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사회적 질

검색결과 2,127건 처리시간 0.033초

고령화 사회에서 한국인의 건강과 삶의 질 (Health and quality of life for Korean people in ageing society)

  • 서경현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2권5호_spc
    • /
    • pp.133-147
    • /
    • 2006
  • 한국 사회가 빠르게 고령화 사회가 되고 있다. 한국인들은 자신의 부모들 세대보다 더 오래 살아야 한다. 기대 여명이 증가하고 사회구조가 변하면서 사람들은 삶의 질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한국 사회에는 웰빙 붐이 일었다, 그리고 한국인들에게 질 높은 삶을 위해서는 건강이 필수라는 인식이 자리 잡았다. 이런 건강에 대한 관심은 건강행동들로 이어진다. 한국인들의 건강관련지출은 다른 선진국들보다 훨씬 적지만 계속 증가추세에 있고, 앞으로의 초과 지출에 많은 부분이 질병예방과 장기요양시설의 확충에 투자될 것이다. 서양과는 다른 문화권에서는 사는 한국인의 삶의 질의 구성요인과 건강행동은 서양인과 다른 점이 있을 것이다 선행연구들에서 삶의 질에 대한 중요도로 건강이 최우선 순위로 나타나지 않은 것이 건강이 삶의 질에 결정적인 요인이 아니라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건강은 삶의 질에 있어서 기본이다 .각종 질병에 의해 낮아진 삶의 질과 그것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다양한 연구들이 그것을 반증하고 있다. 건강 행동을 설명하는 모형들에서는 건강과 관련된 신념이나 태도 혹은 의도, 지각된 행동 통제력, 그리고 자기효능감 등이 중요한 요인으로 제시되었다. 나이가 들수록 신체적이고 생리적인 기능이 쇠퇴하고 만성질병에 걸릴 가능성이 높아지지만, 삶의 질은 그런 변화에 어떻게 반응하고 적응하느냐에 달려있다. 다른 어느 시기보다 노년기에서는 사회적 지원이 삶의 질을 위해 결정적인데, 특히 자녀로부터 지원이 중요하다. 자녀로부터의 지원은 한국 노인 개인의 자존감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가정에서의 불화를 타인에게 노출하기 꺼려할 수 있다. 자기노출을 꺼리는 것은 다른 사회적 지원의 통로를 차단하기도 하고 그 자체가 건강을 해칠 수 있기 때문에 심리적 개입이 요구된다. 한국인의 기대 여명이 크게 증가하였기 때문에 정책적으로는 장기요양시설이 확충되어야 하겠지만 심리적 사회적 지원이 필요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개인 혹은 사회의 건강을 도모하고 삶의 질을 개선하는데 심리학자들이 크게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이 국민들에게 충분히 알려져 있지 않다. 앞으로 심리학자들도 관심을 가지고 삶의 질과 관련하여 한국인의 건강에 적극적으로 개입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청소년의 지역사회 인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위축과 공동체 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the Perception of the Local Community on the Quality of Life of Adolescence: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Social Withdrawal and the Community Spirit)

  • 정일영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323-336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인식이 청소년의 삶의 질을 예측하는 경로과정에서 사회적 위축과 공동체 의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에 있다. 제시한 연구목적의 검증을 위해,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에서 배포한 아동·청소년패널(KYPS) 4차년도 자료에서 고교 1년생 총 2,000명을 연구대상으로 추출하였다. 본 연구는 분석방법으로 AMOS 18.0의 구조방정식 모형(SEM)이 적용되었으며, 매개경로의 유의도 검증을 위해 sobel test 방식을 응용하였다. 제시한 연구방법을 통해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 인식이 청소년의 삶의 질을 설명하는 적접경로의 효과성이 검증되었다. 둘째, 지역사회 인식이 사회적 위축과 공동체 의식을 매개하는 간접경로의 효과성이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본 연구는 청소년의 삶의 질을 위한 개입방법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안점을 제시하였다.

자궁경부암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치료관련 및 심리사회적 요인 (Medical-and-Psychosocial Factors Influencing on the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Cervix Cancer)

  • 전미선;이은현;문성미;강승희;유희석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3권4호
    • /
    • pp.201-210
    • /
    • 2005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자궁경부암 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치료관련요인과 심리사회적 요인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대상 및 방법: 경기도 A 대학병원에서 자궁경부암 진단을 받고 치료 중이거나 추후관리 중인 환자 147명을 대상으로 삶의 질과 심리사회적 변수(기분장애, 삶의 성향, 사회적 지지)에 대해 설문조사하였다. 그리고 치료관련 변수로 암의 병기, 치료방법, 추후관리기간은 의무기록을 통해 조사하였고 증상 경험은 설문조사하였다. 결과: 치료관련 변수들과 심리사회적 변수들은 자궁경부암 환자의 전체 삶의 질의 63.3%를 설명하였다($R^2=0.533$, F=16.969, p=.000). 암의 병기, 증상 경험, 기분장애정도, 사회적지지 중 가족지지, 그리고 삶의 성향은 자궁경부암 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유의한 요인이었으며 이 중 가족지지가 가장 영향력이 큰 변수였다. 결론: 자궁경부암 환자의 삶의 질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환자의 증상관리 뿐만 아니라 심리사회적 중재가 치료와 함께 병행되어야 하며 그 내용으로 기분조절, 사회적 지지, 삶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취하는 것이 포함되어야 한다.

