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새송이버섯

검색결과 113건 처리시간 0.026초

새송이버섯(Pleurotus eryngii) 부위별 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Ethanol Extracts from Each Part of the Pleurotus eryngii)

  • 안명수;김현정;서미숙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97-302
    • /
    • 2006
  • 본 연구결과 동결건조한 새송이 버섯 분말의 수분함량은 9.0%였고 당질이 63.06%로 가장 높았으며 조단백질 20.70%, 조회분 5.20% 및 조지방 2.0%의 순이었다. 새송이버섯은 높은 당질 중 대부분이 열량을 내지 않는 식이섬유질이 50% 이상으로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므로 저열량, 고식이섬유질 식품으로 건강에 유익한 기능성 식품으로 각광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새송이버섯 분말의 무기질은 Ca, Cu, Fe, Mn, Mg, Na, K, Zn등 8종의 무기질을 확인하였는데 모든 부위에서 K이 가장 함량이 높았으며 그다음으로는 Mg이 모든 부위에시 700.00 mg/kg으로 함량이 높았다. 기둥의 Mn 함량이 무기질 중 가장 함량이 낮았다. 또한 새송이버섯 분말의 총당은 30410.0 mg%로 매우 높았으며 환원당은 873.5 mg%를 나타냈으며 유리당 중 Fructose의 함량이 1671 mg%으로 가장 높았으며 maltose 함량이 가장 낮았다. 새송이버섯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갓, 전체, 기둥 에탄올 추출물이 91.12%, 79.68%, 62.90%의 순이었으며 이는 총 폴리페놀 함량과 같은 경향을 보여주었고, 0.02% ${\alpha}-tocopherol$과 BHT의 경우 93.92%, 95.72%로 활성이 매우 높았지만 갓 추출물의 경우 91.12%로 새송이버섯의 항산화효과를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분리 정제된 SF를 ${\alpha}-tocopherol$과 BHT와 같은 농도인 0.02%와 0.05%, 0.1%로 추출물의 농도를 조절하여 전자공여능을 측정한 결과 0.02%에서는 57.78%, 0.05%에서는64.20% 및 0.1%에서는 77.33%의 활성을 보였으며 대조군인 ${\alpha}-tocopherol$과 BHT와 비교하면 ${\alpha}-tocopherol$은 93.92%, BHT는 96.72%로 SF 0.02%와는 차이가 컸지만 다른 버섯추출물들과 비교하면 결코 낮은 값이 아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새송이버섯은 식이섬유질과 무기질 함량이 풍부하면서 저열량 식품이며 총 폴리페놀 함량과 전자공여능 활성이 높아 항산화효과가 우수한 식품으로 기능성 식품 및 산업 소재로서의 활용도가 매우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버섯폐배지의 발생량 조사 및 새송이, 느타리, 팽이 버섯 폐배지의 버섯종류별과 재배방식별의 물리화학적 특성 평가 (Yield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pent Mushroom (Pleurotus ryngii, Pleurotus osteratus and Ammulina velutipes) Substrates According to Mushroom Species and Cultivation Types)

