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새포아풀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9초

Bispyribac-sodium 처리에 의한 새포아풀(Poa annua L.) 방제 (Control of Annual Bluegrass(Poa annua L.) by Bispyribac-sodium)

  • 박남일;이인용;박재읍;김호준;전재철;소립원 승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57-165
    • /
    • 2006
  • 새포아풀을 선택적으로 방제하기 위한 약제로써의 적용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해 bispyribac-sodium의 살초스펙트럼을 통한 새포아풀과 벤트그래스의 살초선택성을 생육기별로 조사하였다. bispyribac-sodium 토양처리에 의한 공시 초종의 방제가는 전체적으로 낮았으나 특이적으로 냉이에 대해서는 90% 이상의 높은 방제가를 나타내었다. bispyribac-sodium 경엽처리는 큰참새피, 그령, 소리쟁이 등 다년생잡초와 벤트그래스를 제외한 공시초종에서 높은 생육억제 효과를 보여 화본과 및 광엽잡초 등 넓은 살초스펙트럼을 가지고 있고 벤트그래스와 새포아풀 간에 선택적인 방제제로써의 적용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벤트그래스와 새포아풀의 생육기별 약제반응 차이를 조사한 결과, 벤트그래스는 새포아풀에 비해 모든 생육기별 처리에서 높은 $GR_{50}$ 값을 보여 동일한 약량에서 새포아풀이 벤트그래스보다 bispyribac-sodium에 대하여 감수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새포아풀과 벤트그래스 간 출수후 처리 28일후 조사에서는 14일 후 조사결과보다 약 2배 높아진 6.8배의 높은 선택성 차이를 보였다.

파종량이 Creeping Bentgrass 잔디초지의 식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eding Rates on Turf Vegetation of Creeping Bentgrass)

  • 조남기;강영길;송창길;조영일;박성준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31-136
    • /
    • 2005
  • 본 시험은 제주지역에서 파종량 차이(4, 6, 8, 10 및 12kg/10a)에 따른 Creeping bentgrass의 식생변화를 구명하기 위하여 2004년 3월 21일 부터 7월 7일까지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초장은 4kg/10a 파종에서 19.6cm로 파종량이 12kg/10a로 증가됨에 따라 30.4cm로 커졌으나, 10kg/10a과 12kg/10a 파종구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근장 및 엽록소 측정치는 파종량 차이에 따라 초장반응과 비슷한 경향이었다. 파종량이 4kg/10a에서 12kg/10a로 증가됨에 따라 엽중은 859kg에서 1,558kg/10a로, 근중은 1,798kg에서 2,966kg/10a로 증가되었으나, 10kg/10a과 12kg/10a 파종구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파종량이 4kg/10a에서 12kg/10a로 증가함에 따라 잔디의 피도는 $93.2\%$에서 $98\%$로 증가되었으나, 잡초의 피도는 $6.8\%$에서 $2.0\%$로 감소되었다. 잔디의 밀도는 $96.2\%$에서 $99\%$로 증가되는 반면, 잡초밀도는 $3.8\%$에서 $1.0\%$로 감소되는 경향이었다. 파종량이 증가함에 따라 침입잡초는 15.2종에서 11.0종으로 감소되었다 우점잡초의 변동은 4kg/10a 파종에서 바랭이, 명아주, 새포아풀, 6kg/10a 파종에서 바랭이, 명아주, 별꽃, 8kg/10a 파종에서 명아주, 새포아풀, 바랭이, 10kg/10a 파종에서 바랭이, 명아주, 별꽃, 12kg/10a 파종에서는 명아주, 바랭이, 새포아풀 순위였다. 이상의 시험결과를 볼 때, 제주지역에서의 Creeping bent-grass의 적정 파종량은 10kg/10a으로 판단된다.

Kentucky bluegrass 내 새포아풀 방제를 위한 경엽처리제 선발 (The selection of Post-emergence Herbicides to Control of Poa annua in Kentucky Bluegrass)

