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산학협력디자인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18초

패션 캡스톤디자인의 선순환 시스템 운영모델 설계 연구 (Fashion Capstone Design Virtuous Cycle System, an Operating Model Design Study)

  • 차유미;김인경
    • 패션비즈니스
    • /
    • 제20권2호
    • /
    • pp.165-180
    • /
    • 2016
  • Capstone design, is a heartfelt cooperation curriculum because the ultimate goal is to train people who already have the ability to complete the tasks of the job without retraining them in the field immediately after being hired. However, there is a need for the design study in the fashion industry where a variety of operating models could be tried; more specifically case studies than engineering. This study was designed to apply to the types of voluntary projects and industrial challenges linked to the different types of virtuous circle window systems over twice in two years. Result capitalization applied to different types of derived forms associated with start-up technology transfer form. In addition, start-up will be done in conjunction with student-centered forms of the participation of Cooperation Coordinator. This was weak in the form of technology transfer interventions which were made as a result of the overall involvement of the industry. In order to elicit the active participation of the industry it is expected that this system will have an ideal company to reflux. Therefore, reflux that created assets to the students, and the reflux of product design created by students in companies professor final a virtuous cycle system operating models that can derive enhancements accept feedback to both students and companies redefining the performing models It presented. This operating model is considered to be able to provide you with a sense of accomplishment and high experiential value to both students and professors, and the industry. In this study, experiments in environmental A Study, silseupbi no support will be given to alternatives to solve them.

근무 환경에 따른 육군 비행재킷의 선호도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Preference of the Korean Army's Flight Jacket According to Working Environment)

  • 최희은;최경미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844-852
    • /
    • 2020
  •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references of pilots, flight engineers and crew who work in the same aircraft but are exposed to different working environments and perform different mission operations in order to develop an ergonomic flight jacket. Based on a preliminary investigation, a survey of 107 pilots and 36 flight engineers and crew was condu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Pilots can control the temperature inside the cockpit, so they are less exposed to the cold when working, while flight engineers and crew are exposed to the cold more because they have many external tasks. The reason for the problem of the current flight jacket was a difference in ranking between two groups, but the highest ranking was poor dimensional suitability due to the habit of wearing layers of clothing. As a result of preferred desig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the item of overall style. Pilots preferred a bomber jacket style(P:68.2%, E&C:44.4%), on the other hand, flight engineers and crew preferred a field jacket style(P:26.2%, E&C:55.6%)(p<.01). They preferred a stand collar(P:71.0%, E&C:86.1%), a fastener slider for a front fastening(P:62.6%, E&C:61.1%), fastener tape cuffs(P:54.2%, E&C:47.2%), a jacket with a softshell(P:86.9%, E&C:83.3%), fleece as softshell material(P:88.8%, E&C:69.4%), and fastener sliders as a attaching method(P:69.2%, E&C:61.1%). A hem fastening will be selec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overall style of outshell. Additionally, they preferred more than 5ea pockets(P:51.4%, E&C:44.4%), fastener sliders as pocket's fastenings(P:48.6%, E&C:61.1%), armpit ventilations(P:62.9%, E&C:58.5%). The results of above will be considered to design an ergonomic flight jacket.

가상현실 안전교육 콘텐츠의 인터랙션 디자인 연구 (Interaction Design Study of Virtual Reality Safety Education Contents)

  • 장효진;장선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75-87
    • /
    • 2021
  • 본 연구는 가상현실 안전교육 콘텐츠의 기획과 제작에 참고할 수 있도록 내용 구성 단계별 인터랙션 디자인 특성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선행연구를 토대로 VR 안전교육 콘텐츠 구성의 특성과 VR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분류, 인터랙션 유형, 인터랙션 방식, 인터랙션 구성 요소들의 관계를 정리하여 인터페이스의 관계 분석 틀을 제시하였으며, VR안전교육 콘텐츠 사례 분석을 통해 비상 상황 대응절차 지식의 습득, 사고 상황 체험 학습 그리고 내용의 확인 및 평가의 세 가지 구성단계에서 각각 다음과 같은 상호작용 디자인 특징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첫째, 학습자 체험단계에서 교육 핵심 체험을 강조하기 위하여 행위 충실도를 높이고 일반적이고 반복적인 행동은 간략하게 축소하여 체험의 질을 조절하는 것이 드러났다. 둘째, 학습자가 생소한 환경에서 안전 행동 절차에 대한 정보 습득을 위하여 주요 상호작용 대상물을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공간UI나 화살표나 상징을 활용한 기표, 행위를 구체적으로 지시하는 게시글 및 다감각 신호를 활용하여 사용자 체험 자유도를 낮추는 방식으로 필수 행위를 강조하고 인지적 인터랙션을 위한 비사실적 방식 인터랙션 비중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체험의 확인과 평가 단계에서 사고 상황 후 신체손상 등의 부정적 경험을 은유적으로 경험하도록 하는 메타UI를 활용하고 3인칭 시점이나 반복재생의 방식으로 학습자의 체험을 객관적 시각으로 환기하는 것이 활용되었다. 또한 이러한 특성과 관련하여 인터랙션 차원에 따른 요소들의 관계를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스마트팩토리 도입사례와 효과 지속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mart Factory Introduction Cases and Sustainable Effect)