  • 김영일;배지선;정세형;안문환;곽완섭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1호
    • /
    • pp.79-88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폐배지의 동물 사료로의 효율적 이용을 위하여 국내에서 발생되는 폐배지의 최소한의 발생량을 버섯종류와 버섯재배 방식에 따라 산출하고, 느타리, 새송이, 팽이 버섯폐배지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버섯종류별과 재배방식별로 평가하고자 실시하였다. 2004년도 우리나라 폐배지 총 발생량은 1,670,182M/T이었다. 사료로의 이용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새송이버섯, 팽이버섯, 느타리버섯 폐배지는 전체 발생량의 58.2%인 972,141 M/T이 발생되었으며, 이중 재배방식별로는 병재배에 의해 67%, 균상재배에 의해 20%, 봉지재배에 의해 13%가 발생되었으며, 버섯 종류별로는 느타리버섯 폐배지가 46%, 팽이버섯 폐배지가 32%, 새송이버섯 폐배지가 22% 발생되었다. 버섯 재배방식별 폐배지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있어서 균상재배 폐배지는 병재배와 봉지재배 폐배지 보다 NDF 함량(65.2%)이 낮고, NFC 함량(12.7%)이 높은 특징이 있어서(P<0.05), 사료적 가치가 상대적으로 높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폐배지의 화학적 성분 변이도는 병 또는 봉지재배 방식보다 균상재배 방식에서 높은 편이었으며, 전반적으로 섬유소(NDF) 함량의 변이도는 예상보다 낮은 편이었다. 결과적으로 폐배지를 동물 사료로 이용 시 버섯종류에 따라 분류하는 것보다는 재배방식에 따라 분류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였으며, 사료영양적 측면에서 가치가 높은 균상재배 폐배지의 우선적 이용이 권장된다.

감귤 주스 착즙박을 이용하여 재배된 버섯균사체의 성분 (Major Components of Mushroom Mycelia Cultivated with Citrus Juice Processing Wastes)

  • 이창환;양민호;박승림;강영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28-132
    • /
    • 2007
  • 감귤 착즙박을 주 성분으로 하는 버섯배양배지를 만들고 간, 표고, 새송이, 산호침, 참부채 및 영지 버섯 균을 접종하여 균사체 제품을 만들었다. 만들어진 균사체는 착즙박에 비하여 대체적으로 조회분은 증가하였으나, 총산, 환원당, 조단백질 및 조지방은 착즙박과 함량이 비슷하거나 일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대부분의 버섯균사체 중 유기산의 함량은 착즙박의 함량과 비슷하거나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새송이 버섯에서는 착즙박의 2.7배 이상 유기산의 함량이 증가하였다. 버섯균사체 중 fructose는 9.20-11.06%로서 착즙박보다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새송이 버섯에서는 2.65%로서 함량이 매우 감소하였으며, glucose의 경우는 모든 버섯 균사체에서 그 함량이 착즙박보다 매우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산호침 버섯 및 참부채 버섯에서 감소하는 현상이 더욱 심하였다. 버섯균사체 중 sucrose는 착즙박의 함량보다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간버섯과 새송이 버섯에서 감소현상이 심하였다. 버섯균사체의 narirutin 함량은 448.67-932.98 mg%로서 대부분 착즙박에 비하여 비슷하거나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hesperidin의 함량은 3,019.94-4,980.94 mg%로서 간버섯을 제외하면 착즙박보다 17.81-52.61%증가하여 농축되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버섯균사체 중 TDF 함량은 38.87-51.49%, NDF 함량은 11.94-17.67%, ADF함량은 11.00-14.09%로서 대부분 착즙박의 함량과 비슷하거나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다. 버섯균사체의 ${\beta}-glucan$ 함량은 9.43-13.69%로서 착즙박과 비슷하거나 조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총 polyphenol은 모든 버섯 균사체에서 8.01-20.28 mg%로서 그 함량이 비슷하거나 대부분 감소하였다. 버섯균사체의 EDA 및 NSA는 새송이 버섯 균사체를 제외한 모든 버섯 균사체에서 착즙박보다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큰느타리(King Oyster Mushroom) 재배시스템을 활용한 녹각영지버섯(Ganoderma lucidum) 적정 재배온도 (Appropriate temperature of antler-shaped Ganoderma lucidum using King Oyster Mushroom Cultivation System)

