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Geomorphic Surface Analysis Using Remote Sensing in DMZ of Chugaryeong Rift Valley, Central Korea

위성영상을 이용한 추가령열곡 DMZ 지역의 지형면 분석

  • LEE, Min-Boo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이민부 (한국교원대학교 지리교육과)
  • Received : 2010.02.26
  • Published : 2010.03.30

Abstract

This paper deals with the classification and distribution of geomorphic surfaces and analysis on effects of geomorphic processes on the landforms in the inaccessable DMZ (Demilitarized Zone) to Wonsan Bay of East Sea coast of Chugaryeong Rift Valley, Central Korea. DEM (Digital Elevation Model) and Landsat images are used for the above anlaysis. The geomorphic surfaces are classified by TPI (Topographical Position Index) for the analysis of the convexity and concavity calculated using topographical elements such as elevation, steepness, and relief. In the Chugayreong Valley, 10 geomorphic surfaces are classified as steep valley, shallow valley, upland drainage, U-shaped valley, plain, open slope, upper slope, local ridge, midslope ridge, and high ridge. Zonal Statistics presents average characteristics of geomorphological processes of surfaces by the relationships between bedrock and relief, surface and relief, and between surface and NDVI. So, these analysis can help to understand geomorphological process such as dissection of lava plateau and watershed divide evolution.

본 논문은 비접근지역인 DMZ에서 동해안의 원산만에 이르는 추가령 열곡에 대해 GIS를 이용하여 지형면을 분류하고 그 분포의 특징과 형성과정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 것이다. 분석 방법으로 수치고도모델(DEM)과 Landsat 위성영상을 이용하였다. 지형면 분류는 고도, 경사도, 기복량 등을 이용하여 지형 표면의 요철 정도를 지수로 산출하는 TPI(Topographical Position Index)를 이용하였다. 연구지역의 지형면은 깊은 계곡, 얕은 계곡, 산지유로, 평탄곡지, 평탄지(단구, 평야, 대지), 산록사면, 산복사면, 소구릉, 완사능선, 산정능선 등 10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이들 지형면의 지형형성과정의 평균적인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기반암과 기복량, 지형면과 기복량, 지형면과 식생활력도 등의 관계에 대한 구역 평균(Zonal Statistics)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비접근 지역인 추가령열곡 DMZ의 용암대지 개석과정과 분수계 발달과정 등을 파악할 수 있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한국교원대학교 2008학년도 KNUE 학술연구비 지원을 받아 수행하였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