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산학계몽(算學啓蒙)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초

조선(朝鮮) 산서(算書) 산학계몽주해(算學啓蒙註解) (Chosun Mathematics Book Suan Xue Qi Meng Ju Hae)

  • 홍성사;홍영희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12
    • /
    • 2009
  • 주세걸(朱世傑)의 산학계몽(算學啓蒙)은 조선 산학의 발전에 가장 큰 기여를 하였다. 19세기 중엽에 출판된 산학계몽주해(算學啓蒙註解)를 조사하여 19세기 조선 산학의 발전을 연구한다. 홍정하(洪正夏)의 구일집(九一集)의 방정식논(方程式論)과 서양 수학의 영향을 받아 구조적으로 산학계몽(算學啓蒙)을 연구하여 저술한 산학계몽주해(算學啓蒙註解)는 19세기 조선의 대수학 발전의 기초를 이룬 산서이다.

  • PDF

수학적(數學的) 구조(構造)와 산학계몽(算學啓蒙) (Mathematical Structures and SuanXue QiMeng)

  • 홍성사;홍영희;이승온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6권2_3호
    • /
    • pp.123-130
    • /
    • 2013
  • 주세걸(朱世傑) 산학계몽(算學啓蒙)은 조선 산학의 발전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 산서이다. 천원술을 비롯한 산학계몽(算學啓蒙)의 내용은 조선 산학의 중요한 연구 대상이 되었다. 이 논문의 목적은 주세걸(朱世傑)이 수학적 구조를 강조하면서 산학계몽(算學啓蒙)을 저술한 것을 보여서 조선 산학자들에게 수학적 구조에 대한 이해를 크게 확장한 것을 드러내는 것이다. 이와 함께 주세걸(朱世傑) 이전의 산서에 나타나는 구조적 접근과 산학계몽(算學啓蒙)의 접근을 비교하여 주세걸(朱世傑)의 접근이 뛰어나고 또 현대에 사용되는 구조적 접근과 일치하는 것을 보인다.

역사속 과학인물 - 중국의 '산학계몽' 맥 이어준 조선조 수학자 "김시진(1618~1667년)"

  • 박성래
    • 과학과기술
    • /
    • 제33권4호통권371호
    • /
    • pp.32-34
    • /
    • 2000
  • 조선조 현종때 관리였던 김시진(1618~1667년)은 중국판 수학책 "산학계몽"을 우리나라서 인쇄 보급해 수학자 양성에 큰 공을 세운 인물이다. 중국 송나라때인 1299년 주세걸이 쓴 이 책은 중국의 수학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귀중한 책이었다. 그런데 이 책이 5백년의 세월이 흐르는 동안 중국에서는 사라져버려 조선에서 구해다가 다시 찍어낸 것이 지금의 "산학계몽"이다. 사무에 통달하고 산법이 밝았던 김시진은 현종때 경기 좌균전사의 벼슬을 지내고 경상감사까지 오른 당대의 수학자였다.

  • PDF

산학계몽과 묵사집산법의 비교 (A Comparison between Suanxue qimeng(Introduction to Mathematical Studies} and Muksa-jipsanbup)

  • 허민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16
    • /
    • 2008
  • 중국의 산학서 산학계몽은 산학의 훌륭한 입문서로 조선 산학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이의 편제와 내용을 본받은 조선 산학서 묵사집산법은 많은 문제와 별해를 추가하고 산학계몽에서 다루지 않은 산학의 몇 가지 주제도 보완해서 교육적 개선을 시도하였다. 그러나 묵사집산법은 정부술을 배제시킴으로써, 전통적인 방정술을 이용할 수 없었다. 또 천원술도 회피함으로써, 일반적인 승방(다항 방정식)의 표현과 풀이에도 큰 제약을 받았다.

  • PDF

산학계몽(算學啓蒙)과 묵사집산법(黙思集算法)의 수학 교육적 구성과 구조 (Mathematics Educational Constructions and Structures in Suan Xue Qi Meng(算學啓蒙) and Muk Sa Jib San Bub(黙思集算法))

  • 윤혜순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1-19
    • /
    • 2012
  • 주세걸(朱世傑)의 ${\ll}$산학계몽(算學啓蒙)${\gg}$은 조선 산학 발전에 가장 큰 영향을 준 산서 중 하나이고, 경선징(慶善徵)의 ${\ll}$묵사집산법${\gg}$은 현존하는 조선 산서중에 가장 오래된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ll}$산학계몽(算學啓蒙)${\gg}$ (상권(上卷))과 ${\ll}$묵사집산법${\gg}$ (권상(卷上))의 문제를 비교 분석하여 이 두 산서에서 나타나는 수학 교육적 구성과 구조를 조사하여 두 저자의 구조는 현재에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음을 보인다.

산학계몽에 나타난 분수고찰 (Study of Fraction in Arithemetic Enlightenment)

  • 박배훈;박근덕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30권3호
    • /
    • pp.101-125
    • /
    • 1991
  • Arithemetic Enlightenment is written for school beginner and has given much influence to Korea. this article makes a review of fraction in Arithemetic Enlightenment. Difference of the way of thinking between the West and the Orient, fraction in Njne Chapter of Arithemetic, overview of Arithemetic Enlightenment, fraction education in Arithemetic Enlightenment, all of which are described in this article.

