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산화 안정성

검색결과 1,269건 처리시간 0.036초

기판온도가 전자비임으로 제작된 텅스텐 산화물박막의 화학적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substrate temperature on the chemical stability of WO3Films prepared by electron beam deposition)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365-370
    • /
    • 1996
  • 전기적 착색 텅스텐 산화물박막의 전자비임 증착으로 제작하였으며 제작된 막의 화학적 안정성의 기판온도 의존성을 연구하였다. 실험결과로부터, 제작된 시료의 광학적 특성과 화학적 안정성은 강하게 기판온도에 의존하였다. 기판온도 $80^{\circ}C$에서 제작된 $WO_3$막은 유기성 용액 0.6몰 $LiClO_4$속에서 착색과 탈색이 반복되어도 가장 안정하였다.

  • PDF

가열에 의한 들깨의 지방질 산화와 산화방지제의 변화 (Lipid Oxidation and Antioxidant Changes in Perilla Seeds during Heating)

  • 왕선영;최은옥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711-718
    • /
    • 2011
  • 들깨의 가압가열 처리 중 들깨지방질의 산화정도와 토코페롤 및 폴리페놀 화합물의 분해는 들깨의 볶음 여부와 가열 조건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가압가열 처리 중 볶은 들깨보다 생 들깨에서 지방질 산화 안정성은 높았으나, 산화방지제의 안정성은 낮았다. 또한 토코페롤보다는 폴리페놀 화합물이 들깨의 가압가열 중 지방질산화에 기여한 정도가 더 높았다. 그러므로 들깨를 들깨죽 제조에 적용할 때 폴리페놀 화합물의 농도와 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함으로써 보다 높은 품질의 들깨 적용 식품을 생산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옻나무 첨가 급여기간이 한우육의 육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 김용선;양성운;김동욱;강선문;이성기
    • 한국축산식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축산식품학회 2004년도 정기총회 및 제33차 춘계 학술대회
    • /
    • pp.167-171
    • /
    • 2004
  • 옻나무를 한우에 4%씩 출하(26개월령) 전 3, 4, 5, 6개월씩 급여시 육질의 육색과 지질 산화 안정성 및 품질특성 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4개월간 급여한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들에 비해 밝고 선명한 적색을 저장기간 내내 유지하였으며 옻나무를 급여한 처리구들이 대조구에 비해 metmyoglobin 형성율이 지연되어 높은 육색안정성과 지질산화에 대해 안정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MUFA/SFA과 oleic acid가 옻나무를 첨가급여한 처리구들에서 높게 나타나 소비자의 기호성에도 바람직한 결과를 얻을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종합적으로 육색과 지질산화 및 보수력 측면에서 볼 때 옻나무 4%를 4개월간 첨가급여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초기 산화 피막의 형성이 다공성 알루미나 막 제작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Formation of an Initial Oxide Layer on the Fabrication of the Porous Aluminium Oxide)

  • 박영옥;김철성;고태준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79-83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초기 산화 피막의 형성이 전기화학적 방법을 이용한 다공성 알루미나 막 제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다공성 알루미나 막의 제작은 전해 연마된 알루미늄 포일을 사용하여 두 치체의 양극산화 과정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양극산화 시초기 산화 피막이 알루미나 막 표면의 기공구조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일차 양극산화 전 1 V의 낮은 전압으로 약 10nm두께의 산화 피막을 형성하였다. 이후 옥살산 용액 안에서 40V의 전압으로 양극산화 과정을 수행한 결과 양극산화 반응은 매우 안정적이었으며 측정된 양극산화 전류 역시 일정하게 유지됨을 알 수 있었다. 이와 달리 초기 산화 피막이 형성되지 않았을 경우 양극산화 과정은 매우 불안정하였으며 양극산화 과정동안 전류가 계속적으로 증가함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알루미늄 포일 표면에 초기 산화 피막을 형성함으로써 전기장의 불균일한 분포에 의해 발생하는 표면 손상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양극산화 과정을 통해 다공성 알루미나 산화 막을 제작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IO_4$-산화 전분 변형 $\beta$-아밀라아제의 안정성 및 $\alpha$-Cyclodextrin의 영향 (A Study of $\beta$-Amylase Modified $IO_4$-Oxidized Starch -Effects of $\alpha$-Cyclodextrin-)

  • 안용근;남포능지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59-164
    • /
    • 1998
  • 고구마 $\beta$-아밀라아제를 NaIO4-산화 가용성 전분으로 변형하여 안정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치적안정 pH는 3 및 4를 나타냈고, pH 3, 5~9, 11에서 비변형 효소보다 높은 안정성을 나타냈다. 6$0^{\circ}C$에서 15분 동안 변형효소는 비변형 효소보다 안정성이 증가하였다. 변형 보리 $\beta$-아밀라아제는 전체 pH에 걸쳐서 넓은 pH 안정성을 나타냈고, $\alpha$-cyclodextrin은 이를 더욱 증가 시켰다.

