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산점도

검색결과 465건 처리시간 0.027초

다당류 메틸란의 산 성분 함량에 따른 점도의 변화 (Viscosity Change of Polysaccharide, Methylan by Acids Content)

  • 김상용;김정회;오덕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1151-1157
    • /
    • 1997
  • 정제된 다당류 메틸란을 여러 가지 화학 방법에 의해서 분석한 결과 79%의 당이 존재하였고 6%의 단백질과 16%의 유기산이 존재하였다. 배양시간이 증가함 따라 pyruvic acid와 uronic acid 같은 산의 함량이 34시간의 10%에서 72시간에서는 17%까지 증가하였고 이에 따라 점도도 증가하였다 메틸란 내의 산의 함량이 점도에 중요한 인자로 생각되어 주요 유기산인 uronic acid와 pyruvic acid의 함량과 점도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생물학적 및 과학적 변형을 통하여 pyruvic acid의 함량이 변화된 메틸란을 이용하여 pyruvic acid의 함량과 점도와 관계를 조사하였다. Pyruvic acid함량이 증가할수록 겉보기 점도와 고유 점도가 증가하였고 pyruvic acid의 함량이 1% 증가할 경우 약 290 cp의 겉보기 점도와 약 6 dL/g의 고유 점도가 증가하였다. 생물학적 및 화학적 변형을 통하여 uronic acid의 함량이 변화된 다당류에서 uronic acid 함량과 점도와 관세를 살펴보았다. 메틸란 내의 uronic acid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점도가 증가하여 uronic acid의 함량이 1% 증가할 경우 약 85 cp의 겉보기 점도와 약 1.5 dL/g의 고유 점도가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메틸란의 점도 증가는 다당류 내의 유기산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증가되고 메밀란의 점도 증가는 uronic acid보다 pyruvic acid에 더 기인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로지스틱회귀에서 잔차산점도를 이용한 모형평가 (Model assessment with residual plot in logistic regression)

  • 강명욱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6권1호
    • /
    • pp.141-150
    • /
    • 2015
  • 로지스틱회귀에서 모형을 평가하거나 진단할 때 가설검정이 주로 사용되지만 이것만으로는 놓칠 수 있는 부분이 많고 이에 대한 보완을 위하여 그래픽적 방법의 사용이 요구된다. 그래프를 이용한 모형의 적절성 평가를 위한 도구로 잔차산점도가 널리 이용되고 있으나 적용 범위가 선형회귀에 국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해결 방안으로 주변모형산점도를 이용하여 모형의 적절성을 평가하는 방법이 있으나 역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주변모형산점도의 대안으로 카이잔차산점도를 제안하고 그 효용성을 알아본다.

옥수수, 감자 및 고구마 전분의 pH에 따른 점도 특성 (Viscosity Properties of Corn, Potato and Sweet Potato Starch according to pH.)

  • 최옥자;신말식;조성효
    • 한국가정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88-99
    • /
    • 2000
  • 옥수수, 감자, 고구마 전분현탁액에 가열 전 $.$후 산을 첨가하여 pH를 4.0∼5.0으로 하였을 때 마밀로그라프에 의한 호화특성과 Brookfield 점도계로 측정한 전도 특성은 다음과 같다. 산 첨가에 따른 옥수수전분, 감자전분. 고구마전분의 아밀로그라프에 의한 특성은 가열전에 산을 첨가하였을때 호화개시온도가 대조군보다 상승되었고, 감자전분의 호화개시온도 상승이 가장 컸다. 각 전분의 점도는 pH가 낮아질수록 감소하였는데 옥수수전분의 경우 가열전 $.$후와는 관계없이 점도변화가 가장 적었다. 가열전 산을 첨가하였을 때 consistency(C-H), setback(C-P)은 증가하였고. breakdown(P-H)은 감소하였다. 가열 후 산을 첨가한 경우는 consistency(C-H), setback(C-P)은 감소하였고, breakdown(P-H)은 증가하여 가열전과 가열후 산첨가의 결과는 다르게 나타났다. 산에 의한 점도의 변화정도는 감자전분, 고구마전분, 옥수수전분 순으로 크게 변화하였다. 가열전 산을 첨가하여 일정온도까지 가열하여 Brookfield 점도계로 점도를 측정한 경우 pH가 낮을수록 점도는 전체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나, 가열에 따른 냉각점도는 가열온도가 높을수록 pH의 영향에 따른 냉각점도의 감소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가열 후 산을 첨가하여 냉각점도를 측정한 경우 가열전 산첨가에 비하여 옥수수전분 과 고구마전분은 전반적으로 점도가 높은 경향이었다.

