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산지식생

Search Result 270,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Studies on the Pasture Improvement with Herbicides III. Effect of different cutting intervals of shrubs after glyphosate application on establishment and teild of surface-sown pasture species (제초제에 의한 초지개량시험 III. Glyphsate 살포후의 관목제거간격이 겉뿌림 목초의 정착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 Kim, D.A.;Kwon, C.H.;Seo, S.;Lee, M.Y.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 /
    • v.6 no.1
    • /
    • pp.1-5
    • /
    • 1986
  • In series of pasture improvement studies with herbicides on nonarable hilly area, the effects of different cutting intervals (10, 20, 30 and 40 days) after glyphosate (2.9 kg/ha active ingredient) application on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surface-sown orchardgrass(Dactylis glomerata L.) and ladino clover (Trifolium repens L.) was measured during 1983-1984. The cutting intervals of the existing shrubs after glyphosate application had no differential effect on establishment, seedling vigor, dry matter yield of surface-sown pasture species and botanical composition of improved pasture. Results showed that good control of the existing shrubs for surface-sown pasture species can be achieved by cutting the shrubs from 10 to 40 days after glyphosate application.

  • PDF

Studies on Application of Organic-Compound Fertilizer on Hilly Mixed Sward I. Effect of organic-compound fertilizer application on qualities of grasses (산지초지에 대한 유기질복합비료의 시용에 관한 연구 I. 유기질복합비료의 시용이 혼파목초의 건물수량과 식생변화에 미치는 영향)

  • 박근제;신재순;이필상;김재규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 /
    • v.8 no.3
    • /
    • pp.99-103
    • /
    • 1988
  • With a purpose of finding out the effects of magnesium and boron enriched organic-compound fertilizer application on qualities of grasses on the hilly pasture, a field experiment was arranged with five dilferent treatments as a randomized block design and lasted from September, 1984 to the end of growing season in 1986.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Mean chemical components except NFE of grasses at the plots with organic-compound fertilizer application were appeared to contain slightly high comparing to single dressing. 2. Production of DCP with organic-compound fertilizer (1,170.2 kg/ha) was significanty increased by 20% comparing to single dressing (975.7 kg/ha) in the conventional fertilization level (P<0.05), but i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m in the low dressing level. 3. Production of energies (TDN, StE and NEL) with organiccompound fertilizer of low and conventional dressing level were appeared to increase by 10 and 13 to 15% than those of single dressing of the same levels, respectively. But it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4. Like single dressing nutrient productions with organic-compound fertilizer were appeared significantly high due to increasing of dressing gradually (P<0.05-0.01). 5. Mineral contents of P and Mg at the plots with organic-compound fertilizer were a little higher, on the other hand, K, C/P and K/Ca + Mg equivalent ratio were slightly lower than those of single dressing, but the content of Ca tended to similar between them.

  • PDF

Characteristics Analysis for RUSLE Factors based on Measured Data of Gangwon Experimental Watershed(II) (강원지역 시험유역에 대한 RUSLE 인자특성 분석 (II) - RUSLE 모형의 시험유역 적용을 중심으로 -)

  • Lee, Jong-Seol;Chung, Jae-Ha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9 no.6
    • /
    • pp.119-124
    • /
    • 2009
  •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estimating methodology for RUSLE factors such as soil erodibility factor, slope length-steepness factor, and cover management factor were reviewed and then the relative error according to each methodology was analyzed. RUSLE was applied to experimental watershed for 42 storm events and their results were compared with measured sediment yield to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RUSLE. As a result, this paper found that it should be necessary to consider vegetation effect for forest application of RUSLE as cover management was the most sensitive factor. Also, soil erodbility factor was calculated from data of soil series by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caused sediment yield to be overestimated because there were big differences between the soil series and on-site soil texture. The 22.7% of maximum relative error was shown according to selecting the rain energy equation. In addition, it will be necessary to verify the RUSLE factors with more data in order to improve their accuracy.

