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산업수학

검색결과 248건 처리시간 0.03초

중등영재학생들의 수학적 사고 선호도와 논리형 문제의 해결능력에 관한 통계적 검증 연구 (A statistical study of mathematical thinkings and problem-solving abilities for logical-type problems with reference to secondary talented students)

  • 박홍경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198-204
    • /
    • 2009
  • 수학적 사고의 입장에서 중등학생들이 수학적 문제해결에 논리적 사고와 직관적 사고가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연구하는 것은 수학교육에서 중요하고도 흥미로운 과제의 하나이다.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중등학교 영재학생을 대상으로 이러한 문제를 조사하는 것이다. 특히 이들 중등영재학생들의 논리적 사고와 직관적 사고에 대한 선호도와 논리형 문제의 문제해결능력 사이의 관계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조사한다.

공대생의 역도함수 그래프 추측 (The Conjecture of Anti-Derivative Graph of Engineering Students)

  • 김수민;김선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9권1호
    • /
    • pp.171-187
    • /
    • 2017
  • 공대생들에게 미적분은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현상에 대한 수학적 안목을 형성해 주는 수학적 모델이자 지식이며 기능이다. 하지만 공대생들의 미적분학 학습은 기계적인 계산과 수학적 결과만을 적용시켜 문제를 해결하려는 경향을 보인다. 이에 본 연구는 실제적인 상황에서 수학적 개념과 원리를 적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문제를 제시하고 공대생들에게 이 문제를 풀게 하였다. 산의 경사도 그래프로부터 원래 산의 모양을 알아내는 문제에서 학생들은 주어진 그래프를 도함수의 그래프로 인식하고 역도함수의 그래프를 추측하였다. 그래프 해석에서 오류를 보이기도 하였는데 이는 미적분의 내용을 이해하지 못해서라기보다는 문제를 제대로 파악하지 않고 해결하려는 학습 방식에 기인한 것이었다. 경사도 문제 해결을 통해 공대생들은 수학이 자신이 공부하는 전공의 기초이자 실세계에 활용 가능한 유용성을 갖고 있으며 사고력을 향상시켜준다고 하는 인식의 변화를 경험하였다.

산업안전을 위한 인간신뢰성 분석기법

  • 서승록;임완희
    • 한국산업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업정보학회 1998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발표논문집 IMF시대의정보화 추진전략
    • /
    • pp.119-123
    • /
    • 1998
  • 지난 몇 년동안 생산공장이나 건설현장에서 안전에 관한 문제가 상당히 강조되었다. 산업재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장비나 작업자의 신뢰성을 높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작업자의 근무년수에 따른 재해율을 평가하고 예측하는 수학적인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목적을 위하여 노동부에서 발표된 최근 3년 (94-96) 동안의 재해 통계를 사용하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된 방법은 프로젝트의 초기단계에서 노동정책을 개발하는데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다.

퍼지추론부 구조에 관한 성능 평가

  • 우찬일;유종상;신인철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권2호
    • /
    • pp.31-39
    • /
    • 1997
  • 퍼지로직 컨트롤러는 파라메터의 측정이 불가능하고 수학적으로 정확하게 모델링 되지 않는 제어에 효과적으로 사용되어진다. 본 논문에서는 입력값에 대해 룩업테이블을 사용하지 않고 멤버쉽 함수를 계산하여 수렴점에서의 진동을 줄이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역추균형 제어 시스템에 적용시켜 그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 PDF

정보영재아동의 과목별 성적 상관관계 분석 연구 (A Study on Correlation Analysis of Academic Performance per Subject for the Gifted Children in IT)

  • 전우천
    • 영재교육연구
    • /
    • 제23권3호
    • /
    • pp.407-419
    • /
    • 2013
  • 현대 지식정보사회에 있어서 한 국가의 주축 산업은 정보관련 산업에 의존하며, 국가경쟁력의 향상을 위해 무엇보다도 정보 분야의 인재 육성이 중요하다. 또한 개인 차원에 있어서도 정보 소양 및 활용은 개인의 경쟁력 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현대 지식정보화사회를 선도할 수 있는 정보영재의 발굴 및 육성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영재아동의 과목별 상관관계를 밝혀내는 것이다. 즉 정보영재아동에 있어서 정보, 과학, 수학 등 세 과목의 성적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4, 5, 6학년에 재학 중인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의 정보영재반 학생들의 7년간 성적을 토대로 하여 정보, 과학, 수학 과목 사이에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분석을 통한 결과, 3과목 사이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즉 정보를 잘하는 학생들은 과학과 수학에 뛰어나며, 수학성적이 뛰어나면 과학성적도 뛰어나다는 결론을 얻었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영재교육에 있어서 영재선발, 통합 및 융합교육과정 형성에 많은 도움이 되리라 기대한다.

