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상담학과

검색결과 594건 처리시간 0.024초

기독교교육상담학과와 교육상담학과의 교육과정 분석 및 연구 (An Analysis and Study on the Curriculum of the Christian Education Counseling Department and the Education Counseling Department)

  • 박미라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62권
    • /
    • pp.135-160
    • /
    • 2020
  • 본 연구는 기독교교육상담학과와 교육상담학과의 교육과정을 면밀하게 분석하여 기독교교육상담학과와 일반교육상담학과의 교육과정에 관한 현황과 문제점을 찾아 논의하고 기독교교육상담학과의 균형 잡힌 교육과정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기독교교육상담학과와 일반교육상담학과의 교육목표, 교과목, 상담실습 등의 교육운영과정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기독교교육상담학과와 일반교육상담학과는 융합전공 학과의 특징을 가지고 기독교교육, 청소년, 아동·청소년, 평생교육 등의 학과와 교육상담학과가 합쳐진 경우가 많아 그에 대한 학과기초 과목들이 상담교과목들 보다는 교과목에서 높은 비율을 차지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독교교육상담학과와 일반교육상담학과의 실습관련 교과목을 비교하였는데 분석된 결과에 의하면, 두 학과 모두 개설된 실습관련 교과목수가 상당히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개설된 상담학 교과목에서 상담자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개인분석, 교육분석, 상담윤리, 상담사례 슈퍼비전의 교과목들은 아직도 부족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상담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임상시스템의 체계화와 상담자교육을 위한 다양한 상담분석 및 슈퍼비전의 교과목들의 확대가 시급한 실정으로 평가된다. 사회가 복잡해짐에 따라 상담의 요구와 상담전문가의 필요가 높아지는 현대사회에서, 한국의 대학들이 상담자 양성을 위한 표준화 된 지표를 중심으로 상담교육의 모델을 개발할 것을 제안한다.

오프라인대학교와 사이버대학교의 상담학과 관련 커리큘럼 현황 분석 (Offline University and Cyber University Analysis of the Current State of the Curriculum Related to the Department of Counseling)

  • 윤석주
    • 산업진흥연구
    • /
    • 제7권3호
    • /
    • pp.93-102
    • /
    • 2022
  • 본 연구는 오프라인대학 35개와 사이버대학 20개의 상담 관련 학과 커리큘럼을 분석하여 개선점과 발전방향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교육과정은 교육목표, 개설 과목, 실습, 운영과정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상담' 용어를 사용하는 학과의 교육목표에서 '전문상담인, 심리전문가, 전문상담자'의 용어가 가장 높은 빈도로 사용되고 있었다. 교과목에서는 상담학 기초영역은 1학년, 상담이론과 기법 영역은 2학년, 심리평가 3학년, 통계 및 연구 2학년, 상담실습 4학년에서 가장 많이 개설되어 있었다. 실습기초는 상담이론과 실제, 상담과정과 면담기법은 저학년에서 운영되고 있으며, 상담실습, 수퍼비전, 상담실습 및 사례연구, 국내외 인턴십은 4학년에서 대부분 운영되고 있었다. 이상을 토대로 오프라인대학과 온라인대학 '상담' 용어를 사용하는 학과의 커리큘럼의 개선점 및 발전방향을 논의하겠다.

마음챙김 기반 MBSR 프로그램이 상담자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상담자의 자기돌봄과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 정주산;변상해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2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35-138
    • /
    • 2023
  • 2000년대 들어 상담에 대한 관심과 상담 수요가 크게 늘어가고 있는 상황에서 상대적으로 직무 특성상 상담자들 또한 심리적인 어려움들을 느끼면서 상담자 스스로 자신의 정신 건강 및 유지를 위한 자기돌봄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상담자는 많은 시간을 내담자와의 직접적인 대면을 통해서 내담자의 다양한 문제에 대한 해결과 도움을 제공해 줌에 있어 지속적인 치료 과정을 함께한다. 상담자는 내담자와의 상황 대면을 통한 치료 과정을 함께하면서 치료의 긍정적인 면을 접하기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지속적인 스트레스로 인해 심리적 소진과 다양한 정서적 피로도를 경험하게 된다. 이에 다양한 심리적·정서적 소진과 피로도에 대해 적절하고 유연하게 대처하기 위해서는 상담자 스스로 자신을 보호할 수 있는 자기돌봄이 필요하며, 상담자 자신이 어떠한 상황에서도 긍정적인 마음을 유지 할 수 있는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마음 챙김에 기반한 MBSR 프로그램이 다양한 상담 현장에서 심리적 소진을 겪고 있는 상담자들의 심리적 안녕감, 특히 상담자의 자기돌봄 및 자기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실제 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상담경력 1년에서 5년 미만의 상담자 40명을 대상으로 주 1회기, 회기 당 2시간의 총 12주간의 MBSR 프로그램을 통한 상담자의 자기돌봄 및 효능감의 변화가 상담자의 심리적 안녕감에 긍정적 요인으로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여 실제 상담 현장에서의 상담자들이 겪고 있는 심리적 소진의 완화를 통한 안정적인 상담 현장이 조성될 수 있도록 기여하고자 한다.

