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삽입재 보강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24초

FRP-콘크리트 경계면 삽입플레이트 활용을 통한 휨 보강 철근콘크리트 보의 성능개선 (The Performance Improvement of Strengthened RC Beams Using an Inserted Plate)

  • 안미경;이상문;정우영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10년도 춘계 학술대회 제22권1호
    • /
    • pp.73-74
    • /
    • 2010
  • 콘크리트 보의 휨 보강을 위한 FRP 플레이트가 콘크리트 하면에 직접 부착될 경우 콘크리트-FRP 부착경계면에서 대부분 콘크리트 박리파괴에 의한 최종파괴가 주로 발생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콘크리트 박리에 의한 취성파괴를 지연시켜 부착 보강재의 수명을 보다 더 연장시키기 위하여 콘크리트와 보강재 접착경계면 사이에 얇은 두께의 중간 삽입재(알루미늄, 티타늄)를 앵커와 에폭시로 부착, 기존의 FRP 플레이트 보강방법 보다 개선된 휨 성능 보강방법에 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알루미늄과 재료적 성능이 우수한 티타늄을 중간삽입제로 이용, 콘크리트와 보강재 사이의 부착하였으며 이들의 활용에 따른 휨 연성 개선과 콘크리트 박리파괴 지연에 대한 효과를 측정하였다.

  • PDF

보강된 픽커터의 커터작용력과 마모손상분석을 통한 현장적용성 검토 (Field Applicability of Coated Conical Pickcutters through Cutter Force and Wear Damage Analysis)

  • 최순욱;장수호;이철호;강태호;정호영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34권5호
    • /
    • pp.554-570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삽입재 주변부 보강이 픽커터의 마모손상에 주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현장시험을 수행하였다. 현장시험 수행에 앞서 보강 픽커터와 무보강 픽커터에 대한 선형절삭시험을 통해 픽커터의 보강이 커터작용력에 주는 영향을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기반으로 로드헤더의 용량검토를 수행하였다. 커터 작용력 분석 결과, 평균 연직력과 절삭력은 보강여부에 상관없이 유사했으나, 최대 연직력과 절삭력은 보강여부에 따라 표준편차가 크게 나타났다. 토크 검토에서 평균 절삭력을 사용할 경우는 관입깊이 6 mm 이하, 최대절삭력을 사용할 경우는 4 mm 이하가 적합한 것으로 산정되었다. 마모손상 분석에서는 각 픽커터의 사용개수, 삽입재가 유지되는 개수, 편마모 발생 개수, 사용 전과 후의 중량 차이에서 중량 손실을 제외하면 보강된 픽커터가 보강되지 않은 픽커터에 비해 16%에서 최대 28%까지 향상된 성능을 보여주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픽커터의 보강이 픽커터의 내구성 향상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픽커터의 보강은 무보강에 비해 재료비와 추가 공정에 의해 비용이 높으므로 성능 향상에 의한 효과와 비용문제를 고려하여 선정할 필요가 있다.

유리섬유 조합에 따른 보강 집성재 볼트접합부의 전단강도 특성 (Shear Strength of Reinforced Glulam-bolt Connection by Glass Fiber Combination)

  • 김건호;송요진;홍순일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1권1호
    • /
    • pp.51-57
    • /
    • 2013
  • 직물형 유리섬유 조합에 따른 보강 집성재의 볼트 접합부 전단 성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인장형 전단시험을 실시하였다. 보강재는 직물형 유리섬유로서 유리섬유 배열 형태는 평직형과 능직형을 사용하였다. 보강 집성재는 5층으로 직물형 유리섬유의 삽입 위치와 조합 형태를 달리하여 층재 사이에 삽입 적층시켜 제작하였다. 인장형 전단 시험편은 강판 삽입형로서 끝면거리 7D에 직경 12, 16 mm의 볼트로 접합하였다. 체적비 1% 직물형 유리섬유 보강 집성재의 경우 12 mm 볼트 접합부의 항복 전단내력은 집성재 외층부보다 내층부를 보강한 시험편에서 10% 큰 값을 나타내었다. 체적비 2% 직물형 유리섬유 보강 집성재의 항복 전단내력은 12 mm 볼트 접합부의 경우 각층재 사이에 삽입 적층시킨 시험편이 보강하지 않은 접합부보다 약 22% 향상되었으며, 16 mm 볼트 접합부의 항복 전단내력은 약 20% 향상되었다.