  • 조우식;김민경;황재순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83-185
    • /
    • 2022
  • 여름철 버섯소비 부진으로 일부 농가에서는 여름철에 생산을 중단하는 등, 고소득 버섯작목 복합영농의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녹각영지버섯을 새송이버섯 재배사를 이용하여 생산 가능 여부를 확인하고자 시험을 실시하였다. 배지재료로 사용한 참나무톱밥과 미강의 화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T-N은 주재료인 참나무톱밥이 0.28%, 영양원인 미강이 2.2%로 나타났으며, pH는 참나무톱밥 6.0, 미강 6.6로 주재료인 참나무톱밥은 약산성을 나타내었고, 영양원인 미강은 중성을 나타내었다. 녹각영지버섯 자실체 수량특성을 조사한 결과, 초발이 소요일수는 25℃ 5~6일, 30℃ 3~5일이었으며, 대의 길이는 25℃에서 57.5 mm, 30℃에서 92.2 mm였고, 생체중은 25℃에서 43g, 30℃에서 50 g으로 30℃에서 우수하였다. 본 시험을 통하여 하절기에 새송이버섯 재배사를 녹각영지버섯 재배에 활용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글루탐산나트륨 첨가배지에서 재배된 새송이버섯의 특성 및 생리활성 연구 (Characteristics and Biological Properties of Pleurotus eryngii grown on Monosodium Glutamate-enriched Media)

  • 윤동연;박기문;이재흥
    • KSBB Journal
    • /
    • 제25권3호
    • /
    • pp.277-282
    • /
    • 2010
  • 새송이 버섯 (Pleurotus eryngii) 재배배지에 글루탐산나트륨 (monosodium glutamate, MSG)을 혼합 첨가하여 재배한 자실체의 아미노산 및 $\gamma$-aminobutyric acid (GABA)함량 변화, 그리고 항산화 작용 등의 생리활성을 분석하여 새송이버섯의 기능성 향상 가능 여부를 조사하였다. 실험결과 MSG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arginine, glutamic acid, alanine, glycine 등 아미노산은 함량이 증가되었으며 histidine, serine, methionine, isoleucine, leucine, phenylalanine 등은 함량 변화는 거의 없었다. 한편 MSG 첨가량을 증가시킴에 따라 자실체의 GABA함량은 전체적으로 증가되었으며 MSG 6 g/bottle 첨가군에서 자실체내에 가장 높은 GABA함량 (1.18 mg/g)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배지에 MSG첨가량을 증가시킴에 따라 자실체 추출물의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소거능 및 아질산염 소거능 (nitrite scavenging activity)도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새송이버섯을 재배할 때 배지에 소량의 저렴한 MSG (~US $1/kg)를 첨가하면 아미노산 조성 및 항산화 작용 등 생리활성이 개선되는 고 기능성 새송이버섯 식품소재가 개발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LED광의 파장을 달리하여 재배한 새송이버섯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Pleurotus eryngii Cultivated with Different Wavelength of LED Lights)

  • 김도희;최혜진;조우식;문광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54-360
    • /
    • 2012
  • 새송이 버섯 재배에 효과적인 LED 광질을 구명하기 위하여, 청색광(450 nm), 적색광(650 nm), 녹색광(525 nm), UV-A(365 nm) 및 혼합광(청$^*$적, 청$^*$녹, 적$^*$녹, 청$^*$$^*$$^*$UV-A)의 LED광을 이용하여 재배한 새송이버섯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으며, 대조구의 광원으로는 관행재배에 이용되고 있는 형광등을 사용하였다. LED의 파장이 길어질수록 총 길이가 길어지는 경향이었으며, 중량 또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섬유소, 단백질 및 무기질의 함량은 높고, 조지방의 함량은 매우 낮았으며, LED광을 이용하여 재배한 모든 구에서 조섬유 함량의 증가가 나타났다. 경도를 측정한 결과, 갓은 전반적으로 대조구와 유사한 조직감을 나타내었고, 자루는 적색광, 녹색광, 적 녹 혼합광 및 UV-A의 조건 하에서 재배한 새송이버섯이 유의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적색광, 녹색광 및 적 녹 혼합광 처리구의 갓이 밝은 계통의 색으로 대조구의 갓 색과 유사하였고, 자루의 길이 역시 대조구와 비슷한 수준으로 생장하였다. 밝은 계통의 갓을 가진 구는 자루도 밝은 경향이었으며, 자루의 색도 측정 결과도 갓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다. 관능평가 결과 외관이 대조구와 흡사할수록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그 중 적색광 처리구가 선호경향이 가장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UV-A 및 청색광을 포함한 나머지 처리구는 어두운 계통의 갓으로 표고버섯 수준의 색을 띄었으며, 신장이 억제되어 짧은 자루를 가진 새송이버섯이 재배되었다. 또한, 이상의 결과로 광질은 새송이버섯의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새송이버섯 재배에 LED 기술을 접목시킬 때에는 적색광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주요 식용버섯 추출물의 생리활성 효과 (Phys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 from Edible Mushrooms)