  • PDF

국산 및 중국산 곡류(기장 및 수수)의 감마선 조사 여부 검지를 위한 점도측정 (Detection of Irradiated Dried Cereals from Korea and China by Viscometric Method)

  • 김현구;강덕순;최맑음;권중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645-650
    • /
    • 2001
  • 방사선 조사된 국산 및 중국산 기장(Panicum millaceum)과 수수(Andropogon sorghum)를 대상으로 점도를 측정함으로써 방사선 조사 여부확인 방법을 연구하였다. 50rpm에서 비조사된 국산 기장과 수수의 점도가 각각 $143.38{\pm}0.44$$35.92{\pm}1.90$인 것에 반해 15kGy로 조사된 기장과 수수의 점도는 각각 $6.60{\pm}1.16$$3.86{\pm}0.32$로 크게 낮아졌다. 이런 경향은 중국산 기장과 수수도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shear rate를 증가시킴에 따라 점도가 낮아짐을 확인하였다. 50rpm에서 국산 및 중국산 기장의 회귀식 및 회귀계수는 각각 0.80(y=-27.78x+150.17) 및 0.98(y=-3.36x+88.93)이고 국산 및 중국산 수수의 회귀식 및 회귀계수는 각각 0.84(y=-6.046x+35.49) 및 0.84(y=-13.34x+101.67)이었다. 점도측정값과 전분함량을 이용한 specific parameter를 구한 결과 감마선 조사선량의 증가에 따른 비례적인 감소를 보였다. 50rpm에서 국산 수수 및 기장에 대한 비조사구의 specific parameter는 14.06 및 49.10 이었고 2.5kGy 처리구의 값은 8.59 및 37.32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중국산 곡류 역시 유사하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점도 및 specific parameter의 유의적인 변화는 점도측정법이 전분의 방사선 조사 여부를 검지하는 방법으로 적용 가능함을 나타내었다.

  • PDF

로지스틱모형에서 그래픽을 이용한 회귀와 모형평가 (Graphical regression and model assessment in logistic model)

  • 강명욱;김부용;홍주희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1권1호
    • /
    • pp.21-32
    • /
    • 2010
  • 그래픽적 회귀는 모형에 대한 가정을 하지 않고 회귀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충분요약그림을 찾아내는 분석 방법으로 모든 회귀정보를 저차원의 그림으로 표현할 수 있게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잔차산점도를 이용한 모형의 평가는 적용 범위가 선형회귀모형에 국한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일반화선형모형에서는 그 대안으로 주변모형 산점도를 이용하여 모형의 적절성을 평가한다. 본 논문에서는 일반화선형모형 중에서 이진반응변수를 갖는 로지스틱모형에서의 그래픽적 회귀 방법과 주변모형 산점도를 이용한 모형평가 방법을 알아본다.

현미의 방사선 처리여부 판별을 위한 점도측정법의 검증 (Verification of Viscosity Measurement for Identifying Irradiated Brown Rice)

  • 이정은;조덕조;최맑음;김현구;김정숙;권중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240-245
    • /
    • 2010
  • 국산 및 중국산 현미를 대상으로 방사선 조사여부 판별방법의 하나인 점도측정법 검증을 위하여 0-15 kGy 범위의 감마선을 조사하고 점도, 전분함량 및 specific parameter 측정에 의한 미지시료의 조사여부 판별을 시도하였다. 현미의 전분함량은 국산과 중국산 각각 71.52와 64.58%이었고, 국산 현미가 중국산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점도를 나타내었다. 방사선 조사된 국산 및 중국산 현미의 조사선량에 따른 점도 및 specific parameter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전단속도(50, 150, 300 rpm)에 영향을 받아 낮은 속도에서 조사선량의 영향이 크게 나타났다. 점도와 specific parameter의 변화에 대한 조사선량의 상관성을 나타낸 결정계수($R^2$)는 국산 현미는 0.9423-0.9567, 중국산 현미는 0.9119-0.9387을 보였다. 또한 상기 점도측정법에 의한 미지시료(n=30)의 조사여부 판별시험에서는 90%의 정확도를 보였다. 이로써 전분질 식품의 방사선 조사여부 확인에서 점도측정법은 screening 방법의 하나로써 보조적 역할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국내산 맥류의 식이섬유 조성 및 이들 추출물의 점성 비교 (Dietary Fiber Compositon and Viscosity of Extracts from Domestic Barley, Wheat, Oat, and Rye)