  • PDF

디지털가면을 활용한 화상상담에 대한 상담자들의 상담 경험 연구 (A Study on the Counseling Experience of Counselors on Video Counseling with Digital Mask)

  • 조은숙;장은희;오윤석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67-77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가면을 화상상담에 활용한 가면화상상담을 진행한 상담자들의 경험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총 10사례에 대한 가면화상상담을 경험한 4명의 상담사와의 초점집단면접 자료가 주제분석방법을 활용하여 분석되었다. 상담사들은 가면화상상담에 대한 우려가 있었으나 점차 적응해나갔으며 편안함과 재미를 느꼈다. 그러나 화상상담에서보다 더 큰 피로와 부담감을 느껴 가면화상상담을 위한 추가적인 교육훈련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또한 내담자들의 신속한 자기개방과 상담과정을 관찰하면서 디지털가면이 상담매체로 활용될 가능성을 긍정적으로 전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기초하여 우리는 온라인 상담매체 활용을 위한 상담자 지원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노후설계상담사의 상담교육 참여와 실제 상담경험 (Experiences of Training and Counselling of Life Planning Counselor for the Later Life)

  • 김미혜;정명희;정순둘;권금주;윤희수
    • 한국노년학
    • /
    • 제36권4호
    • /
    • pp.937-957
    • /
    • 2016
  • 본 연구는 현장에서 노후설계상담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상담사들을 대상으로 상담교육 참여에서부터 실제 상담에 이르기까지의 상담사들의 경험에 대한 이해를 하고자 하며, 도출된 결과를 통해 노후설계상담사 양성을 위한 교육과 상담에 대한 함의를 찾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목적을 위해 노후설계상담사 교육과정을 이수하고 자격증을 취득하여 실제 현장에서 노후설계상담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12명의 상담사를 대상으로 상담교육 참여부터 실제 상담경험에 대해 FGI(포커스집단면접: Focus Group Interview)를 통한 질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질적 연구방법에 따라 의미를 분석하고 그 개념을 구조화함으로써 이들의 경험의 의미를 심층적으로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총 50개의 개념과 15개의 하위범주, 그리고 4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분석결과는 도출된 4개의 범주, 즉 (1) 노후설계상담사 교육참여 동기, (2) 노후설계상담 교육참여 경험, (3) 노후설계상담사 실제 상담경험, (4) 노후설계상담사 역량강화 방안을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아직까지 노후설계상담 업무의 수행체계 및 전문인력, 관련 제도가 정착되었다고 보기 어려운 현 실정에서 앞으로 노후설계상담사의 교육과정과 상담업무는 물론 역량강화를 위한 실천적 정책적인 제언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는 본 연구의 제한점과 의의, 그리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안점을 논의하였다.

카카오톡 오픈빌더 기반의 상담 챗봇 설계 및 구현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ounseling Chatbot Based on Kakaotalk Open Builder)

  • 김명수;이승환;장훈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0년도 제61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8권1호
    • /
    • pp.185-186
    • /
    • 2020
  • 최근 제품을 주문하거나 상품을 조회하는 등의 간단한 상담을 챗봇을 이용하여 자동화하는 온라인 쇼핑몰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는 고객을 상담하는 상담원의 업무를 줄여줄 뿐 아니라 고객 상담을 즉각적이고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입장에서 챗봇은 처음 이용하는 사람도 사용하기가 쉽고, 상담원과의 연결까지 기다리지 않고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에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고, 기업 측면에서는 인건비가 감소되고 고객관리가 용이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챗봇은 주어진 질문에만 대답할 수 있고, 처음 메뉴를 파악하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카카오톡 오픈빌더를 사용하여 질문의도를 파악하는 intent와 entity를 추출한 뒤 딥러닝을 통해 체계적으로 학습을 진행한다. 이를 통해 주어지지 않은 질문들을 파악한다. 또한, 오픈빌더의 시나리오 선택 기능을 활용하여 초기에 선택할 수 있는 메뉴를 파악하기 쉽도록 구현하였다. 사용자는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챗봇을 통해 사용자는 상담에 필요한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상담 시 거울 환경이 내담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irroring Environment on the Attitude of Client in Counselling)