  • 홍범석;태현숙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2권1호
    • /
    • pp.76-81
    • /
    • 2013
  • 본 연구는 켄터키블루그래스에 이미 발생된 새포아풀을 제거할 수 효과적인 제초제를 선발하고자 시행되었다. 다양한 경엽처리제로 구성된 총 8개의 처리구에서는 켄터키블루그래스의 약해를 낮추기 위해 추천농도 또는 추천농도보다 낮은 농도가 처리되었으며, 그린 주변에 제초제를 처리한 후 벤트그래스 그린에 밟고 들어간 경우 발생되는 발자국 피해를 함께 조사하였다. 시험 결과, 본 시험에서 경엽처리제 처리 후 40일 동안 켄터키블루그래스에서 가장 안전한 약제는 Methiozolin이었으며, 처리 후 20일 동안 조사된 벤트그래스 그린 내footprints test에서도 약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새포아풀에 대한 방제효과는 60.4%로 다른 7개의 처리구에 비해 낮았다. Asulam sodium과 Iodosulfuron + Asulam sodium 처리구는 켄터키블루그래스에 심각한 약해를 발생시키지 않았고, 각각 81.7%와 82.2%의 양호한 방제가를 보였으며, 벤트그래스 그린 내 발자국 시험에서도 경미한 피해를 발생시키는 데 그쳤다. 반면, Trifloxysulfuron-sodium, Foramsulfuron, Rimsulfuron, Flazasulfuron 처리구에서는 추천농도의 1/4인 저농도에서도 켄터키블루그래스에 심각한 약해가 발생되며, 벤트그래스 그린에도 많은 뚜렷한 발자국 피해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methiozolin은 켄터키블루그래스로 조성된 페어웨이나 그린주변 프린지에 처리하여 큰 약해 없이 잡초의 밀도를 서서히 줄여나가는 데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 Asulam sodium 또는 Iodosulfuron plus + Asulam sodium은 부분처리 방법을 통해 에이프런을 포함한 그린 주변에 발생된 새포아풀을 제거하는 데 유용하며 부분이라도 그린에 직접 처리하는 것은 위험하다.

새포아풀(Poa annua L.) 방제를 위한 Bispyribac-sodium과 타약제와의 혼합 상호작용 (Herbicidal Efficacy of Bispyribac-sodium Combined with Other Herbicides for Annual Bluegrass(Poa annua L.) Suppression)

  • 박남일;이인용;박재읍;김호준;전재철;소립원승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39-49
    • /
    • 2007
  • Bispyribac-sodium은 벤트그린에 발생한 새포아풀의 출수 개화를 억제시켜 밀도를 저하시키는 새로운 개념의 제초제다. 이러한 생육중의 새포아풀에 대한 제초 및 생육억제 활성을 보이는 bispyribac-sodium을 기준으로 하여 잔디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21종의 토양 및 경엽처리형 제초제와의 혼합 상호작용 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그 결과 bispyribac-sodium과 benfluralin, pendimethalin, oryzalin, siduron, chlorphtalim, isoxaben, bifenox, tenylchlor, indanofan, bentazone, imazosulfuron, imazaquin, halosulfuron-methyl 및 limsulfuron과의 혼합처리에서는 단제처리 대비 새포아풀에 대하여 현저한 약제의 제초 상승작용 확인되지 않았다. 그러나 mecoprop, triclopyr, metsulfuron-methyl, cyclosulfamuron, pyrazosulfuron-ethyl 및 pyributicarb과의 혼합처리에서는 단제처리와 비교하여 제초 상승작용을 보였으며, 벤트그래스에 대한 약해발생 정도도 미미하였고 후에 회복되었다. 향후 서로 다른 생육환경 조건과 관리가 수행되어지는 실제 벤트그린에서의 bispyribac-sodium과 타 약제간의 실증실험을 통한 상호작용의 검토도 필요하다.

새포아풀 방제를 위한 Roundup Ready Bentgrass의 개발 (Development of Roundup Ready Bentgrass for the Control of Poa annua)

  • 닉크리스챤스;이정호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77-82
    • /
    • 2006
  • 애뉴얼 블루그래스는 골프장에서 방제하기가 대단히 어려운 잡초이다. 방제가 어려운 이유로는 애뉴얼 블루그래스의 경우 불량환경에서도 왕성하게 종자생산을 할 수 있는 특성과 또한 낮은 예초환경에서도 적응력이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유전적으로 다양성이 있기 때문에 골프장의 잔디에 비해 우점할 수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애뉴얼 블루그래스는 일년생 한지형 잔디로, 생육형은 주형이다. 하지만 포복경이 있어 다년생의 특성을 갖는 생태형이 다른 애뉴얼 블루그래스도 있다. 골프장에서 애뉴얼 블루그래스 방제를 위해 화학적 방법과 재배적 방법에 관한 수많은 연구가 지난 85년간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일부 종류의 애뉴얼 블루그래스 방제에 성공적인 결과도 있지만, 모든 종류의 애뉴얼 블루그래스 방제에 성공적인 방법은 아직 없는 실정이다. 이 모든 방제 방법들 중에 Roundup ready creeping bentgrass의 사용은 다양한 종류의 새포아풀을 방제 할 수 있다. Roundup readgy bentgrass는 Roundup에 내성이 있어 약해 피해 없이 생존이 가능하다. 따라서 골프장에서 이 새로운 기술을 활용하면 새포아풀이 없는 그린, 티, 훼어웨이를 유지할 수 있다.