  • PDF

산화안정성 향상을 위한 고분자연료전지용 탄화수소복합막의 제조 및 특성연구 (Hydrocarbon Composite Membranes with Improved Oxidative Stability for PEMFC)

  • 이혜진;최영우;양태현;배병찬
    • 전기화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44-48
    • /
    • 2014
  • 양성자교환막연료전지에서 사용할 탄화수소계 전해질 막 (술폰산화 폴리아릴렌에테르설폰)의 산화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세륨이온이 도입된 전해질 복합막을 제조하였다. 세륨이온의 함유 농도에 따른 산화안정성의 변화를 관찰하였고, 함수율 및 수소이온전도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ICP 분석을 통해 세륨이온의 함침여부를 검증하였고, NMR 피크의 화학적 이동으로 금속이온과 술폰산 그룹과의 배위여부를 확인하였다. 세륨이온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이온전도도 및 함수율은 감소하였으나, 산화안정성은 향상되었다. 특히, 과산화수소폭로 가속화장치를 이용하여, 기존의 펜톤산화실험에 비해 실제 연료전지운전과 매우 유사한 조건에서 전해질 막의 산화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친환경 산화방지제를 함유하는 솔더범프용 주석-은 전기도금액 (Tin-silver Electroplating Solution Containing Environment-friendly Antioxidants for Solder Bump)

  • 고정우;이형근;김경태;박규빈;손진호;오정훈
    • 한국표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표면공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85-286
    • /
    • 2015
  • 반도체 패키지 솔더범프용 주석계 도금액에 적용 가능한, 친환경 산화방지제 몇 종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주석계 전기도금액에 포함된 산화방지제는 주석의 산화방지 외에도, 전류효율, 도금액의 안정성, 그리고 형성된 솔더범프의 특성 등에 영향이 있음을 확인 하였다.

  • PDF

들기름에 존재하는 갈색물질의 특성과 혼합 들기름의 산화 안정성 변화 (Characteristics of browning Materials in Perilla Oil and Change of Oxidative Stability of Blended Perilla Oil)

  • 김영언;김인환;이영철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504-508
    • /
    • 1996
  • 들깨를 15$0^{\circ}C$에서부터 21$0^{\circ}C$까지 10~30분간 볶아서 착유한 들기름에 존재하는 갈색물질의 갈색도와 전자제공력과, 또한 기호성 및 산화 안정성을 검토하였다. 들기름으로 추출한 갈색물질은 들깨의 볶는 온도와 시간이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다. 들깨를 210~에서 30분간 볶아 착유한 들기름으로부터 추출한 갈색물질은 15$0^{\circ}C$에서 10분간 볶은 것에 비해 13배 정도 증가하였다. 한편 볶음조건에 따라 착유한 들기름 중의 갈색물질 추출물의 DPPH에 대한 전자제공력은 볶음온도와 시간 증가에 따라 향상되었다. 21$0^{\circ}C$에서 30분 볶아 착유한 들기름중의 갈색물질은 15$0^{\circ}C$에서 10분 볶은 것에 비해 전자제공력이 약 3배 증가하였다. 기호성이 가장 우수한 들기름에 산화 안정성이 가장 좋은 들기름을 5~20% 혼합한 15% 혼합량 것 중 기호도와 산화 안정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21$0^{\circ}C$에서 30분 볶아 착유한 들기름 중의 갈색물질은 19$0^{\circ}C$에서 20분 볶아 착유한 들기름의 산화 안정성을 증가시켰다.

  • PDF

전기적 착색 텅스텐 산화물 박막의 화학적 안정성 (Chemical Stability of The Electrochromic Tungsten oxide Thin Films)

  • 이길동
    • 태양에너지
    • /
    • 제16권2호
    • /
    • pp.87-96
    • /
    • 1996
  • 아르곤-산소분위기에서 텅스텐산화물 표적을 사용한 rf 마그네트론 스파타링 방법으로 전기적 착색 텅스텐산화물 박막이 ITO가 피복된 유리기판 위에 제작되었다. 사파타링에 의한 제작 조건 중 특히 기판온도가 막의 화학적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이 연구되었다. 박막은 리듐퍼코로라이트와 황산 전해질 속에서 전기화학적으로 이온의 주입과 추출 과정이 반복되었으며 또한 착색성을 나타내었다. 착색성을 나타낸 텅스텐 산화물박막들 중에서 기판 온도가 $150^{\circ}C$에서 제작된 막의 내구성이 가장 안정되었다.

  • PDF

감마선조사 생약재(H-113)의 산화적 생체손상 억제효과 안정성 평가

  • 오헌;정우희;정일윤;천의현;조성기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03년도 춘계총회 및 제22차 학술발표회
    • /
    • pp.103.1-103
    • /
    • 2003
  • 건조 생약재의 위생화 수단으로 방사선 조사 기술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감마선 조사 생약의 효능 변화유무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감마선 조사 시료와 비조사 시료가 생체의 산화적 손상을 억제하는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방사선에 의한 산화적 손상에 대한 효과를 측정하였다. 감마선 조사(10 kGy) 생약재(H-113) 및 비조사 생약재(H-113) 추출물을 처리하여 배양한 사람 림프구에 방사선을 조사한 후, 단세포전기영동(single-cell gel electrophoresis, SCGE; comet assay)을 수행하여 DNA 상해 경감정도를 관찰하였다. 또한 방사선 조사 및 비조사 생약재(H-113) 추출물을 투여한 생쥐에 8 Gy의 감마선을 조사한 후, 간에서 지질과산화 정도를 비교·관찰하였다. 한편 DPPH 라디칼과 hydroxyl 라디칼 소거효과를 시험관내에서 상호 비교하였다. 감마선 조사 생약재(H-113)는 단세포전기영동, 지질과산화, DPPH 및 hydroxyl 라디칼 소거시험에서 비조사 생약재 (H-113)와 유사한 효과를 나타내어 효능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이는 생약재의 여러 가지 고유 효능 중 일부의 안정성을 확인한 것으로 생각되며,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감마선 조사 생약재의 고유 효능의 안정성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결과를 얻는다면 생약재의 위생화 수단으로 감마선 조사 기술의 이용이 실용화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