  • 손영진;최환영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127-136
    • /
    • 2022
  • 대학은 학생들이 전공 관련 직무역량을 갖추고 졸업할 수 있도록 교과 및 비교과에서의 경험 학습을 제공해야 하며, 경험 학습에는 교내에서 수행하는 캡스톤디자인과 산업체에서 수행하는 현장실습 등이 있다. 특히 2021년 하반기부터 도입된 표준현장실습제도의 시행으로 산업체의 단기(4주) 및 중기현장실습(8주) 참여 감소현상은 학생들이 실무경험을 쌓을 기회를 더욱 더 어렵게 만들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기업의 애로기술을 해결하는 캡스톤디자인과 현장실습을 결합한 산업체 참여형 캡스톤디자인과 현장실습 연계 모형을 제안한다. 참여 학생들은 캡스톤디자인 과정에서 기업애로기술의 해결책을 찾고 현장실습기간 동안 해결책에 대한 시제품제작을 진행한다. 어려운 난제가 있을 경우 전담 교수의 도움으로 해결하는 연계 모형이 경북 Y대 전자공학과 사례의 운영을 통해 대학과 산업체가 상생하는 산학협력 교육의 하나의 좋은 모형이라고 판단된다.

최소 회전반경 및 장애물 극복형 실내 전동 이·승강 휠체어의 설계 (Design of Indoor Electric Moving and Lifting Wheelchair with Minimum Rotation Radius and Obstacle Overcoming)

  • 김영필;함헌주;홍성희;고석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0호
    • /
    • pp.415-424
    • /
    • 2019
  • 최근 고령인구의 증가로 인해 실내 외에서 고령자들이 편리하게 생활할 수 있는 다양한 재활복지기기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거동이 불편한 노인 또는 장애인들 스스로가 좁은 실내에서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동과 이승이 가능하도록 최소 회전반경과 문턱 극복을 포함하여 설계 제작하였다. 좌식문화가 발전한 실내 환경에서 골절질환, 노인질환 및 기타 무릎, 허리질환을 가진 사용자의 이승 편의성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먼저 실내에서 이 승강이 가능하도록 프레임에 기본적으로 링크, 시트, 암레스트, 커버, 모터, 감속기, 배터리, 충전기, 센서, 컨트롤러 기구물 등을 부착하였다. 사용자의 환경과 신체적 특징을 고려하여 제품 디자인과 구조물을 설계하였으며, 고령자 또는 장애인이 실내에서 일상생활을 지원할 수 있도록 IoT 기능을 추가하였다. 제작된 실내 이 승강 휠체어의 동작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구동실험을 수행하였다. 연속 주행시간, 회전반경, 액추에이터 최대부하, 최대 승강 높이, 음압레벨, 운행 보조센서 센싱 최소거리, 서버 및 앱 프로그램 상호 연동과 기기호환성, 듀티 사이클 오차율 시험성능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시험결과, 제작된 휠체어는 각 항목의 성능시험 목표 값을 달성하였으며, 성공적으로 작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송 산업 분야의 특성화고등학교로 전환을 위한 S방송고등학교의 실험.실습실 리모델링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remodelling of the laboratory of S high school of broadcasting for converting into specialized one in the section of broadcasting industry)

