preference Investigation using WWW)

  • 김형민;권은숙
    •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 /
    • 제2권1호
    • /
    • pp.39-47
    • /
    • 1996
  • 다양한 라이프스타일을 추구하는 소비자의 니즈(needs)는 첨단 컴퓨터 기술을 활용한 디자인 연구과정의 개발을 통하여 체계적으로 파악될 수 있다. 특히 제품 디자인의 가장 중요한 요소인 색채는 그 복합적 특성으로 인하여 정확한 정보를 파악하여 분석하는 것이 어려웠다. 본 연구에서는 WWW을 이용한 디자인과 색채 기호조사 방법을 개발하고, 이의 실험을 통하여 시간적, 경제적, 지역적 한계를 지닌 기존의 색채조사 방법을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디자인 연구방법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는 기존의 언어적이고 추상적인 색채조사를 구체적 제품의 3D 모델링을 이용한 시각적이고 구체적인 색채 조사로 대체함으로서, 보다 신뢰도가 높은 정보의 획득과 분석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