  • PDF

수학자 이상설이 소개한 근대자연과학: <식물학(植物學)> (Botany: A Modern Natural Science Book written by Mathematician Sang-Seol Lee)

  • 박영민;김채식;이상구;이재화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5권2호
    • /
    • pp.341-360
    • /
    • 2011
  • 본 원고는 2004년 과학사학자 박성래 교수가 독립 운동가이자 한국 근대 수학교육의 아버지로 부르기 시작한 보재 이상설(李相卨, 1870-1917)이 자연과학에 기여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한국수학사학회지 2009년 11월 호에 자세히 소개된 <수리(數理)>를 쓴 시기를 전후하여, 같은 시기에 이상설이 붓으로 쓴 것으로 여겨지는 <식물학(植物學)>(이상설, 1899)은 총 4면의 초록 필사본이며, 그 대본(臺本)은 <식물학계몽(植物學啓蒙)> (Edkins, 1886)으로 영국의 Joseph Edkins(艾約瑟, 1823-1905)가 번역하여 1886년에 간행한 <서학계몽(西學啓蒙)> 16종 가운데 하나이다. 이상설의 <식물학(植物學)>은 이 <식물학계몽(植物學啓蒙)>을 읽으면서 그 책의 내용 중 당시의 조선 학자가 모르고 있던 새로운 내용을 중심으로 메모를 한 것으로 여겨진다. 본 연구에서는 전통산학과 근대서양수학을 연결하는 <수리(數理)>를 저술했으며, 우리나라의 정규 교과과정에 수학과 과학을 필수과목으로 지정하고, 첫 번째 수학교과서 <산술신서(算術新書)>를 발간함으로 당대 최고의 수학자로 평가된 이상설이 쓴 <식물학(植物學)>을 발굴하여 그 내용과 의미를 최초로 분석한다. 이를 통하여 당시 조선의 서양 과학, 특히 식물학에 대한 이해 수준을 분석하고 <식물학(植物學)>의 원전인 <식물학계몽(植物學啓蒙)>과 <서학계몽(西學啓蒙)>의 저자에 대하여 알아본다. 이는 당시 수학교육자가 자연과학분야에 행한 교육적 기여를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연구이다.

18세기(世紀) 초(初) 조선(朝鮮) 산학(算學) (Chosun Mathematics in the early 18th century)

  • 홍성사;홍영희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9
    • /
    • 2012
  • 1592년과 1636년 양대 전란으로 전통적인 조선 산학의 결과는 거의 소멸되어, 17세기 중엽 조선 산학은 새로 시작할 수밖에 없었다. 조선은 같은 시기에 청으로 부터 도입된 시헌력(時憲曆, 1645)을 이해하기 위하여 서양수학에 관련된 자료를 수입하기 시작하였다. 한편 전통 산학을 위하여 김시진(金始振, 1618-1667)은 산학계몽(算學啓蒙, 1299)을 중간(重刊)하였다. 이들의 영향으로 이루어진 조태구(趙泰耉, 1660-1723)의 주서관견(籌書管見)과 홍정하(洪正夏, 1684-?)의 구일집(九一集)을 함께 조사하여 이들이 조선 산학의 발전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한 것을 보인다.

최석정(崔錫鼎)의 산학연구와 ≪양와집(養窩集)≫의 저자 이세구(李世龜) (Mathematical work of CHOI Seok-Jeong(崔錫鼎) and LEE Se-Gu(李世龜))

  • 이상구;이재화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73-83
    • /
    • 2015
  • In this paper, we give answers to some interesting questions about a Confucian scholar and mathematician in the late Joseon Dynasty, CHOI Seok-Jeong(崔錫鼎, 1646-1715), who was inducted into the Science and Technology Hall of Fame (http://kast.or.kr/HALL) for his mathematical achievements in October, 2013. In particular, we discover that CHOI Seok-Jeong was able to devote his natural abilities and time to do research on mathematics, and that he frequently communicated with his friend and fellow scholar, LEE Se-Gu(李世龜, 1646-1700), who was an expert on the astronomical calendar and mathematics, based on at least 24 letters between the two.

17세기 조선 산학(朝鮮 算學)과 ${\ll}$묵사집산법(默思集筭法)${\gg}$ (Chosun mathematics in the 17th Century and Muk Sa Jib San Beob)

  • 김옥자;김영욱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5-28
    • /
    • 2009
  • 본 논문은 17세기 조선의 대표적인 산서(算書)인 경선징(慶善徵, 1616~?)의 ${\ll}$묵사집산법(默思集筭法)${\gg}$에 대한 연구이다. 본 연구를 통해서 ${\ll}$묵사집산법(默思集筭法)${\gg}$은 17세기의 중요한 산서(算書)로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으며, 또한 17세기 조선 산학의 상황을 알려주는 중요한 사료(史料)임을 알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