Estimation of Mean Residence Time using Soil Moisture at a Hillslope on the Forested Catchment (산림 사면에서 토양수분을 이용한 물 평균체류시간 추정)

  • Jin, Sung-Won;Kim, Sang-Hyu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1 no.12
    • /
    • pp.1199-1210
    • /
    • 2008
  • The mean residence time is the time scale for intermediate status between infiltration and runoff and one of the critical factors for understanding runoff response, erosion, and eco-hydrological processes. This research explored a direct method to estimate the mean residence time over existing indirect, isotope tracer method.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s of soil moisture have been monitored for a year with 2-hours monitoring interval. Mean residence time for soil moisture showed apparent increasing tendency to deeper depth and decreasing trend during summer periods, which had intensive rainfall events. The mean residence times obtained from this research showed similar trend to those obtained from other isotope methods, which means the direct method can be an efficient approach to obtain the mean residence time.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the Danggol Valley in Taebaeksan Area, the Baekdudaegan (백두대간 태백산지역 당골계곡의 산림군락구조에 관한 연구)

  • Cho Hyun-Seo;Kim Gab-Tae;Choo Gab-Chul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9 no.1
    • /
    • pp.55-62
    • /
    • 2005
  • To investigate the fore,:t community structure in the Danggol valley of Taebaeksan (Mt.), area, 45 plots$(10m\times10m)$, were set up with a random sampling method. By cluster analysis the forest community in the study area was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Larix leptolepis community, Fraxinus rhynchophylla-Carpinus cordata community, Betula costata-Quercus mongolica community). There were strong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Euonymus sachalinensis and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Weigela subsessilis and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Euonymus sachalinensis; Acer pseudo-sieboldianum and Acer tegmentosum; Quercus mongolica and Tilia amurensis. While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Acer pseudo-sieboldianum and Tilia amurensis, Acer ukurunduense: Quercus mongolica and Acer ukurunduense; Pinus koraiensis and Euonyms sachalinensis Fraxinus sieboldiana and Magnolia sieboldii, Carpinus cordata, Acer mono. Species diversity(H') of the investigated area was $0.7932\~1.2077$.

Estimation of Roughness Coefficient Using a Representative Grain Diameter for Han Stream in Jeju Island (제주도 한천의 대표입경를 이용한 조도계수 산정)

  • Lee, Jun-Ho;Yang, Sung-Kee;Kim, Dong-Su;Kang, Bo-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690-690
    • /
    • 2012
  • 효율적인 수자원 관리를 위한 하천정비기본계획과 유역치수계획의 수립은 정확한 홍수량을 산정을 통해여 이루어지며, 이러한 첨두홍수량에 대한 계산이 좀 더 정밀해져야 할 필요성이 있다. 흐름해석에서 중요한 요소인 조도계수는 원래 하상재료의 조도(roughness)를 나타내는 척도로서 하상재료 및 하상표면의 특성에 의해 결정되어지는 값이지만, 실제 흐름계산에서는 식생, 하천 구조물, 사행도, 단면형태 단면 변화양상 등 하도의 상황뿐만 아니라 유량이나 수위에 의해서도 변화기 때문에(Frech, 1985) 이론적으로 조도계수를 정확하게 계산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내륙부와는 매우 특이한 유출 형태를 보이고 있는 제주도의 하천은 평시는 대부분이 건천이지만 집중호우나 태풍 내습시에는 하천변의 침수와 범람 등의 재해가 발생하기도 한다. 지금까지 하천정비기본계획에서 제주도 하천의 조도계수는 자연형 하천에 적용되는 계수만을 전 구간에 일률적으로 사용하여 왔으나, 제주도의 하천은 대부분 15km내외의 짧은 구간에 산지와 농 목축업 및 도심하천이 혼재하고 있고 또한, 하상재료는 자갈 및 호박돌, 전석 등이 산재해 있어 구간별 조도분포도 매우 복잡하며 큰 변화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하천현장에 대한 실측 조도계수의 조사나 측정은 전무한 실정이다. 한천의 하상재료의 입경을 이용한 방법으로 연구대상인 한천의 구간은 11.5km이며, 조도계수 산정구간을 10구간으로 세분화하고 각 구간마다 좌안, 중앙, 우안마다 100개씩 하상재료를 채취하였으며, 총 3000개의 채취한 하상재료를 이용하여 대표입경을 선정하고 입도분석 실시하였다. 지당 총 100개 이상의 자갈 입자를 선택하고 중경(intermediate axis)을 측정하도록 하고 있다. 그 결과를 기존의 조도계수 경험식에 대입하여 조도계수를 산정하였으며, 기존의 하천정비기본계획에 제시된 조도계수와 비교 분석하였다. 이러한 실측 조도계수을 이용한다면 보다 정확한 홍수량 산정과 하천실무에 적용 및 활용성이 기대된다.

