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 of Seeding Rates on Turf Vegetation of Creeping Bentgrass

파종량이 Creeping Bentgrass 잔디초지의 식생에 미치는 영향

  • Cho, Nam-Ki (College of Applied Life Science, Cheju National University) ;
  • Kang, Young-Kil (College of Applied Life Science, Cheju National University) ;
  • Song, Chang-Khil (College of Applied Life Science, Cheju National University) ;
  • Cho, Young-Il (College of Agric & Life Scienc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Park, Sung-Jun (College of Applied Life Science, Cheju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2005.06.0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March 21 to July 7 in 2004 at JeJu Islan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seed-ing rates (4, 6, 5, 10 and 12 kg/10a) on creeping bentgrass vegetation. The result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plant height was getting longer as seeding rate increased from 4 to 12 kg/10a, Although it was no significance from 10 to 12 kg/10a. Root length, Minolta SPAD-502 chlorophyll reading value, leave and root weight increased as the plant height increased. The degree of land cover and density of creeping bentgrass also increased as seeding rate increased from 4 to 12 kg/10a, and the degree of land cover and density of weed decreased. The number of weed species on decreased as increasing of seeding rate. Then ranking of the dominant weeds were Digitaria adscendens, Chenopodium album var. centrorubrum md Poa annua (at 4 kg/10a seeding rate), Digitaria adscendens, Chenopodium album var. centrorubrum and Stellaria media (at 6 kg/10a seeding rate). Chenopdium album var. centrorubrum, Poa annua and Digitaria adscendens (at 8 kg/10a seeding rate), Digitaria adscendens, Chenopdium album var. centrorubrum and Steilaria media (at 10 kg/10a seeding rate), Chenopdium album var. centrorubrum, Digitaria adscendens and Stellaria media (at 12 kg/10a seeding rate).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optimum seed-ing rate is 10 kg/10a for growth of creeping bentgrass in volcanic ash soils of Juju island.

본 시험은 제주지역에서 파종량 차이(4, 6, 8, 10 및 12kg/10a)에 따른 Creeping bentgrass의 식생변화를 구명하기 위하여 2004년 3월 21일 부터 7월 7일까지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초장은 4kg/10a 파종에서 19.6cm로 파종량이 12kg/10a로 증가됨에 따라 30.4cm로 커졌으나, 10kg/10a과 12kg/10a 파종구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근장 및 엽록소 측정치는 파종량 차이에 따라 초장반응과 비슷한 경향이었다. 파종량이 4kg/10a에서 12kg/10a로 증가됨에 따라 엽중은 859kg에서 1,558kg/10a로, 근중은 1,798kg에서 2,966kg/10a로 증가되었으나, 10kg/10a과 12kg/10a 파종구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파종량이 4kg/10a에서 12kg/10a로 증가함에 따라 잔디의 피도는 $93.2\%$에서 $98\%$로 증가되었으나, 잡초의 피도는 $6.8\%$에서 $2.0\%$로 감소되었다. 잔디의 밀도는 $96.2\%$에서 $99\%$로 증가되는 반면, 잡초밀도는 $3.8\%$에서 $1.0\%$로 감소되는 경향이었다. 파종량이 증가함에 따라 침입잡초는 15.2종에서 11.0종으로 감소되었다 우점잡초의 변동은 4kg/10a 파종에서 바랭이, 명아주, 새포아풀, 6kg/10a 파종에서 바랭이, 명아주, 별꽃, 8kg/10a 파종에서 명아주, 새포아풀, 바랭이, 10kg/10a 파종에서 바랭이, 명아주, 별꽃, 12kg/10a 파종에서는 명아주, 바랭이, 새포아풀 순위였다. 이상의 시험결과를 볼 때, 제주지역에서의 Creeping bent-grass의 적정 파종량은 10kg/10a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형기. 1991. 잔디학. 선진문화사 pp. 372-373
  2. 이혜원, 정대영, 심상렬. 2003. 크리핑 벤트그라스 품종의 생육특성. 한국잔디학회지 17(2 . 3):87-97
  3. 조남기, 강영길, 송창길, 고영순, 조영일. 2001a. 제주지역에서 파종량 차이에 따른 청예피의 사료수량 및 조성분변화. 한국초지학회지 21(4): 225-232
  4. 조남기, 고동환. 2003. 제주조의 파종량 차이에 따른 생육반응, 수량성 및 사료가치 변화. 한국초지학회지 23(4):271-276 https://doi.org/10.5333/KGFS.2003.23.4.271
  5. 조남기, 송창길, 송승운, 조영일, 오은경. 2001b. 제주지역에서 파종량 차이에 따른 귀리의 생육 특성, 사초수량 및 조성분변화. 동물자원지 43(4): 561-568
  6. 최준수, 양근모, 김동섭. 2001. 한국잔디의 종자 및 영양체를 이용한 carpet 잔디 생산. 한국잔디학회지 15(2):39-50
  7. 안용태, 김성태, 김인섭, 김진원, 김호준, 심상렬, 양승원, 이정재, 함선규. 1992. 골프장 관리의 기본과 실제. 유화문화사. pp. 614-616
  8. 성규열, 김호준, 함선규, 최춘수, 심상렬. 1998. 잔디구장 조성과 관리. 동원사 p. 121
  9. Holt, E.C. and K.P. Payne. 1952. Variation in spreading rate and growth characteristies of creeping bentgrass seedings. Agron. J. 44(3):88-90 https://doi.org/10.2134/agronj1952.00021962004400020008x
  10. Parks, O.C., and P.R. Henderlong. 1967. Germination and seeding growth rate of ten common turfgrass, Proceeding of the West Virginia Academy of Science. 39: 132-140
  11. Schadlich, F. 1986. Effect of sowing date and rate camposan on culm stability of winter rye. Field Crop Abs. 39(11):955
  12. Turng, B.C., and S.K. Yoshida 1985. Influence of Planting Density on the Nitrogen and Grain Productive on Mungbean. Japan. J. Crop. Sci. 54(3):266-272 https://doi.org/10.1626/jcs.54.2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