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산림복지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25초

생애주기별 산림복지시설의 특성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analysis for the Facilities of the Korea Forest Welfare for Life Cycle)

  • 박범진;염동걸;김세빈;권치원;정다워;김건우;최윤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4권2호
    • /
    • pp.285-293
    • /
    • 2015
  • 본 연구는 한국의 '생애주기별 산림복지' 시설사례들에 대한 연구를 통해 국내 산림복지시설의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산림복지 정책에 적용시킬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여러 가지로 산재해 있는 생애주기별 산림복지 시설사례들의 통계자료들을 하나로 통합하여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생애주기별 산림복지 시설의 특성에 대해서 살펴보면 첫째, 각 생애 주기에 해당하는 산림복지 시설들 간의 양적인 불균형이 나타나고 있다. 둘째, 생활권 주변 숲에 위치한 시설이 부족하다. 셋째, 시설들이 대부분 국공유림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특성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관련정책에 적용시킬 수 있는 제언을 할 수 있다. 첫째, 각 생애주기의 수요에 맞게 필요한 시설들을 골고루 설치할 필요가 있다. 둘째, 좀 더 생활권에 가까운 곳에 산림복지 시설을 만들어 접근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셋째, 우리나라는 산림의 대부분이 사유림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현재의 상황은 더 많은 국토를 고르게 활용하여 국민에게 산림복지의 혜택을 제공할 경우보다는 불리한 측면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민간자본의 도입을 확대하고 사유림을 활성화시켜, 더 많은 사람들에게 산림복지의 혜택을 제공하고 국 공유 및 사유림 산림복지시설의 양적인 균형을 맞추기에 유리한 조건을 형성 필요가 있다.

산림복지시설별 이용객 특성과의 관계 분석: 대응분석을 중심으로 (An Analysis the Relationship between User characteristics by Forest Welfare Facilities: Focusing on Correspondence Analysis)

  • 김동훈;강병훈;이은지;강희지;이정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3권1호
    • /
    • pp.1-13
    • /
    • 2024
  • 본 연구는 산림복지시설과 이용객 특성 간 연관성 및 결합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2022 산림복지 시설·공간 이용객 실태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국립자연휴양림, 국립숲체원, 국가숲길, 국립치유의숲 등 4개 시설을 대상으로 범주형 자료분석인 대응분석을 실시하였다. 교차분석 결과, 산림복지시설별 연령대, 월평균 가구소득, 교통수단, 동반유형, 정보습득 경로, 방문목적은 고도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대응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숲체원과 치유의숲이 연령대, 월평균 가구소득 등 인구통계학 특성에 따라 그 외 산림복지시설과 구별된 이용 양상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숲길 이용객의 교통수단은 그 외 산림복지시설과 차이점을 보였으며, 숲체원은 공적인 성격의 단체방문 유형과 관련기관 및 시설 홈페이지 및 온라인 포털사이트로부터 정보 습득, 그리고 교육 및 학습·체험교육 프로그램 참여 목적과 연관성을 보이는 등 동반유형, 정보습득 경로, 방문목적이 그 외 산림복지시설과 구별된 양상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산림복지시설과 이용객 특성 간 연관성과 결합 양상이 확인되었으며, 대응분석을 통해 산림복지시설 이용객 자료 활용성의 범위를 확장하였다고 판단된다.

장기체류 산림치유프로그램이 이용객의 긍정·부정 감정과 신체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ong-Term Stay Forest Therapy Program on User's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and Physical Changes)

  • 이범;박충희;박수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9권4호
    • /
    • pp.544-552
    • /
    • 2020
  • 본 연구는 국립산림치유원에서 2019년 진행된 장기체류 산림치유프로그램 「숲 속 힐링스테이」에 참가한 49명을 대상으로, 참여 전·후 설문조사 및 혈압, 체성분, HRV 등 신체변화를 측정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분석했다. 연구결과, 장기체류 산림치유프로그램 참여 후에 참여자의 부정감정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자율신경 균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진되어 긍정적인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병력 유무에 따른 체력측정 변화를 살펴본 결과 악력 및 제자리높이뛰기 증가 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병력이 있는 사람들이 병력이 없는 사람들에 비해 증진 효과가 더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단기형 프로그램 효과검증에서 벗어나 6박7일 장기체류 형태의 산림치유 효과성을 확인한 것에 그 의의가 있다.