  • PDF

Validation of the Complementary Relationship of Evapotranspiration Hypothesis Using In-situ Measurements (관측자료 기반의 용담댐 유역 증발산 보완관계 가설 검증)

  • Eunji Kim;Boosik K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264-264
    • /
    • 2023
  • 물순환 과정에서의 증발산은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수자원 계획 수립 시 중요한 요소이다. 증발산은 기온, 상대습도, 일사량 등 기상학적 인자뿐만 아니라 증발표면, 식생분포 등 다양한 인자의 복합작용에 의해 일어나므로, 유역 단위에서 발생한 실제증발산(Actual evapotranspiration, AET)을 측정하기에는 기술적인 한계가 존재한다. 그러나 증발산 보완관계(Complementary relationship of evapotranspiration, CRE) 가설을 활용하면, 수문요소의 상호작용을 고려한 모델링을 거치지 않고도, 비교적 간단하게 AET를 추정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증발산 관측자료를 기반으로 유역 단위에서의 CRE를 검증하고자 하며, 플럭스 타워 등 다양한 관측장비가 설치되어 있는 용담댐 시험유역을 대상유역으로 선정하였다. 용담댐 유역 내 산지에 위치한 덕유산 플럭스 타워에서 측정된 증발산을 AET로 보았으며, 유역 인근에 위치한 전주 기상관측소에서 측정되는 팬 증발량(Epan)을 잠재증발산량(Potential evapotranspiration, PET)으로 보았다. Epan 계측시, 증발팬의 가열 등 주변환경 변화로 인해 과다하게 추정되는 값을 보완하기 위해 FAO Penman-Monteith 식을 활용해 팬 증발량 보정계수(Coefficient of pan evaporation, kp)를 산정하여 적용하였다. 습윤증발산량(Wet evapotranspiration, WET)은 대기가 완전히 포화되었을 때 발생하는 증발산량으로, 댐 수표면에서 계측되는 수면증발량을 WET로 보았다. CRE 검증을 위해 AET와 PET를 각각 WET로 나누어 AET+와 PET+로 무차원화하였으며, 습윤지수(Moisture Index, MI)는 AET를 PET로 나누어 산정하였다. CRE 가설은 MI에 따른 AET+와 PET+가 서로 보완관계를 갖는다는 것인데, 용담댐 유역의 관측자료를 활용하여 CRE를 검증한 결과 AET+와 PET+ 간의 비대칭계수(b)가 1.23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때의 평균제곱오차(MSE)는 0.599, 결정계수(R2)는 0.631로 나타나 CRE의 b가 적합하게 추정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결과와 같이 검증된 CRE를 통해 증발산 관측지점이 없거나, 조밀하지 않은 유역의 AET를 간접추정할 수 있으며, 이를 활용해 보다 정확한 댐의 장기유출 모의와 용수공급계획 수립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Evaluation of the Water Quality Impact of Bibong Mountain Forest Basin for Forest Fire Damage (산불로 인해 훼손된 비봉산 산림유역의 수질 영향 평가)

