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산란능력

검색결과 263건 처리시간 0.023초

농장탐방 - 자기 농장에 맞는 운영체계가 핵심

  • 최인환
    • 월간양계
    • /
    • 제43권11호
    • /
    • pp.158-161
    • /
    • 2011
  • 지난 8월 3일 서초구 소재 축산회관 회의실에서 '2011 우수종계장 인증 현판 전달식'이 개최되었다. 선정기준은 분양검정, 방역위생, 경영개선, 사육입지, 능력검정실적 등 서류 및 현장 실사를 통해 종합평가를 실시했고, 우수종계장 인증을 신청한 4개소 가운데 2개소(산란종계 1개소, 육용종계 1개소)의 우수종계장이 선정되었다. 이중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에 위치한 (주)마니커농산 문경지점(육용종계)을 방문하였다.

제6회 산란계 경제능력 검정 성적 발표 (1971.4.1~1972.8.15 : 500일간)

  • 사단법인 한국가금협회
    • 월간양계
    • /
    • 제4권10호통권36호
    • /
    • pp.34-46
    • /
    • 1972
  • 1. 육추율 육성율 성계생존율 육추율 99.7$\%$는 1회 98.5$\%$, 2회 99.2$\%$, 3회 99.8$\%$, 4회 98.3$\%$ 5회 98.7$\%$와 근사하다. 육성율 평균 87.1$\%$는 1회 97.5$\%$, 2회 97.2$\%$, 3회 96.6$\%$, 4회 97.9$\%$에 비하여 10$\%$정도 낮으며 5회 89.7$\%$보다도 2.6$\%$ 낮은데 이는 근년 많이 발생하는 마렉병 및 백혈병이 주원인이며,(7회 검정계 부터 마렉병 예방접종)현 김포검정사 신축이 장마로 인하여 지연되므로서 더욱 임시육추사에서의 육성기간에 스트레스를 받았기 때문이며 성계생존율은 평균 75.3$\%$이며, 1회 80.3$\%$, 2회 84.8$\%$, 3회 71.8$\%$, 4회 87.3$\%$, 5회 71.4$\%$ 이었다. 이를 폐사원인별로 보면 세균성 질환으로 인한 폐사가 전체폐사수의 8.9$\%$ 병독(마렉병 및 백혈병)이 61.5$\%$원충 0.7$\%$ 대사장애 9.2$\%$ 생식기장애 3.4$\%$ 내장파열(간파열 탈항등) 5.7$\%$ 곰팡이 1.1$\%$ 기타(복막염 장염등) 9.5$\%$로 마렉병 및 백혈병이 주인이며 이를 검정각회별로 보면 1.2회 32.3$\%$, 3회 43.3$\%$, 4회 41.3$\%$, 5회 56.2$\%$, 6회 61.5$\%$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 2. 성성숙일령 전체평균 155.9일로 가장 빠른 구는 4구의 144일이고 가장 늦은 구는 23구의 166일이며 1일 189.2일, 2회 181.2일 보다 30일 정도 빨라진 것은 1.2회 검정은 산란율 50$\%$ 연2일 산란한 전일로 계산하였으며 3회 검정부터는 산란율 50$\%$에 달한 일령으로 계산하였기 때문이다. 3. 산란율 산란지수 산란율 평균 64.6$\%$이고 최상위구는 77.1$\%$, 최하위구는 52.8$\%$이며 유색품종 평균산란율은 58.4$\%$ 백색품종은 66.6$\%$이며 성성숙일령이 빨라짐에 따라 전체산란율은 약간 떨어지고 있다. 산란지수-평균은 189.7개로 200개 이상 산란한 상위군이 모두 성계생존율이 높은 구임을 알 수 있다. 4. 사료요구율 전체평균 2.8로 1회 3.54, 2회 3.1., 3회 3.98 4회 2.87, 5회 2.83으로 점차 개선되어 가고 있으며 유색품종의 사료요구율 평균은 3.3이었다. 5. 난평균중량 평균 58.4g로 최상위구는 60.8g, 최하위구는 56.6g 이며 국산계의 평균난중은 57.9g 외국제 평균난중 58.6g이었다. 6. 체중 평균체중은 300일령 2,117.g, 500일령 2,207이며 유색품종은 300일령 2.6160g, 500일령 2.656.7g이었다. 7. 사료 섭취량 사료섭취량 평균은 1일수당 육추기 33.6g, 육성기 68.5g, 산란기 109.9g이었다. 8 경제성 총수입은 2,539,799 으로 전체수입의 85.3$\%$가 계란수입이고, 폐계 수입은 14.7$\%$이다. 지출은 총계 1,854.517원으로 전체 지출의 92.5$\%$가 사료비, 7.5$\%$가 초생추대이었다. 9. 후기 마렉병 백신이 71년 중반기부터 수입되므로써 마렉병 예방접종을 하지 못하므로서 전체 폐사 수의 61.5$\%$를 차지하는 많은 피해를 보았다.