중년남성의 주관적 삶의 질 모형 구축 (Development of the Structural Model of Middle-aged Men's Subjective Quality of Life)

  • 하태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5호
    • /
    • pp.125-135
    • /
    • 2016
  • 본 연구는 중년남성의 주관적 삶의 질을 통합적으로 설명하고 예측할 수 있는 모형을 구축함으로써 이에 영향을 주는 심리사회적 요인들을 밝혀내며, 변수들과의 관계를 규명하여 중년남성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간호중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 및 기본적인 틀을 제공하고자 시도된 구조회귀모형분석 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40세-59세 사이의 자녀와 직업이 있는 기혼의 중년남성 493명이며, 자료수집기간은 2011년 9월 10일부터 2011년 10월 31일까지였다. 자료분석은 SPSS 19.0과 Amos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지가 중년남성의 삶의 질에 직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들의 매개변인으로 가족의사소통, 직업만족도가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족의사소통은 직업만족도를 매개하여 삶의 질에 간접적인 영향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중년남성의 삶의 질 구조모형은 적합한 모형임이 실증적으로 검정되었으며, 중년남성의 주관적 삶의 질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구성의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중요성과 의의를 둘 수 있다.

농촌 여자노인의 BMI 및 사회경제적 수준에 따른 건강관련 삶의 질

  • 최정숙;권성옥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004년도 제17차 학술대회
    • /
    • pp.168-168
    • /
    • 2004
  • 평균수명과 노인인구의 증가로 단순한 수명 연장보다는 사는 동안 좀더 나은 신체적 기능을 유지하면서 건강한 삶을 살기를 원하게 되면서 건강관련 삶의 질이 매우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여자노인들을 대상으로 건강관련 삶의 질 실태를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제적인 요인을 분석하여 노년기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책이나 프로그램 개발에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중략)

  • PDF

한국 사회와 교육적 성취 (V): 교육적 성취를 통한 미래 한국 사회의 모색 (Korean society and educational achievement (V): The contribution of educational achievement for the future of Korean society)

  • 박영신;김의철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4권1호_spc
    • /
    • pp.427-468
    • /
    • 2008
  • 이 글에서는 교육적 성취를 통한 미래 한국 사회의 모습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의 선행연구들에서 밝혀진 경험과학적 결과들을 기초로 하여, 크게 네 가지 주제 즉 신뢰, 효능감, 삶의 질, 사회적 비전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첫째, 교육적 성취를 통해 신뢰에 기반하는 사회를 형성하는 것의 중요성을 논의하였다. 한국 사람들의 한국 사회에 대한 인식을 검토하고, 한국 사회의 다양한 기관들에 대한 신뢰 수준을 살펴본 결과, 한국 사회에서 신뢰의식의 구축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교육기관으로서 학교, 교육자로서 교사에 대한 신뢰도 마찬가지로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교육적 성취를 통해 효능감 있는 사회의 형성과 관련하여 논의하였다. 집단효능감의 개념을 탐색하고, 청소년기 집단효능감 및 성인들의 정치효능감에 대한 검토를 통해, 집단효능감 향상의 필요성이 시사되었다. 더불어 개인효능감의 측면에서는 교사효능감 및 자녀양육효능감의 개념구성과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셋째, 교육적 성취를 통해 삶의 질을 지향하는 사회로 나아가야함을 지적하였다. 한국 사회 구성원들이 추구하는 삶의 질의 현주소를 확인하고, 교육적 성취가 삶의 질에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학교생활에서의 삶의 질을 검토하고, 학생들의 스트레스 등 개인의 정신건강에 대한 배려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넷째, 교육적 성취를 통해 비전을 가진 사회로 발전해야 함을 논의하였다. 세대집단별 통일에 대한 견해와 남한 및 북한에 대한 의식 등을 검토함으로써, 국민적으로 합의된 비전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외에도 교육적 성취의 맥락에서 미래 한국 사회가 해결해야할 기타 과제들을 검토해 보았다. 이러한 논의들을 종합해 볼 때, 교육적 성취를 통해 미래 한국 사회를 구축해 나가는 과정에서 한국 사회의 현상들에 대한 토착심리적 접근과 이해의 필요성이 확인되었다.