화강풍화토의 지오그리드보강 특성연구 (Geogrid Reinforced Decomposed Granite Soil)

  • 주재우;박종범;김병욱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7권4호
    • /
    • pp.173-182
    • /
    • 2001
  • 보강토공법이란 다양한 보강재를 흙속에 삽입하여 흙이 갖지 못하는 인장력을 보충함으로써 구조물을 안정화시키는 공법이다. 그리고 기존공법에 비해 경제적 구조물로 인식되고 있으며 또한 최근들어 전세계적으로 빈발하는 지진에도 그 저항력이 아주 큰 구조물임이 입증이 되어 현재 토목분야에서 각광을 받고 있는 공법이다. 보강토옹벽의 뒤채움재료로서 현재 우리나라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화강풍화토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설계에 필요로 하는 이에 대한 데이터는 그리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어디서나 쉽게 구할 수 있는 화강풍화토를 채취하여 대형 인발시험을 실시하였다. 인발시 흙과 보강재 사이의 상호거동을 파악하기 위하여 인발변위, 인발력, 삽입보강재의 각 지점에서의 절점변위 등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구속응력의 영향을 검토하기 위해서 이들 응력을 0.2, 0.5, 1.0kg/$\textrm{cm}^2$으로 변화시켜 실험을 행하였다. 그리고, 다짐률이 이들 상호거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다짐률을 65%, 80%m 95% 등으로 시료를 제작하여 서로 비교를 행하였다. 실험결과로부터 화강풍화토의 보강재와의 상호거동특성을 파악하여 제시하였다. 특히 다짐률은 상호거동특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으며, 화강토의 경우, 꽤 큰 점착특성이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요철핀으로 보강된 복합재 모자형 체결부 구조의 강도 연구 (Pull-off Strength of Jagged Pin-reinforced Composite Hat Joints)

  • 곽병수;김동관;권진회
    • Composites Research
    • /
    • 제31권6호
    • /
    • pp.323-331
    • /
    • 2018
  • 스테인리스 강으로 제작된 요철핀의 보강이 복합재 모자형 체결부의 풀오프 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시험으로 연구하였다. 요철핀에는 물리적, 화학적 표면처리를 수행하였고, 체결부의 외피와 보강재가 만나는 영역에 두께방향으로 핀을 삽입하였다. 모자형 체결부 시편은 요철핀을 포함하여 일체성형으로 제작하였다. 사용된 요철핀의 지름은 0.3, 0.5, 0.7 mm로 세 가지이다. 핀의 삽입밀도는 외피와 보강재가 만나는 면적 기준으로 0.5, 2.0% 두 가지이다. 요철핀과 일반핀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0.3 mm 일반핀을 2.0% 밀도로 삽입한 시편을 추가로 제작하여 시험을 수행하였다. 0.3, 0.5, 0.7 mm의 요철핀을 0.5%의 밀도로 삽입한 시편의 강도는 보강되지 않은 시편 대비 각각 45, 19, 9% 높게 나타났고, 2.0% 밀도의 경우 강도는 각각 127, 45, 11% 높게 나타났다. 시험 결과 지름이 동일할 경우 밀도가 높을수록, 밀도가 동일할 경우 지름이 작을수록 보강효과가 더 높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요철핀과 일반핀의 효과를 비교한 결과 2.0% 밀도로 0.3 mm 직경의 핀을 이용하여 보강할 경우, 요철핀 보강시편이 일반핀 보강 시편보다 64% 높은 강도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요철핀 보강이 복합재 모자형 체결부의 풀오프 강도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탄소섬유판 삽입공법으로 보강된 목재보 휨강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lexural Capacity of Reinforced Timber Beams with the Inserting Method of CFRP Plates)

  • 권기혁;유혜란;이진혁;최민석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8권1호
    • /
    • pp.1-7
    • /
    • 2008
  • 문화재의 보수 보강은 모재 및 외형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부재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어야 한다. 목조 문화재에서 보부재에 대한 기존의 여러 보강법 중 CFRP 삽입공법은 모재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원목재의 강도를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어 향후 근대건축물의 보수보강 공사에 적용성이 높은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근대건축물의 지붕구조체를 보존하기 위한 보부재의 보강방법 중 부재의 외연적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탄소판 삽입공법을 목재보에 적용하여 보강효과와 파괴 성상 등을 실험을 통해 조사, 분석하고 이 보강법의 실제 적용을 위해 보의 휨응력 산정을 위한 기초적 자료를 제시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CFRP의 배열형태와 보강량을 주요변수로 하였으며, $0.3{\sim}0.7%$의 CFRP보강량을 사용하였을 경우 원목재의 강도에 비해 최대 173%까지 보강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옹이 등 모재의 특성에 의하여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향후 이 공법의 적용성을 높이기 위해 목재에 대한 기초적 연구들이 활성화되어야 할 것이며, 목재의 비파괴 실험에 관한 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철근콘크리트 보의 성능개선을 위한 Hybrid FRP 보강재 연구 (Studying on the Hybrid FRP Stiffener for the Performance Improvement of Strengthened RC Beam)

  • 안미경;이상문;정우영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10년도 춘계 학술대회 제22권1호
    • /
    • pp.243-244
    • /
    • 2010
  • 철근콘크리트 보의 휨 보강을 위하여 활용되는 재료는 매우 다양하다. FRP의 경우 우수한 무게-강성비 및 시공성을 바탕으로 최근 활발히 활용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들 FRP 휨 보강재의 활용에 있어 취성적 재료특성은 실제 현장적용에 있어 콘크리트 박리파괴 유발 및 단부 부착파괴의 주요 원인으로 고려되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들 FRP 휨 보강재의 연성적 거동을 개선하기위하여 복합재료 구성요소 중 Fiber의 적층면적 중 일부분을 알루미늄 재료로 대체하여 휨 보강재로서의 구조적 성능을 조사하였다. 연성보강 fiber로는 얇은 두께의 알루미늄이 고려되었으며 다양한 배합설계 조건이 본 연구에서 수행되었다. 최종적으로 알루미늄 삽입 보강재 제작에 따른 연성개선 및 에너지 저장효과에 대한 결과들을 실험을 통하여 연구하였다.