  • 오승균;이명의;이용순;김진수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87-112
    • /
    • 2009
  • 이 연구의 목적은 방송 산업 분야의 특성화고등학교로 전환을 위한 S특성화 방송고등학교의 실험 실습실 재구조 방안과 리모델링 모형 및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각 과별로 실험 실습실 재구조 방안은 첫째, 각 전공별로 개편할 실습실명과 평면도 및 투시도를 구성주의 철학에 맞도록 재구성 설계하였다.둘째, 과별로 주요 실험 실습실 개편에서 방송기계과에서는 방송무대기계실습실, 방송기계요소가공실, 방송기계설비실습실, 영상기계실습실 등, 방송전기통신과에서는 영상 음향편집실, 방송통신설비실, 방송시스템실습실, 무대조명실습실 등, 방송무대건축과에는 방송무대제작실습실, 방송무대디자인 실습실, 방송무대장식실습실 등 각과별로 7실을 제안하였다. 셋째, 과별 사무실을 세미나실로 배치하였고, 각 실습장은 전공별 전담제로 실습실 관리 및 연구실화하는 방향으로 설계하였다. 넷째, 과별로 산학협력실을 설치하여 외부의 기업체가 입주시켜 산학협력교육이 원활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산학 연계 교육의 장으로 구상하였다. 그리고 각 과별로 실험 실습장 1실에 대하여 개편 실습실명, 평면도 및 투시도, 실습실 운용 방안 등을 예를 들어 제시하였다. 특히 방송 관련 실험 실습실 운영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산학겸임교사 활용, 방송기술관련 전문 동아리, 학교내 기업 유치 등을 중요한 요인으로 제시하였다. 끝으로 방송 산업 분야의 특성화고등학교로 성공하기 위한 실험 실습실 리모델링 및 장비 구입에 많이 예산이 소요되는 분야이므로 '민간자본유치사업(BTL)'을 유치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인공지능 기반 개인 맞춤형 의류 추천 서비스 개발 (Development of personalized clothing recommendation service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 김형숙;이종혁;이현동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0권1호
    • /
    • pp.116-123
    • /
    • 2021
  • 온라인 패션 시장의 빠른 성장과 이로 인한 온라인 선택의 확대로 인해 소비자들은 더욱 개인화된 추천 서비스에 대해 요구가 커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판매자는 수많은 소비자를 개별적으로 직접 대응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소비자의 이러한 개인화 니즈를 충족시키는 방안으로 이미지에 대한 태깅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사람이 태깅하는 경우 사람마다 태깅이 매우 주관적으로 이뤄지고 있고 인공지능 태깅은 단어가 매우 제한적으로 사용자의 니즈를 충족시켜주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인공지능으로 이미지에 포함된 제품의 형태, 속성, 감성 정보를 인식하고 이러한 정보를 코드화하고 코드의 조합으로 그 이미지가 가지고 있는 모든 정보를 나타낼 수 있는 알고리즘을 설계하였다. 이 알고리즘을 통해서 지금까지 획득이 불가능했던 패션 이미지의 감성, 패션 이미지가 표현하는 TPO 정보 등 이미지가 가지고 있는 다양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러한 정보를 기반으로 소비자의 취향을 분석하는 단계에서 넘어가 소비자의 취향에 당시의 유행, TPO 정보까지 결합하는 초개인화된 의류 추천이 가능해진다.

인간공학적 육군 비행재킷의 개발 및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Korean Army's Ergonomic Flight Jacket)

  • 최희은;최경미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18-128
    • /
    • 2021
  • This study used a preliminary survey to help develop an ergonomic flight jacket that is suitable for the working environment and mission performance.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ergonomic sleeve pattern was designed with a forward 165° incline that considers a shoulder joint direction suitable for the motion; in addition, a closely design opening provided warmth and safety from fire. As a result of the dimensional suitability, pilots evaluated that sleeve length and total length of the developed flight jacket were a little long (p<.01), while flight engineers and crew evaluated that those of the developed flight jacket were appropriate (p<.01). Pilots evaluated that chest circumference and waist circumference were large (p<.05), while flight engineers and crews evaluated that those of the developed flight jacket were appropriate. The evaluation of the motion suitability indicated that pilots, flight engineers and crew found the developed flight jacket more comfortable than the current flight jacket (p<.05, p<.01, p<.001). The evaluation of the usability of pockets and penholders indicated that pilots, flight engineers and crew found the developed jacket easier to use (p<.01). The flight engineers and crew evaluated that the appearance of the developed flight jacket was better than the current flight jacket (p<.05).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difference of environment and mission performance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evalu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separate military uniforms that included a winter flight jacket to reflect the needs of each group.

소다석회유리에서 Al2O3가 isokom 온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l2O3 on the isokom temperatures in soda-lime glass)

  • 강승민;김창삼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03-106
    • /
    • 2022
  • 소다석회유리에서 Al2O3가 isokom 온도에 미치는 영향을 Lakatos 모델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Na2O와 CaO의 함량이 같고 SiO2의 양이 0.5 mol% 감소하고 Al2O3 양이 0.5 mol% 증가했을 때 isokom 온도는 log η = 12.3, 10, 6.6, 1에서 각각 3.1, 3.3, 3.6, 7.2℃ 높아졌다. 한편, SiO2와 Na2O의 함양이 같고 CaO가 0.5 mol% 감소하고 Al2O3가 0.5 mol% 증가한 경우는 log η = 12.3, 10, 6.6, 1에서 각각 1.6, 2.3, 4.1, 17.7℃ isokom 온도가 높아졌다.

Lakatos 모델로 계산한 소다석회유리 점도와 조성과의 관계 분석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oda-lime glass composition and viscosity calculated by Lakatos model)

  • 강승민;김창삼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246-250
    • /
    • 2022
  • Lakatos 모델을 이용한 유리점도 추정법은 소다석회유리의 조성과 점도와의 관계를 가장 잘 추정할 수 있는 방법의 하나이다. Lakatos 모델은 SiO2, Al2O3, Na2O, K2O, CaO, MgO의 양을 입력하여 점도를 산출한다. 본 연구에서는 소다석회유리병 제조 공장에서 월별로 분석한 10개의 조성에서 점도 log η가 3, 6.6, 10, 12.3 Pa·s에서의 isokom 온도를 구하고, isokom 온도 변화가 어떤 조성 변화와 밀접한 상관관계를 갖는지 조사하였다. 그 결과 점도가 log η = 3에서의 isokom 온도는 (Si+Al)/O 값과 가장 밀접한 상관관계를 가지며, log η = 6.6에서의 isokom 온도는 1/Na 값과 밀접한 상관관계를 가짐을 알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