  • Sung Hoon Ahn;Ui Seok Kim;Yong Bin An;Eun Mi 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16-416
    • /
    • 2023
  • 전 국토의 산지 비율이 높은 우리나라는 산림지의 특성이 수질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산림지역의 화재에 있어 산림이 갖는 수질, 토성의 변화와 발생한 연소 퇴적물, 유기물로 인해 수자원에도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산불은 단순한 산림지의 자원 유실뿐만 아니라 토양층의 물리적약화와 강수저류 효과를 떨어뜨려, 산불 후 유출의 증가를 보인다. 삼척시의 산불 선행연구에 따르면, 산불 발생 직후, 지역의 직접 유출이 기저 유출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에 따라, 모든 수질인자의 평균 농도는 비발생지역에 비해 발생 지역의 농도가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며, 이 중 T-N, T-P, SS의 농도가 특히 크게 나타났다. 또한, 계류 수질의 경시적 변화를 분석한 결과, BOD와 COD는 산불 발생 최소 4개월의 기간을 거친 후 점차 안정화하는 모습을 보였다. 다만, 산불로 인해 훼손된 물 환경의 상황을 복구하고자 하는 연구의 데이터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22년 4월 산불이 발생한 강원도 양구군 양구읍 송청리 비봉산 일대의 산불 유역을 대상으로 산불에 따른 물 환경의 변화를 밝힘으로써 산불로 훼손된 지역의 효과적인 수질 회복과 물 환경 보전 대책 수립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2023년 4월 양구 비봉산의 산불 복구 작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는데 복구 전 현재 수질의 상황을 살펴봤다. 조사 지역은 비봉산 일대의 산불 지역과 비발생 지역, 오봉산 일대까지의 유역 출구 총 7개의 지점을 선정하였다. 기본 수질항목은 현장에서 YSI PROPLUS (Mobile Multi Sensor 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채취한 시료는 무균 채수 병에 담아 실험실로 운반하여 SS (Suspended Solids), TP(Total Phosphorus), TOC (Total Organic Carbon) 항목에 대해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에 의거하여 분석하였다. SS, TOC, t-p의 경우, 지정학적 특성, 산불에 의한 퇴적물들의 변화와 토양의 형태 및 식생의 변화로 인한 결과의 차이를 보였다. 1년이 지난 지금 산불 직후처럼 높은 수치는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아직 복구 작업이 제대로 진행되지 않아 그 영향에 대해 무시할 정도로 안정화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산불 발생 후 강우 및 토사유출에 대한 비 산불 지역과의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수질 오염원으로 작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기초자료로 제공될 것이다. 또한, 수처리 기술개발을 포함한 예방책을 만들어 내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길 바란다.

  • PDF

A Geomorphic Surface Analysis Using Remote Sensing in DMZ of Chugaryeong Rift Valley, Central Korea (위성영상을 이용한 추가령열곡 DMZ 지역의 지형면 분석)

  • LEE, Min-Boo
    • Journal of The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of Korea
    • /
    • v.17 no.1
    • /
    • pp.1-14
    • /
    • 2010
  • This paper deals with the classification and distribution of geomorphic surfaces and analysis on effects of geomorphic processes on the landforms in the inaccessable DMZ (Demilitarized Zone) to Wonsan Bay of East Sea coast of Chugaryeong Rift Valley, Central Korea. DEM (Digital Elevation Model) and Landsat images are used for the above anlaysis. The geomorphic surfaces are classified by TPI (Topographical Position Index) for the analysis of the convexity and concavity calculated using topographical elements such as elevation, steepness, and relief. In the Chugayreong Valley, 10 geomorphic surfaces are classified as steep valley, shallow valley, upland drainage, U-shaped valley, plain, open slope, upper slope, local ridge, midslope ridge, and high ridge. Zonal Statistics presents average characteristics of geomorphological processes of surfaces by the relationships between bedrock and relief, surface and relief, and between surface and NDVI. So, these analysis can help to understand geomorphological process such as dissection of lava plateau and watershed divide evolution.

Geomorphological significance and role of the sand bars of major river valleys in the South Korea - case study on the Nakdong river valleys - (한국 하천 모래톱의 지형학적 의미와 효능 - 낙동강 하곡을 사례로 -)

  • OH, Kyung-Seob;YANG, Jae-Hyuk;CHO, Heon
    • Journal of The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of Korea
    • /
    • v.18 no.2
    • /
    • pp.1-14
    • /
    • 2011
  • Remarkable development of sand bars is an important characteristic of fluviatile landform of Korea. Their development owes, in one part, to the supply of abundant sandy materials to river valley floor, originated from the weathering of essentially granitic rocks, distributed almost all over the country. It owes, in other part, to river valley disposition presenting many angular sinuosity guided by fracture grid, impeding regular migration of sandy materials along valley floor. Besides, high amplitude of river discharge fluctuation of the country plays is proved to be favorable hydrological factor for the development of the sand bars. The sand bars play important roles in favor of river hydro-ecological environment. They mitigate the amplitude of discharge fluctuation regime. In flood spell, sand grains in the main channel migrate so as to broden wet section. At the spell of low water level, they newly accumulate as to impede rapid stream discharge. Especially high quantity of reserved water in porous space of sand bar is preciously available both for human livelihood and for ecological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