  • 이영택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33-238
    • /
    • 2001
  • 국내산 품종별, 보리, 귀리, 밀, 호미의 식이섬유 함량과 추출물의 점성을 분석하여 생리적 기능성이 높은 식물 소재로서의 활용성을 모색하였다. 평균 총 식이섬유함량은 보리 19.9%, 호밀 18.0%, 밀 15.9%귀리 groat 15.5%,보리쌀 9.7%의 순이었다. 수용성 식이섬유의 함량은 보리 6.6%, 호밀, 6.4%, 보리쌀 5.4%, 구리 .groat 4.9%밀 3.8%의순이었으며 ,밀과 호밀의 제분부산물인 bran은 경제적인 측면에서 활용성이 높은 식이섬유 소재인거승로 확인되었다. $\beta$-glucan 함량은 보리와 귀리에서 4.4.~4.5%로 유사하게 높았으며 호밀과 밀에서는 낮게 나타났다. 총 $\beta$-glucan 에대한 수용성 $\beta$-glucan 의 비율로 나타낸 용해성은 귀리와 보리순으로 높았으며 밀과 호밀에서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식이섬유 추출물의 점도는 호밀, 보리쌀 귀리, groat. 밀의 순으로 높았으며, 맥류 품종의 수용성 식이섬유 함량이 높을수록 점도가 높을경향을 보여주었다. 국내산 맥류의 고점도 식이섬유는 생이기능성이 높은 건강식품소재로서의 활용가치가 클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MCMC 결측치 대체와 주성분 산점도 기반의 SOM을 이용한 희소한 웹 데이터 분석 (Sparse Web Data Analysis Using MCMC Missing Value Imputation and PCA Plot-based SOM)

  • 전성해;오경환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0D권2호
    • /
    • pp.277-282
    • /
    • 2003
  • 웹으로부터 유용한 정보를 얻기 위한 연구는 현재 많이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특히 웹 로그 데이터의 희소성에 대한 문제 해결과 이를 통한 웹 사용자의 군집화 방안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MCMC 방법의 베이지안 추론에 의한 결측치 대체 기법을 이용하여 웹 데이터의 희소성을 제거하였고, 주성분에 의한 산점도를 통하여 형상지도의 차원을 결정한 자기 조직화지도를 이용하여 웹 사용자의 군집화를 수행하였다. 제안 기법은 기존의 방법들에 비해 모형의 정확도와 빠른 학습 시간을 제공하여 주었다. KDD Cup 데이터를 이용한 실험을 통하여 제안 방법에 대한 문제 해결 절차 및 성능 평가를 객관적으로 확인하였다.

지방산 및 지방알코올을 함유한 나노에멀젼의 안정성 (Stability of Nano-emulsions Containing Fatty Acid and Fatty Alcohol)

  • 조완구;김경아;장선일;조병옥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273-279
    • /
    • 2017
  • 본 실험에서는 화장품에 널리 사용되는 지방산과 지방알코올을 Tween 80과 Span 80을 함께 사용하여 조성 상전이 유화법으로 O/W (oil-in-water) 저점도 나노에멀젼을 제조하였다. 지방알코올의 오일상에서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나노에멀젼의 입자 크기가 증가하였다. 혼합계면활성제의 HLB를 조절하여 입도 분포가 좁고 안정한 나노에멀젼의 제조가 가능하였다. 전상점 부근에서 지방산 및 지방알코올을 함유한 계 모두에서 유사한 점도와 전기전도도의 변화를 보였으나 오일과 계면활성제만으로 구성된 계와는 다르게 넓은 수용액상 분율범위에서 높은 점도를 나타냈다. 입자 크기가 100 nm 미만의 저점도 나노에멀젼은 실온에서 한 달 이상 안정하였다. 지방산 또는 지방알코올을 함유하고, 저에너지 유화법으로 제조된 저점도 O/W 나노에멀젼 제형은 화장품의 기재로서 널리 사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