  • PDF

노인 뇌졸중 환자의 여가형태에 따른 삶의 질의 차이 (Quality of life of Elderly Chronic Stroke according to types of leisure)

  • 고영경;김황용;이소연;손보영;방요순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5권1호
    • /
    • pp.117-124
    • /
    • 2011
  • 본 연구는 노인 뇌졸중 환자의 여가 형태에 따른 삶의 질의 차이를 파악하고, 건강한 삶을 위한 여가 수행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광주광역시 병원의 노인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직접 설문조사하였다. 일반적인 특성, 질병 관련 특성, 여가 관련 특성은 기술 분석을, 여가형태에 따른 횟수, 시간, 비용과 삶의 질은 t검정을, 교육, 목적 및 만족도는 카이제곱 검정을 실시하였다. 사회적 여가는 개인적 여가에 비해, 목적이 분명하고 긍정적인 경향을 보였으며, 삶의 질이 높았다. 반면 여가 시간은 짧았고, 많은 비용을 요구 하였다. 노인 뇌졸중 환자의 사회적 여가는 개인적 여가에 비해 수행에 제한 요인은 있었으나, 삶의 질을 향상을 위해 사회적 여가를 더욱 활성화시켜야할 것으로 생각한다. 그리고 사회적 여가의 관련 요인을 체계적으로 파악한 후속 연구를 통해 지지 전략을 제시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 (Quality of Life of Patients in Acute Stage of Stroke)

  • 김세주;김영신;최낙경;이윤영;이병철;이만홍
    • 정신신체의학
    • /
    • 제10권1호
    • /
    • pp.27-36
    • /
    • 2002
  • 연구목적: 뇌졸중은 개인의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만성 질환이다. 그러나 뇌졸중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 및 치료, 그리고 재활은 주로 신체적 측면에 집중되었고, 정선과적 측면과 삶의 질에 대한 고려는 많은 부분이 무시되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체적 영역, 심리적 영역, 사회적 관계 영역, 그리고 환경 영역을 평가하는 WHO 삶의 질 척도를 사용해 뇌졸중 환자들의 삶의 질을 정상인과 비교하고 뇌졸중 환자의 여러 임상 양상과 삶의 질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98명의 급성기 뇌졸중 환자들과 24명의 정상인을 대상으로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간편형 척도를 사용하여 각 영역과 총점의 평균을 비교하였다. 그리고 뇌졸중 환자군에서 나이, 성별, 교육수준, 우울 및 불안 증상의 정도, 신체적 장애의 정도 등과 삶의 질과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이들 요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다중회귀분석으로 평가하였다. 결과: 뇌졸중 환자군에서 정상군에 비해 전체 삶의 질 및 각 하위 영역 모두 낮은 삶의 질 수준을 보였다 우울 및 불안 증상, 사회적 지지체계의 정도는 전체 삶의 질 및 대부분의 하위 영역과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또한 뇌졸중 환자들 중 남자의 경우 여자에 비해 높은 삶의 칠 수준을 보였다. 그러나 Barthel's index로 평가한 신체적 장애의 정도는 삶의 질 수준과 유의한 상관성이 없었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우울 및 불안 증상의 정도, 사회적 지지체계의 정도, 그리고 성별이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추출 되었다. 결론: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은 정상군에 비해 저하되어 있었다. 또한 우울 및 불안 증상의 정도, 사회적 지지 체계의 정도, 그리고 성별이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 PDF

사회복지사의 전문성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사회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Effect of Professionalism of Social Workers on Service Quality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 정원희;최종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350-361
    • /
    • 2018
  •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전문성과 서비스 질의 관계에서 사회자본의 매개효과를 실증분석 하였다. 편의 표집방법으로 충청북도 지역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수집한 자료(276개 사례)를 활용하여 기술통계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기술통계 결과는 5점 리커트 척도에서 사회복지사 전문성 3.36, 사회자본의 하위유형 중 네트워크는 3.43, 신뢰는 3.67 및 서비스 질 4.00점의 평균값을 보였다. 사회복지사의 전문성과 서비스 질의 관계에서 사회자본의 하위유형인 네트워크와 신뢰는 각각 부분매개효과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즉, 사회복지사의 전문성이 높으면 네트워크와 신뢰가 확대되고, 확대된 네트워크와 신뢰는 서비스 질을 향상시키는 유의한 영향력이 확인되었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서비스 질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서의 사회자본의 활성화를 위한 이론적 및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혈액투석 환자의 스트레스와 수용이 사회심리적 적응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Hemodialysis Patient's Stress and Acceptance on Their Psychosocial Adaptation and Quality of Life)

  • 서순림;조인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829-837
    • /
    • 2014
  • 이 연구는 혈액투석 환자의 사회심리적 적응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국내 K시, P시 및 U시 소재 혈액투석센터 8곳에서 혈액투석 중인 환자 246명이었다. 자료수집을 위한 설문조사는 2014년 4월 1일부터 4월 30일까지 실시되었다. 자료분석은 SPSS/WIN 18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분석, 상관분석 및 단계적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결과 스트레스반응과 수용은 사회심리적 적응과 삶의 질에 있어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계적 회귀분석결과 스트레스반응이 사회심리적 적응(${\beta}$ = -.443, p<.001)과 삶의 질(${\beta}$ =-.553, p<.001)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근거로 혈액투석환자의 사회심리적 적응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스트레스반응을 감소시킬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과 그 효과를 검정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