  • PDF

성전환 및 염색체 공학 기법을 이용한 초수컷(YY) 및 초암컷(${\Delta}$YY) 나일틸라피아(Oreochromis niloticus) 생산 -IV. 초암컷을 이용한 수컷 자손 집단의 대량 생산 (Production of Supermale(YY) and Superfemale(${\Delta}$YY)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by Sex Reversal and Chromosome Set Manipulation -IV. Large Scale Production of Male Seeds with Superfemale)

  • 노충환;남윤권;김동수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31-338
    • /
    • 2000
  • 본 연구는 초암컷을 이용한 나일틸라피아의 전수컷 자손 집단 생산 기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수행되었으며, 초암컷과 성전환 수컷(실험구) 그리고 정상 암컷과 정상 수컷(대조구)을 자연 교배시킨 후 실험구와 대조구의 종묘생산량과 생산된 종묘 성비를 조사하였고, 초암컷과 정상 암컷의 산란 주기 및 산란 회수를 비교하였다. 대조구에서 생산된 자손의 수컷률은 53.2${\pm}$10.2%였음을 비해 실험구에서는 93.5${\pm}$6.4%의 수컷 자손 집단이 생산되었다. 60일 동안 초암컷은 총 산란 회수는 19회로서 정상 암컷의 24회에 비해 적었으나, 산란한 개체의 평균 산란 주기는 초암컷과 정상 암컷이 각각 21.4${\pm}$10.4일 및 21.1${\pm}$9.2일로서 차이가 없었다. 종묘 생산량에 있어서 실험구는 3,085${\pm}$562.9 마리로서 대조구의 3,797${\pm}$636.4 마리와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수용한 암컷 마리당 일간 종묘 생산량과 암컷 어체중당 일간 생산량에 있어서도 실험구와 대조구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초암컷은 성전환 수컷과의 교배에서 높은 수컷률을 보이는 자손 집단을 생산하였고, 정상적인 산란 능력을 가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초암컷을 이용한 수컷 자손 집단의 대량 생산은 양식 생산성 향상을 위해 매우 유용한 방법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 PDF

제7회 산란계 경제 능력검정 성적 (1972. 4. 1~1973. 8. 15 : 500일간)