충남지역 포도원에서 발생하는 잡초분포조사 (The Survey of Weed Occurrence at Grape Orchard in Chungnam Province)

  • 황기선;노석원;이윤미;김지윤;이정선;이인용;박기웅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5권3호
    • /
    • pp.177-180
    • /
    • 2016
  • 본 연구는 충남지역 포도원의 발생잡초를 확인하고 잡초관리기술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2015년 4월부터 6월, 9월부터 10월까지 2차례에 걸쳐 대전광역시와 세종특별자치시를 포함한 충청남도지역의 포도원에서 잡초분포조사를 수행하였다. 충남지역 포도원에서 발생하는 잡초는 일년생 33종, 다년생 17종을 포함하는 23과 50종의 발생을 확인하였다. 1차 조사에서는 새포아풀(7.07), 돌피(6.56), 바랭이(6.43), 냉이(5.63)가 우점하였고, 2차 조사에서는 속속이풀(9.59), 가는잎한련초(9.13), 바랭이(7.68), 새포아풀(7.68) 순으로 우점하였다. 잡초방제방법에 따른 잡초발생은 제초제만 처리한 경우 6과 7종으로 잡초종의 발생이 가장 적었으며, 예초와 경운을 이용한 경우 9과 21종으로 가장 많은 초종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새포아풀(Poa annua sp.)의 종자휴면과 발아특성 (Seed Dormancy and Germination Characteristics of Annual Bluegrass (Poa annua L.))

  • 김태준;송재은;최정섭;조광연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5-20
    • /
    • 2001
  • Two types of annual bluegrass have been reported, and those consist of annual type (Poa annua ssp. annua) and perennial type (Poa annua ssp. reptans). As a weed, annual bluegrasses are commonly found in putting greens and fairways in many golf courses. Due to its strong competitiveness such as tremendous seed reproduction rate a year, prostrate growth habit, and no herbicide availability, annual bluegrasses have been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hard-to-control weeds in turf management systems. A growth chamber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seed dormancy and to understand seed germination characteristics of annual bluegrass (Poa annua ssp. annua). Freshly harvested seeds showed 80 and 55% germination at 30 and $35^{\circ}C$, respectively, indicating that the optimum temperature of annual bluegrass is $30^{\circ}C$. However, the seed germination occurred only under light condition at any given temperature. This result demonstrated that light is prerequisite for the seed germination, and no primary dormancy of annual bluegrass seed exists. Secondary seed dormancy induced by unfavorable temperatures and dark condition was broken through 4 to 6 wk-storage at $4^{\circ}C$ with moisture, and the stored seeds germinated at $20^{\circ}C$ even under the dark. In red and far-red light trial, fresh seeds resulted in 40% germination under red while no seed germination occurred under far-red light condition, indicating that phytochrome Pr and Pfr could be related to annual bluegrass seed germination. When the far-red light replaced the red the germination was recovered, but this reversibility did not reach to the germination level under the red light only. This result implied that other lights than red and far-red would play an important role on seed germination of annual bluegrass.

  • PDF

잔디용 제초제 Flupoxam 과립수화제의 생물특성 소개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Flupoxam under Registration)

  • 이인용;김창석;이정란;문병철;이관섭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12-219
    • /
    • 2011
  • 플루폭삼(flupoxam) 과립수화제는 새포아풀, 바랭이 등의 일년생 화본과 및 광엽잡초에 대해 95%이상의 방제효과를 나타냈다. 약효는 $2kg\;ha^{-1}$에서 3~4월 처리의 경우 120일 이상, 9~10월에 처리할 경우 180일 이상 지속된다. 또한 토양흡착성이 높기 때문에 안전한 처리층이 형성되고 예초후 잔디 찌꺼기(thatch) 유무에 관계없이 잡초방제 효과가 100%이었다. 기존의 잔디용 제초제(디니트로아니린계, 피리딘계, 카바메이트계) 등과는 다른 새로운 작용기작을 가지고 있어 약제의 교호살포에 효과적이다. 주변 조경수에는 일부를 제외하고는 이상증상이 없었다.

일본의 최신 잔디연구 현황 (The Present Research of Turfgrass Science in Japan)

  • 박남일;장덕환;양승원;심규열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37-242
    • /
    • 2011
  • 2011년 일본잔디학회 추계학술대회는 크게 일반 학술강연, 부회 및 소심포지움으로 나뉘어 총 55주제가 발표되었다. 일반 학술강연은 잔디, 병해충 및 잡초의 생리 생태분야, 병해 및 잡초방제분야 및 신규 잔디용 약제에 대한 약효특성 연구결과에 대해 발표되었다. 그중 잔디밭 최신 발생병해인 necrotic ring spot과 문제잡초인 파대가리, 새포아풀, 점나도나물에 대한 방제방안 및 UV를 이용한 살초스펙트럼을 조사한 연구발표가 있었다. 또한, 신규 등록 살균제 Furametpyr와 제초제인 S-metolachlor, Flucetosulfuron 및 Foramsulfuron의 방제효과에 대한 연구결과가 발표되었다. 부회에서는 골프장, 교정잔디, 공원녹지 및 지피식물 녹화의 4가지 주제와 잔디 유전자원 평가라는 소심포지움을 통해 다양한 정보교류가 있었다. 특히, 공원녹지 부회에서는 현재 일본의 사회적으로 가장 큰 이슈인 방사능오염물질 누출에 의한 공원, 교정 및 가정의 잔디밭의 방사능물질 오염 메카니즘과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에 대하여 발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