  • 최세진;이연실;김진경;김진규;임순성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8호
    • /
    • pp.1087-1096
    • /
    • 2010
  • 본 연구는 예로부터 식용 및 약용으로 널리 이용되어지는 버섯의 기능성 소재로서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버섯 추출물의 유효성분 함량(polyphenol, $\beta$-glucan)과 저분자 및 고분자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 혈전용해 활성, 면역증강 및 항염증 활성 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전체 수율은 식용버섯이 약용버섯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beta$-glucan의 함량은 표고버섯(33.5%)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Polyphenol 함량은 약용버섯인 상황버섯(LMW)이 233.23 mg/g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애느타리버섯(LMW) 12.18 mg/g, 송이버섯(LMW) 11.72 mg/g 순으로 확인되었다. 버섯 추출물의 항산화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전자공여능 측정 결과는 ascorbic acid 0.5 mg/mL에서 95.91%의 저해율을 나타낸 것에 비하여 상황버섯(LMW, 10 mg/mL)이 80.74%의 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SOD 유사활성 측정에서는 대부분의 버섯 추출물에서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아질산염 소거능 측정에서는 pH의 감소에 따라 소거능이 증가하였고, 상황버섯(LMW)이 가장 높은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이처럼 버섯 추출물의 항산화능력 측정에서 phenol성 물질을 많이 함유하고 약용버섯으로 사용되는 상황버섯이 식용버섯(송이버섯, 새송이버섯, 양송이버섯, 느타리버섯, 애느타리버섯, 표고버섯, 팽이버섯) 보다 LMW 분획에서 우수한 항산화 능력을 갖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혈전용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에서 대부분의 LMW 분획물들은 혈전용해 활성을 갖지 않았으며, 송이 버섯(HMW, 50 mg/mL)이 60.4%의 가장 높은 혈전용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RAW 264.7 cell을 이용한 대식세포 활성능(NO 생성)을 측정한 결과 LMW 분획에서는 대식세포 활성능력이 거의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대조군인 LPS 500 ng/mL를 첨가한 상태에서 $32.9\;{\mu}M$의 NO를 생성하는 것과 비교하여, 표고버섯(HMW, $500\;{\mu}g/mL$) $39.86\;{\mu}M$, 송이버섯 $35.17\;{\mu}M$의 NO 생성능을 나타내었다. 또한 약용버섯인 상황버섯(HMW)은 NO 생성능력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에 RAW 264.7 cell로부터 LPS에 의해 유도된 NO 생성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상황버섯(LMW) $500\;{\mu}g/mL$의 농도에서 NO의 생성을 100% 저해하였고, 새송이버섯(LMW)은 $50\;{\mu}g/mL$에서 58.14%, $500\;{\mu}g/mL$에서 67.79%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phenol 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상황버섯(LMW)은 일반적인 식용버섯에 비해 항산화능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으며, 혈전용해능력(송이버섯, I)과 면역증강(표고버섯, VII) 그리고 항염증(새송이버섯, II)에서는 식용버섯의 HMW 분획물이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