  • 김미소;서선영;이은솔;전나현;조아해;김은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6호
    • /
    • pp.427-431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상담 시 거울 환경이 내담자의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20대 남녀 32명을 대상으로 실험군 16명, 대조군 16명을 거울 환경의 유무에 따라 상담을 진행하고 진실성 척도와 의미변별척도를 사용하여 거울 환경이 중재된 실험군과 중재하지 않은 대조군 사이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거울 환경을 제공한 실험군에서 진실성 척도의 '자기-소외' 요소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실험군과 대조군에서 상담 환경을 어떻게 느끼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의미변별척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는 거울 환경의 유무가 내담자의 진실성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로 진실성 척도의 요인 중 일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상담과 인성교육을 위한 웹기반 청소년상담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A Study on Tools for Juvenile Counseling and Moral Education Web-based System Development)

  • 민정원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613-616
    • /
    • 2007
  • 기존의 웹 기반 상담 시스템은 상담 설문을 제작 시 매번 웹마스터에게 설문 문항을 등록하도록 요구하여, 즉각적인 상담 설문 제작에 있어 어려움이 많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동적인 상담 문항 게시 기능과 누적된 학생들의 상담 결과를 분석할 수 있는 웹기반 청소년 상담 시스템을 설계하고 이를 실제로 구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실존주의적 교육이론에 기반하여 교육 주체간의 인격적 만남에 기반하여 함께 청소년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소통의 장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 PDF

대학생 내담자를 대상으로 한 상담 작업동맹과 회기 평가 및 내담자 경험 비교 연구 - 전화, 화상 및 디지털가면 화상상담과 대면상담 비교 - (A comparison of working alliance, session evaluation and participants' experience of university student clients by counseling media -Comparison of face-to-face, phone, video, and video with digital mask counseling-)

  • 조은숙;오윤석;장은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49-58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전화, 화상, 디지털가면을 활용한 화상상담 등 3가지 온라인상담 방식과 대면상담이 회기별 깊이 및 순조로움, 작업동맹, 그리고 사후만족도에서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하였고 사후 면접을 통해 내담 경험에 대한 질적 자료를 수집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실험에 참여한 40명의 대학생들은 4집단으로 나뉘어져 각 3회기씩의 상담을 받았고 매회기 직후, 혹은 상담 종료 후 설문 혹은 면접조사가 진행되었다. 분석 결과, 회기의 '깊이'에 대한 평가는 4집단에서 유사하게 나타났으나, 전화와 가면화상상담에서는 대면상담에 비해 1, 2회기에 '순조로움'을 더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온라인상담에서 익명성이 보장될 때 내담자의 사회적 불안을 감소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매회기 작업동맹 수준과 상담만족도는 4가지 상담방식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후면접자료를 통해 각 집단 참여자들의 미묘한 경험 차이들이 파악되었다. 본 연구는 향후 다양한 온라인상담 방식을 개발하고 실행해 나가는데 기본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장애인부모 동료상담사의 현장상담 활동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Parents Peer Counselor's for the Disabled Experiences in Field Counseling)

  • 최하나;정종화;김은재
    • 재활복지
    • /
    • 제22권2호
    • /
    • pp.127-159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상담현장의 장애인부모동료상담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제도개선 방안 및 시스템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기 위하여 장애인부모 동료상담사들의 현장상담경험을 Yin (2009)의 질적 사례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장애인부모 동료상담사 10명을 대상으로 FGI와 개별심층면담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했다. 연구결과, 총 87개의 압축개념, 17개의 핵심범주를 도출하였는데 장애인부모동료상담 참여 동기 및 상담효과는 "동병상련의 마음으로 두드림", "조명 받지 못하던 존재에서 희망을 주는 존재로의 전환", "장애인부모들이 만드는 또 다른 사회보험이자 사회안전망" 등으로 나타났다. 장애인부모동료상담활성화 장애요인은 "상담현장의 입지확보 및 위상정립의 문제", "홍보부족으로 인지도가 낮아 내담자 발굴이 어려움" 등으로 나타났으며, 장애인부모동료상담 활성화를 위한 전략은 "현장의 입지확보와 전문가로써의 위상 재정립", "정부의 정책적인 보완과 지원이 필요함", "정규직 전환으로 일자리 창출을 기대함"이 제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