수학적 정량평가 모델을 이용한 두부의 유통기한 예측 모델의 개발 (Development of Shelf-life Prediction Model of Tofu Using Mathematical Quantitative Assessment Model)

  • 신일식
    • 식품산업과 영양
    • /
    • 제10권1호
    • /
    • pp.11-16
    • /
    • 2005
  • 식물성 단백질의 주요 공급원이며 우리나라 전통식품 중의 하나인 두부의 유통기한을 정량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수학적 모델을 개발하고자 온도와 초기균수에 따른 두부 부패세균의 성장 실험 결과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이를 바탕으로 균의 성장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수학적 모델을 개발하였다. 근의 증식 지표인 최대증식속도상수(k), 유도기(LT), 세대시간(GT)은 온도에 지배적인 영향을 받았으며, 초기균수에 따른 유의 적 인 차이 는 없었다(p<0.05). 최대증식속도상수와 온도 및 초기균수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수학적 정량평가모델인 square root model을 이 용하여 두부 부패 세균의 성장을 정량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모델$({\surd}{\kappa}=0.016861(T+6.87095))$을 개발하였으며 실험치와 예측치의 상관계수는0.969이었다. 이 예측 정량평가모델로부터 예측한 최대증식속도상수와 두부의 관능적 부패시 점을 반영 한 Gompertz 변형 모델을 이용하여 두부의 유통기한을 예측할 수 있는 모델$(Spoilage-critrion(hr)=\frac{2{\times}Ln2+Ln[(Nmax/No)-1])}{k}$을 개발하였다

  • PDF

노 코드 데이터 분석 도구를 활용한 정보·수학·과학 융합교육 교양 강좌 개발 (Development of the Liberal Arts Course for Informatics, Mathematics, and Science Convergence Education using No Code Data Analysis Tool)

  • 이소율;이영준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3년도 제67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31권1호
    • /
    • pp.447-448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비전공자들을 위한 디지털 교육을 위하여 노 코드 프로그램을 활용한 정보, 수학, 과학 융합교육 교양 강좌를 개발하였다. 노 코드 프로그램으로는 오렌지3 데이터 마이닝을 선정하였는데, 이는 데이터 분석, 시각화, 머신러닝 모델의 활용이 용이하다는 강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산업환경 변화에 대비하는 핵심 교과인 과학, 수학, 정보의 중요성과 데이터 분석과의 밀접성을 고려하여 교육 내용을 융합할 수 있도록 선정하였다. 개발된 교육 프로그램은 8인이 전문가 검토 결과 내용 타당도가 확보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추후 연구에서는 이 강좌를 대학의 학부생에게 적용하여 그 효과성을 확인해 보고자 한다.

  • PDF

황금비와 수학교육 담론 (The golden ratio and mathematics education issues)

  • 박제남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8권2호
    • /
    • pp.281-302
    • /
    • 2014
  • 우리는 본 연구에서 황금비의 역사, Markowsky의 황금비 판단 기준, 그리고 황금비에 대한 오해를 알아보았다. 쿠푸왕의 대 피라미드에는 황금비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Markowsky의 주장에 반하여 필자는 황금비의 존재를 주장하였다. 초 중등 교과서와 수학사 관련 국내 출판 책자에서는 황금비의 예로 쿠푸왕의 대 피라미드와 파르테논 신전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에 대한 잘못된 서술을 알아보고 황금비 지도의 대안으로 동적 조화 입장에서 현대 산업 디자인, 항공공학, 건축 디자인, 스크린 디자인 등의 예를 제시하였다. 또한, 기축시대가 우리나라 학교수학에 미친 영향을 탈레스와 황금비 중심으로 알아보았다.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 연구를 위한 이산수학 분야에 대한 연구 (A Study on Learning Program of Discrete Mathematicsfor Computer Software)

  • 전상표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235-242
    • /
    • 2011
  • 정보 통신분야의 발전과 성장, 신기술의 보급으로 인하여 컴퓨터 산업은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이런 변화의 초석이 되는 소프트웨어 분야의 중요성은 점차 강조되고 있다. 소프트웨어 분야 연구의 기본 이론인 수학과 통계학의 중요성의 인식도 증대하고 있고, 수학의 분야 중에서도 이산수학에 대한 이해는 상당히 중요해 지고 있다. 컴퓨터 공학의 소프트웨어 분야에서의 기존 지식을 이해하고 미래에 다양한 분야에 응용하여 신기술을 개발하고, 연구를 하기 위한 기본적인 이산수학분야의 이해가 필수적이다. 이산수학에서 배워야 하는 분야와 내용에 대한 표준안도 아직 정립되지 않았고, 관련되는 내용이 방대 하여 교육이 적절치 않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트랙별 연구에 관련성이 높은 이산수학 분야를 세분 설정하고, 연관성이 많은 부분을 선택 하여, 분야별 특성에 맞는 연구가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고, 급변하는 관련 분야의 응용에 대처 할 수 있는 수학 교육방법론을 제시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