  • 대한양계협회
    • 월간양계
    • /
    • 제5권10호통권48호
    • /
    • pp.57-72
    • /
    • 1973
  • 1. 육추율, 육성율, 성계생존율 육추율은 99.9$\%$로서 1회 98.5$\%$, 2회 99.2$\%$, 3회 99.8$\%$, 4회 98.3$\%$, 5회 98.7$\%$, 6회 99.7$\%$와 비슷하였다. 육성율은 평균 98.8$\%$로서 1회 97.5$\%$, 2회 97.2$\%$, 3회 96.6$\%$, 4회 97.9$\%$와는 큰차가 없었고 5회 89.7$\%$ 6회 87.1$\%$ 보다는 약 12$\%$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MD 백신접종 때문인 것으로 생각되며 성계생존율은 평균 86.3$\%$로서 87.3$\%$ 보다는 약 1$\%$낮았고 1회 80.3$\%$ 2회 84.8$\%$보다는 약 4.6$\%$ 높고 3회 71.8$\%$, 5회 71.4$\%$, 6회 75.3$\%$에 비하면 19$\%$나 높았다. 2. 성성숙일령 전체평균은 157.3일로 가장 빠른 구는 4구의 146일이고 가장 늦은 구는 10구와 17구의 161일이였다. 3. 산란율, 산란지수 산란율은 평균 62.0$\%$이고 가장 높은 구는 15구의 68.9$\%$ 이였다. 산란지수는 평균 205.1개로 1회 190.8, 2회 198.3, 3회 184.2, 5회 186.5, 6회 189.7개에 비하여 높고 4회때와 근사하였다. 4. 사료요구율 전체평균 3.23으로 1회 3.54, 2회 3.1과는 근사하나 3회 2.98, 4회 2.87 5회 2.83에 비하여 낮은 것은 사양표준은 작년도와 같으나 원료사료 특히 단백질 사료의 품질저하에 원인이 있었다. 5. 난평균 중량 검정계군 전체의 평균난중은 61.2g으로 최상위구는 64.70g, 최하위구는 58.3g이였다. 6. 체중 검정계의 전체의 평균제중은 300일령 1925.1g, 500일 1938.4g이며 유색품종은 300일령 1986.7g, 500일령 1948.4g이였다. 7. 사료섭취량 사료섭취량 평균은 1일수당 육추기 32.1g 육성기 73.0g 산란기 115.6g이었다. 8. 경제성 총 수입은 7,269,072.34으로 전체수입의 85$\%$가 계란수입이고 15$\%$는 폐계수입이었다. 지출은 5049,690으로 전체 지출의 99.95$\%$가 사료비 0.05$\%$가 초생추대이었다. 9. 후기 검정수수미달은 참고구로 처리하였고 축산시험장과 대천종축장에서는 당초부터 참고구로 출품하였다. 대신의 개리슨, 신기의 하바드 코메트는 수정율이 낮아서 검정수수가 미달되었으며 영국의 Sykes International Co. 에서 출품한 Sykes Tinted(WL$\times$RIR BX)는 출품회사에서 직접 종란을 항공편에 보내 인수 부화하여 검정하였다. 7회 부터는 초생추에 MD(뎁타백) 백신을 하여 초산전후에 폐사율이 적었으며 72년 11월부터 국산어분에 의한 염도의 과다에 의하여 약 2주일 설사를 하여 상당히 스트레스를 받은 바 있었다.

  • PDF

고온 스트레스기에 비태인의 사료첨가가 산란계의 생산성 및 계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Dietary Supplemental Betaine on Performance and Egg Quality of Laying Hens during the Heat Stress)

  • 류경선;류명선;신원집;조기행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17-124
    • /
    • 2002
  • 비태인은 세포에서 삼투압 조절인자로 작용하며 콜린 대체와 체지방 감소 효과를 가진다. 따라서 고온 스트레스 기간에 비태인의 수준별 급여가 산란계의 생산성 및 관련되는 생리적인 인자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8주간 사양실험을 시행하였다. 사료는 조단백질 16.00%, 대사에너지 2,800 kcal/kg수준으로 급여하였다. 사료에 비태인의 급여수준은 0, 500, 1,000, 2,000pprn으로 하였으며, 처리구당 반복은 4반복, 반복당 수수는 18수씩 배치하였다. 산란율, 사료섭취량, 사료요구율은 4주 단위로 측정하였으며, 계란의 품질과 간의 비태인 함량, 혈중 콜레스테롤, 회장 내용물의 삼투압은 실험 종료시에 측정하였다. 산란율은 처리구간에 일관성이 없었지만 비태인 500과 2,000ppm처리구에서 75.06과 75.02%로서 대조구의 72.62%보다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사료요구율은 각각 2.203, 2.125 로서 대조구의 2.374보다 현저하게 개선되었다(P<0.05). 난각강도는 비태인 처리구에서 대조구보다 현저하게 높거나 (P<0.05) 개선되는 경향을 보였지만, 난백고와 호유닛은 대조구와 동일한 경향을 나타냈다. 간에서 비태인 함량은 사료내 비태인의 수준에 비례하여 선형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비태인 2,000ppm 처리구는 대조구보다 현저하게 높았다 (P<0.05). 혈중 콜레스테롤과 triacylgycerol는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비태인 처리구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회장 내용물의 삼투압은 비태인 급여 구에서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본 연구의 결과 고온 스트레스기에 비태인의 첨가.급여는 산란계의 생산능력을 개선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난각의 품질을 개선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콩명나방(Maruca vitrata) (나비목: 포충나방과) 발육과 산란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 (Effects of Temperature on the Development and Fecundity of Maruca vitrata (Lepidoptera: Crambidae))

