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ality of Life of Patients in Acute Stage of Stroke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

  • Kim, Se-Joo (Department of Psychiatry, Hallym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Young-Shin (Department of Psychiatry, Hallym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Choi, Nak-Kyung (Department of Psychiatry, Hallym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ee, Yoon-Young (Department of Psychiatry, Hallym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ee, Byung-Chul (Department of Neuorology, Hallym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ee, Man-Hong (Department of Psychiatr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김세주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 김영신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 최낙경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 이윤영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 이병철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신경과학교실) ;
  • 이만홍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Published : 2002.06.15

Abstract

Objectives : Stroke is a chronic condition that may carry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the quality of life in patients. Research,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on stoke, however, have focused on physical aspects, neglecting its psychiatric aspects and quality of life. So, aim of this study is to compare quality of life in stroke patients and healthy controls by using WHO Quality of Life(QOL) Scale that evaluates the domains of physical health, psychological health, social relationship and environment. Additionally,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factors in patients with stroke and their quality of life were explored. Methods : 98 patients in acute stage of stroke and 24 healthy controls were recruited in this study and WHO QOL Scales were completed. Total scores and scores of domains of WHO QOL Scale in two groups were compared.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quality of life and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in patients with stroke. Results : Total scores and scores of all domains of WHO QOL scale in patients with stroke were decreased compared to those in healthy controls. Clinical characteristics including the depression, anxiety, social support system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quality of life in general and most of subscales of QOL. And male patients have higher level of quality of life than female patients. But, physical disabilities rated with Barthel's index did not show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quality of life. Multiple regression revealed that the severity of depression, anxiety, gender, and level of social support system were factors directly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in the patients with stroke. Conclusion :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stroke was poorer than that of healthy controls. The severity of depression, anxiety, gender, and the level of social support system were related to the quality of life in the patients with stroke.

연구목적: 뇌졸중은 개인의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만성 질환이다. 그러나 뇌졸중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 및 치료, 그리고 재활은 주로 신체적 측면에 집중되었고, 정선과적 측면과 삶의 질에 대한 고려는 많은 부분이 무시되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체적 영역, 심리적 영역, 사회적 관계 영역, 그리고 환경 영역을 평가하는 WHO 삶의 질 척도를 사용해 뇌졸중 환자들의 삶의 질을 정상인과 비교하고 뇌졸중 환자의 여러 임상 양상과 삶의 질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98명의 급성기 뇌졸중 환자들과 24명의 정상인을 대상으로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간편형 척도를 사용하여 각 영역과 총점의 평균을 비교하였다. 그리고 뇌졸중 환자군에서 나이, 성별, 교육수준, 우울 및 불안 증상의 정도, 신체적 장애의 정도 등과 삶의 질과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이들 요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다중회귀분석으로 평가하였다. 결과: 뇌졸중 환자군에서 정상군에 비해 전체 삶의 질 및 각 하위 영역 모두 낮은 삶의 질 수준을 보였다 우울 및 불안 증상, 사회적 지지체계의 정도는 전체 삶의 질 및 대부분의 하위 영역과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또한 뇌졸중 환자들 중 남자의 경우 여자에 비해 높은 삶의 칠 수준을 보였다. 그러나 Barthel's index로 평가한 신체적 장애의 정도는 삶의 질 수준과 유의한 상관성이 없었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우울 및 불안 증상의 정도, 사회적 지지체계의 정도, 그리고 성별이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추출 되었다. 결론: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은 정상군에 비해 저하되어 있었다. 또한 우울 및 불안 증상의 정도, 사회적 지지 체계의 정도, 그리고 성별이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