  • PDF

비정착 띠보강재의 역T형 옹벽 보강효과에 관한 모형실험 (Model Tests on the Reinforcement Effect of Unattached Strips to the Cantilever Retaining Wall)

  • 한경제;김운영;김명모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14권2호
    • /
    • pp.31-40
    • /
    • 1998
  • 비정착식 보강토 됫채움으로 구성된 옹벽은 종래의 분리형 전면판요소와 보강재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연성옹벽 형식과는 달리 일체식 강성옹벽으로 설계된다. 이 경우 옹벽의 됫채움 흙속에 설치된 띠보강재의 보강효과로 인하여 옹벽에 작용하는 토압이 감소할 것으로 기대되는데,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내모형실첩을 수행하였다. 역T형 벽체의 뒷굽길이와 보강재의 배치를 달리하여 모형실험을 실시한 결과 본 모형옹벽의 경우 뒷굽길이가 벽체높이의 0.1배와 0.12배일 때 무보강상태에서는 전도파괴를 일으키는 반면에 보강재를 삽입한 경우에는 안정을 유지함으로서 보강재의 효과를 확실하게 증명하였다. 이 형상의 옹벽에 대해 효율적인 보강간격으로 보강재를 배치한 결과 벽체의 단위길이당 전 도모멘트가 무보강 상태에 비해 약 50% 정도 감소하였다. 또한 보강재의 길이가 옹벽 높이의 0.6배 이상이 되어야 보 강재의 보강효과가 발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역T형 옹벽의 파괴면은 Rankine파괴면에 가깝게 가상배면 내·외측으로 형성된 두개의 곡선으로 관측되었다 이 때 외측 파괴면은 직선에 가까운 곡선형태이며, 보강재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벽체쪽으로 가깝게 나타났다.

  • PDF

섬유보강 아스팔트 포장의 점탄성 거동연구 (Viscoelastic Behaviors of Geosynthetic-Reinforced Asphalt Pavements)

  • 인식연;김형배;안성순;서영찬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6권2호
    • /
    • pp.37-45
    • /
    • 2004
  • 아스팔트 포장은 주행의 쾌적성, 안전성 그리고 시공 및 보수의 용이성으로 인하여 세계적으로 많은 도로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고도의 경제성장으로 인한 교통량 증가와 차량의 중량화로 야기된 상습적 인 지체와 여름철 고온현상으로 아스팔트 포장의 파손정도가 심화되고 포장수명이 단축됨으로서 유지보수비용이 급격히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에 국내외에서 아스팔트 포장에 대한 파손 방지대책 및 내구성 증진에 관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으며 그 한 방법으로 토목섬유와 같은 보강재를 포장체에 삽입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아스팔트 포장 표층의 거동을 점탄성으로 분석하였으며 포장체에 삽입된 지오그리드의 설치 위치, 포장단면의 두께를 조합하여 지오그리드의 최적 설치 위치를 알아보고 포장단면의 물성에 따른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지오그리드를 기층과 보조기층 사이에 보강하였을 경우. 기층아래에서 발생하는 횡방향 인장응력을 무보강 아스팔트 포장에 비해 29$\sim$56% 정도 감소시켜 균열 발생을 상당히 억제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노상에서의 수직 변형률과 최대 전단변형률을 살펴보았을 때 지오그리드를 포장체에 삽입하여 소성변형에 대한 억제 효과도 얻을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인장시험(引張試驗)에 의한 보강토(補强土)의 거동결정(擧動決定) (Soil-Reinforcement Interaction Determined by Extension Test)

  • 김운영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8권1호
    • /
    • pp.33-40
    • /
    • 1988
  • 흙과 보강재 사이의 거동을 측정하는 수단으로서 hollow cylinder type의 샘플 내에 보강재를 인장방향으로 삽입하여 주위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한 가운데 축력(軸力)을 감소시키는 소위 삼축인장시험을 실시하였다. 인장특성(引張特性)(extensibility)이 상이(相異)한 3종류의 보강재를 사용한 결과 파괴변형율(failure strain), 최대강도후의 응력강소(loss of post-peak strength), 변형모양(deformation mode) 등이 보강재에 따라 각각 독특하였고, 파괴의 양상은 breakage 또는 pull-out 이 발생하였으며, 보강재단(補强材端)의 고정여부에 따라 보강효과가 영향을 받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보강토해석 및 설계시 흙 및 보강재 자체의 강도(强度)와 더불어 보강재의 인장특성(引張特性)과 경계조건(境界條件)이 매우 중요한 고려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