  • 안정준;김은영;서보윤;정진교;이시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1권4호
    • /
    • pp.563-575
    • /
    • 2022
  • 콩명나방은 콩과작물 특히 팥을 가해하는 해충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콩명나방의 생물적 특징을 알아보기 위해 발육단계별 발육기간, 성충의 수명과 번식능력을 13, 16, 19, 22, 25, 28, 31, 34℃ 항온조건에서 조사하였다. 알은 모든 항온조건에서 부화하였고 유충은 16~31℃ 온도조건에서 성공적으로 성충까지 발육을 완료하였다. 알의 발육기간은 31℃까지 온도가 상승할수록 짧아지다가 이후 온도에서 길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유충, 번데기의 발육기간과 성충수명은 온도가 상승할수록 감소하였다. 콩명나방 발육단계별 발육 최저, 최고 한계는 LRF와 SSI모델을 이용하여 계산하였고 발육영점온도와 유효적산온일도는 선형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1령 유충 부화부터 성충출현까지의 발육영점온도와 유효적산온일도는 12.8℃와 280.8DD였다. SSI모델을 이용하여 추정한 부화부터 성충출현까지 발육최저 및 최고온도는 14.2℃과 31.9℃였고 이들간의 차이 즉 발육적정온도범위는 17.7℃였다. 온도와 관련된 콩명나방 성충의 생존, 수명, 산란기간, 산란수 자료들을 이용하여 산란모형을 작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온도발육모형과 산란모형은 야외에서 콩명나방의 개체군동태를 이해하고 콩과작물의 종합적인 해충군관리체계 확립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온도에 따른 등검은황록장님노린재 (Cyrtorhinus lividipennis Reuter)의 벼멸구 알에 대한 포식습성 (The Predatory Behavior of Green Mirid Bug, Cytorhinus lividipennis Reuter, on Brown Planthopper Eggs in Different Temperature Conditions)

  • 송유한;하태기;정대열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34-242
    • /
    • 1995
  • 멸구류 포식성 천적인 등검은황록장님노린재의 온도에 따른 벼멸구 알 공격능력과 기능반응의 변화를 20, 23, 26, 29, 32, $35^{\circ}C$ 등 6개 온도에서 검정하였다. 등검은 황록장님노린재는 산란된지 1일에서 4일된 이런시기의 벼멸구 알을 선호하였으며, 이중 3일된 벼멸구 알을 가장 선호하였다. 등검은황록장님노린재의 벼멸구 알에 대한 포식능력은 Holling의 제2형 기능반응의 Rogers(1972) 진정포식자 모형에 잘 부합되었다. 기능반응의 포식자 탐색율(a)은 $32^{\circ}C$까지는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35^{\circ}C$에서는 급격히 감소하였다. 그러나 처리시간(Th)은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완만히 감소되었다. 등검은황록장님노린재의 벼멸구 알에 대한 온도별, 밀도별 공격위치의 선호성은 일반적으로 저밀도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고밀도에서는 위쪽에 산란된 알을 더 선호하는 경향이었으며 특히 온도가 높아짐에따라 이러한 경향이 더욱 뚜렷이 나타났다.

  • PDF

담팔수깍지벌레의 발육과 증식능력 (Development and Reproductive Capacity of Protopulvinaria mangiferae (Green) (Homoptera: Coccidae))

  • 김종국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43-47
    • /
    • 1997
  • 담팔수(Elaeocarpus sylvestris va. ellipticus Hara)를 기주로 하여 담팔수깍지벌레(Protopulvinaria mangiferae (Green))의 발육속도 및 증식능력을 조사하였다. 본 깍지벌레의 1령약충기부터 산란전성충기까지 발육소요일수는 온도가 상승할수록 짧았으며, 발육한계온도는 11.7$^{\circ}C$, 유효적산온도는 1000.0일도 이었다. $25^{\circ}C$, $30^{\circ}C$ 항온, 60-70% RH조건하에서 부화율은 각 온도구 모두 99% 이상으로 높았다. 산란전성층까지의 생존율은 $25^{\circ}C$에서 82%, $30^{\circ}C$에서 60%이었으며, 1령약충(neonate crawler)기의 사망률이 가장 높았다. 성충체로부터 1령약충의 이탈기간은 $25^{\circ}C$에서 50일 $30^{\circ}C$에서 33일간 이었으며, 이 기간 중 총이탈약충수의 50%이상이 분산기간 초기에 발생되었다. 발육기간 및 영별생존율 및 출생수를 이용하여 산출한 순번식율(${R}_{o}$), 평균세대기(T) 및 내적자연증가율은(${r}_{m}$)은 $25^{\circ}C$에서 각 132.6, 76.2, 0.064/암컷/일로 $30^{\circ}C$구 보다 높았다.