산림휴양복지 수요자에 대한 시장 세분화 연구 (Market Segmentation to Identify Forest Recreation Welfare Consumers)

  • 변승연;허성윤;구자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2권2호
    • /
    • pp.248-257
    • /
    • 2023
  • 최근 소득수준 향상, 유연근무제 확산 등 다양한 이슈로 인하여 산림휴양복지에 대한 수요 및 이용 패턴의 변화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산림휴양·복지 시장 전반에 대한 세분화를 통해 각 유형별로 어떤 특성이 있는지 규명하고, 이에 따른 유형별 차별화된 정책 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잠재계층분석을 통하여 산림휴양·복지 활동 경험 유형을 4개의 그룹(소극적 이용형, 보통형, 적극적 애호가형, 무관심형)으로 세분화하고, 다항로짓모형을 이용하여 그룹 간 차이의 원인을 인구사회경제학적 특성을 통해 살펴본다. 연구 결과에 기반하여 3가지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산림휴양 복지를 경험하는 그룹이 세분화되어있다는 것이다. 둘째, 산림활동 경험 유형별 그룹을 구분 짓는 사회경제적 특성이 규명되었다는 것이다. 셋째, 산림휴양복지 경험을 높일 수 있는 정책적 대상 및 특성을 규명하였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그룹별 차별화된 정책을 제시하고, 바람직한 그룹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정책수단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산림법제도의 변천과 산림전문가 양성의 체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s in Forest Laws and System of Forest Specialists)

  • 윤종면;김동필;김영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9권6호
    • /
    • pp.1-15
    • /
    • 2021
  • 본 연구는 산림청 소관 법령분석을 통해 법제도에 의해 양성되는 산림전문가를 고찰했다. 특히, 산림관련 법률의 변천과정과 산림전문가를 양성하는 법률을 파악하고, 산림정책 분야에 따른 산림전문 인재 양성에 관한 변화 및 특성을 규명했다. 그 결과, 산림산업 정책에 관한 산림전문가는 임야를 가지고 임업진흥을 위한 임업후계자와 산림산업 발전을 위한 기술능력을 갖춘 산림기술자가 있으며, 목재의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한 법률 개정에 따라 목구조기술자, 목재등급평가사, 목재교육전문가를 별도로 양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림복지 정책에 관한 산림전문가는 산림에 설치하는 산림문화 휴양시설, 치유의 숲, 산림레포츠시설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전문 교육과정을 이수하는 산림전문가를 양성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산림복지전문가와 산림레포츠지도사가 있다. 산림복지전문가는 산림교육전문가와 산림치유지도사로 구분되며, 산림교육전문가는 숲해설가, 유아숲지도사, 숲길등산지도사로 구분하고 있다. 산림보호 정책에 관한 산림전문가는 수목원과 정원의 효율적 관리 및 전시를 위한 수목원·정원 전문가와 수목진료를 위한 나무의사와 수목치료기술자를 양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무의사와 수목치료기술자는 수목피해 진단 및 치료를 위한 나무병원업을 운영하기 위해 필요한 자격조건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산림청은 임업 진흥 및 산림산업 발전과 수목진료를 위한 기술능력을 갖춘 산림전문가와 산림 내 문화·휴양·치료·보전 등의 시설에서 교육 및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산림전문가를 양성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산림정책융합에 관한 연구 : 산림이용·개발 및 보전의 융합패러다임으로의 변화 (A Study on the Policy Convergence of Forest Policy : A Paradigm Sift to Convergence between Forest Development and Preservation)

  • 장제원;박용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6호
    • /
    • pp.13-28
    • /
    • 2015
  • 산림의 경제적 가치의 중요성에 따라 산림이용과 개발의 패러다임이 산림정책의 지배적 패러다임으로 등장하였다. 산림이 웰니스의 중요한 수단으로 인식되면서 이용과 보전의 융합이 모색되었고 산림정책의 패러다임도 산림을 이용한 휴양, 복지 및 웰니스(wellness) 등 새로운 정책가치들을 지향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산림정책에 새로운 가치들이 어떻게 융합되었는지를 컨텐츠 분석과 네트워크 분석이 결합된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제4차 산림기본계획에 비해 제5차 산림기본계획에서는 임산물 생산에서 벗어나 산림이용과 산림휴양기능이 강화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산림을 통한 치유, 건강, 산림의 복지적인 기능 등에 대한 정책과 산림이용과 보전이 융합된 경영기반 마련에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국의 산림정책에서 지속가능한 융합패러다임이 보이고 있다. 정책적 함의로서 국가산림기본계획 수립에 있어 산림이용과 보전을 융합할 수 있는 정책역량의 강화가 필요하다는 점을 제시할 수 있다.

