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omorphological significance and role of the sand bars of major river valleys in the South Korea - case study on the Nakdong river valleys -

한국 하천 모래톱의 지형학적 의미와 효능 - 낙동강 하곡을 사례로 -

  • OH, Kyung-Seob (Korea Nat'l Univ. of Education) ;
  • YANG, Jae-Hyuk (Dept. of Geography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 CHO, Heon (Dept. of Geography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오경섭 (한국교원대학교) ;
  • 양재혁 (한국교원대학교 지리교육과) ;
  • 조헌 (한국교원대학교 지리교육과)
  • Received : 2011.04.19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Remarkable development of sand bars is an important characteristic of fluviatile landform of Korea. Their development owes, in one part, to the supply of abundant sandy materials to river valley floor, originated from the weathering of essentially granitic rocks, distributed almost all over the country. It owes, in other part, to river valley disposition presenting many angular sinuosity guided by fracture grid, impeding regular migration of sandy materials along valley floor. Besides, high amplitude of river discharge fluctuation of the country plays is proved to be favorable hydrological factor for the development of the sand bars. The sand bars play important roles in favor of river hydro-ecological environment. They mitigate the amplitude of discharge fluctuation regime. In flood spell, sand grains in the main channel migrate so as to broden wet section. At the spell of low water level, they newly accumulate as to impede rapid stream discharge. Especially high quantity of reserved water in porous space of sand bar is preciously available both for human livelihood and for ecological environment.

모래톱이 잘 발달함은 한국하천지형의 주요 특징이다. 이는 한편으로는 한국의 기후지형 환경과 관련하여 전국에 널리 분포하는 화강암 풍화 및 풍화층에서 다량의 모래를 하곡으로 공급하기 때문이다. 다른 한편으로는 심하게 굽이치는 곳이 많고 곡폭의 변화가 커서 모래 이동의 병목구간이 많을 수 밖에 없는 하곡의 배열과 형상 때문이다. 그리고 하계 집중호우로 인해 하천의 유황 변동 폭이 크다는 점도 사력퇴를 잘 발달시키는 수리적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 모래톱들은 수분수지 불균형을 조절해주는 역할을 하면서 우수한 수질정화필터 역할을 한다. 이와 함께 모래톱들은 하천 어패류의 서식 산란 공간이 되고, 내륙에 수서성, 반수서성 식생이 군락을 이룰 수 있는 터전 역할을 한다. 모래톱은 자연생태계는 물론 인간 생활에 매우 긍정적 역할을 하고 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한국교원대학교 기성회계 연구비 지원으로 수행되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