  • PDF

산란계의 육성기 제한 급여가 생산성 및 계란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stricted Feeding during Growing Period on Laying Performance and Egg Quality in Layers)

  • 강환구;조재훈;김지혁;강근호;유동조;나재천;김동욱;이상진;김인식;김상호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63-69
    • /
    • 2008
  • 본 연구는 1일령 갈색 산란계 Isa-Brown을 3처리, 6반복으로 반복 당 60수씩 총 1,080수를 공시하여 각각 육성기에 제한 급여를 실시한 후 산란 시기에 산란율, 사료 섭취량, 사료요구율 및 계란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산란기간 동안 제한 급여 처리구에서 산란율, 난중 및 산란 지속성 등이 대조구에 비해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나, 사료 섭취량 및 사료 요구율에서는 다른 처리구와 비교하였을 때 T1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P<0.05). 계란 품질에서는 각각의 처리구간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산란계에서 육성기의 제한 급여는 자유 채식에 비해 뚜렷한 유의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전기간 생산성에서 성적이 향상되어짐을 나타났는데, 초생추 이후 $6{\sim}18$주령까지 사료 급여를 제한하였던 T1의 성적이 가장 좋게 나타나, 육성기 제한 급여 기간이 길더라도 산란 능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이는 제한 기간 동안 성장이 적절히 이루어졌으며 부족한 부분은 보상 성장을 통해 확보되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하지만 적정 급여 수준 및 급여 강도에 대한 연구는 현재까지도 미흡한 실정이며, 추후 제한 급여에 관한 좀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겠다.

토종오리 대형종의 산란중기(30~50주령) 생산 능력 (Performance of Middle Laying Period of Large-Type Korean Native Ducks)

  • 허강녕;추효준;김종대;김상호;김학규;이명지;손보람;강보석;최희철;이상배;홍의철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17-222
    • /
    • 2013
  • 본 시험은 토종오리 대형종의 산란중기 성적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공시동물은 A와 B계통의 30주령 토종오리 168수를 선별하여 이용하였다. 시험설계는 A와 B계통으로 나누어 비교하였으며, 계통 당 6반복, 반복 당 14수씩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평균체중, 사료섭취량 및 평균난중은 계통 사이에서 유의차가 없었다(P>0.05). 주령에 따른 평균체중은 주령이 경과함에 따라 낮아져서 42주령에 2,649 g으로 가장 낮았다(P<0.05). 사료섭취량은 체중과 마찬가지로 주령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42~46주령에 190.5 g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P<0.05). 평균난중은 A와 B계통 사이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주령에 따른 평균난중은 주령이 지날수록 유의적으로 높아졌으나, 사료섭취량이 감소된 시점인 42~46주령에는 83.8 g 가장 낮게 나타났다(P<0.05). 산란율은 46주령까지 A와 B계통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46~50주령에는 A와 B계통이 각각 66.3%와 80.4%로 B계통이 A계통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주령에 따른 산란율은 42주령부터 산란율이 낮아졌으며(P<0.05), 46~50주령에 A계통은 낮은 상태로 유지되었으나, B계통은 다시 산란율이 회복되기 시작하였다. 34주령과 38주령까지의 산란 수는 A계통이 각각 48.9와 71.6, B계통이 각각 55.0과 77.7로 B계통이 A계통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이후의 산란 수는 A와 B계통사이에서 유의차가 없었다. 주령별 산란 수는 주령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였다(P<0.05). 사료 요구율은 46~50주령에 A와 B계통이 각각 3.20과 2.70으로 A계통이 높게 나타났다(P<0.05). 그러나 46주령까지는 두 계통 사이에서 유의차가 없었다. 주령별 사료 요구율은 42주령까지 감소하다가 사료섭취량이 최저로 나타난 42~46주령에 높아졌으며, 이후로 다시 감소하기 시작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