노인요양시설의 산림복지서비스 인프라 및 제공 실태 (An Analysis of Infrastructure and Provision of Forest Welfare Service in Nursing Homes for the Elderly)

  • 이인숙;김성재;방경숙;이윤정;김미주;문효정;연평식;하이얀;진영란
    • 한국산림휴양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59-69
    • /
    • 2018
  • 우리나라 노인요양시설의 산림복지서비스 인프라 및 서비스 실태, 관련 인식을 조사하여 산림복지서비스 활성화 방안을 제시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전국 노인요양시설을 대상으로 2016년 8월 한 달간 우편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한 123개 기관의 설문지를 분석하였고, 응답자는 대부분 원장 혹은 사무국장이었다(75.0%). 복합건물의 일부 층을 사용 중인 노인요양시설(16.3%)은 시설 내에 산림복지서비스 인프라를 갖추기 힘들 것으로 사료되고, 인근에 숲이 없는 경우(약 30%)와 숲이 있더라도 휠체어나 경사로가 없는 경우가 많아 이용에 제약이 많았다. 노인요양시설 운영자들도 산림복지서비스가 노인에게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고 인식하지만, 장기요양보험 급여의 필수항목은 아니고, 비용과 노력이 많이 소요되면서도 낙상, 이식증 등 사고위험이 있어 수행하지는 못하고 있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노인요양시설을 평가할 때, 숲 등 산림치유적 요소를 갖추었는지를 평가할 필요가 있다. 시설 내 정원에 화장실 접근성을 높이고, 시설 인근 숲에 휠체어 진입이 가능한 통로와 리프트 이동로, 안전손잡이를 설치하는 등 산림복지서비스가 가능한 환경으로 조성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정부는 노인요양시설 산림복지서비스 가이드라인을 개발 보급하여 시설 내외부에서 간편하게 따라할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생의 마지막 단계에 있는 노인요양시설 입소노인에게 신체적 정신적 편안함과 적절한 인지자극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치유의 숲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활동 내용 분석 (Analysis on Activities of Forest Healing Program in Healing Forests)

  • 홍재윤;이정희
    • 한국산림휴양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9
    • /
    • 2018
  • 본 연구는 2015년 8월부터 2016년 4월까지 산림청이 조사한 국유치유의 숲에서 진행된 프로그램 활동내용을 분석하여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질적 향상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조사된 치유의 숲에서 진행된 프로그램 활동내용 DB자료 99개를 수집하여 활동내용을 확인하고, 조사 양식에 따라 대상자, 6대 요법(인자), 장소, 계절, 시간대, 운영시간, 다면평가에 따라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산림치유 프로그램 활동을 구성할 때 대상자는 대체로 일반적인 대상을 상대로 구성하며, 6대 요법 중 가장 많이 고려된 인자는 정신건강인자였다. 장소는 치유숲길을 가장 많이 활용하였으며, 계절은 봄 여름 가을, 시간대는 오전 오후 모두 가능한 활동이 대부분이었다. 또한, 1개 활동의 운영시간은 60분이, 다면평가에서는 동적인 활동이 프로그램 개발 시 가장 선호되었다. 개발된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활동내용을 분석한 결과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질적 향상을 위하여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산림치유지도사의 세분화된 전문성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질환별 산림치유 효과에 대한 연구가 먼저 선행되어야 입증된 연구를 바탕으로 전문성을 갖출 수 있을 것이다.

산림치유프로그램이 사회복지전담공무원과 정신보건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와 기분상태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a Forest Healing Program on Public Servants in Charge of Social Welfare and Mental Health Care Workers's Job Stress and the Profile of Mood States (POMS))

  • 신창섭;연평식;김영규;엄재옥;임영란;윤수복;박석희;김인옥;이상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4권2호
    • /
    • pp.294-299
    • /
    • 2015
  • 본 연구는 산림치유프로그램이 직무스트레스와 기분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이루어졌다. A시의 사회복지전담공무원 38명과 C도의 정신보건종사자 24명을 대상으로 1박2일의 산림치유프로그램이 실시되었으며, 사전-사후의 설계에 의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결과 사회복지전담공무원과 정신보건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는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기분상태 요소인 긴장-불안, 우울, 분노, 곤란, 피로는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활기는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그러므로 산림의 치유기능이 활용된 산림치유프로그램이 직무스트레스 뿐만이 아니라 소진예방프로그램으로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