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ality of life of Elderly Chronic Stroke according to types of leisure

노인 뇌졸중 환자의 여가형태에 따른 삶의 질의 차이

  • Received : 2011.09.28
  • Accepted : 2011.12.19
  • Published : 2011.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ty the types of leisure and to examine the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m and suggest the basic resources about leisure on elderly chronic stroke.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elderly chronic strokes(n=80) in Gwang Ju. A total of 80 questionnaires from subjects were analyzed. The social leisure activity shows more clear and positive purpose and more higher quality of life than private leisure. But it also has limited time and require more money. Elderly chronic stroke presents passive and limited leisure activity and shows low satisfaction about leisure. But the leisures that needed more physical movements show higher quality of life. So leisure activity program which is able to support and assist the limited body function will be helpful to increase the quality of life of elderly chronic stroke.

본 연구는 노인 뇌졸중 환자의 여가 형태에 따른 삶의 질의 차이를 파악하고, 건강한 삶을 위한 여가 수행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광주광역시 병원의 노인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직접 설문조사하였다. 일반적인 특성, 질병 관련 특성, 여가 관련 특성은 기술 분석을, 여가형태에 따른 횟수, 시간, 비용과 삶의 질은 t검정을, 교육, 목적 및 만족도는 카이제곱 검정을 실시하였다. 사회적 여가는 개인적 여가에 비해, 목적이 분명하고 긍정적인 경향을 보였으며, 삶의 질이 높았다. 반면 여가 시간은 짧았고, 많은 비용을 요구 하였다. 노인 뇌졸중 환자의 사회적 여가는 개인적 여가에 비해 수행에 제한 요인은 있었으나, 삶의 질을 향상을 위해 사회적 여가를 더욱 활성화시켜야할 것으로 생각한다. 그리고 사회적 여가의 관련 요인을 체계적으로 파악한 후속 연구를 통해 지지 전략을 제시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소희영, 김현리, 주경옥, "ICF 모텔에 근거한 노인의 삶의 질 예측모형",대한간호학회지, 제41권, 제4호, pp.481-490, 2011.
  2. 박미정, "국민기초생활수급 여성독거노인의 일상생활연구", 보건사회연구, 제30권, 제1호, pp.62-91, 2010.
  3. 박미석, "노년기 여가만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제40권, 제5호, pp.133-146, 2002.
  4. 조성남, "에이지붐 시대, 고려화사회의 미래와 도전",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서울, 2004.
  5. Wong . C. H. Wong . S. F, P ang. W. S, Azizah. M. Y, and M. Dass, "Habitual walking and its correlation to better physical function: Implications for prevention of physical disability in older persons",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A, Biological Sciences & Medical Sciences, vol. 58, no. 1, pp.555 - 560, 2003.
  6. 김보현, 안영선, "노인의 여가활동과 삶의 질에 관한 탐색적 연구", 사회과학연구, 제15권, 제1호, pp.141-160, 2008.
  7. 김신영, 임창규, "단체참여를 통한 노인여가활동 향유 요인연구", 통계연구, 제 16권, 제1호, pp.26-47, 2011.
  8. 홍성희, 김성희, "노인의 여가태도 및 여가제약 유형에 따른 여가활동 참여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15권, 제4호, pp.1-391, 1997.
  9. 염두승, 김덕임, "노인의 여가활동유형과 인지된 자유감 및 사회 적응력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제16권, 제3호, pp.3-802, 2007.
  10. 이성훈, 이유리, "한국 노인의 여가장애 극복을 위한 여가정책 방안", 복지행정연구, 제20권, pp.317-335, 2004.
  11. 통계청, " 2006년 사망 및 사망 원인 통계결과", http://www.nso.go.kr, 2006.
  12. Duncan. P, "Randomized clinical trial of therapeutic exercise in subacute stroke", Stroke, vol.34, pp.2173-2180, 2003. https://doi.org/10.1161/01.STR.0000083699.95351.F2
  13. 추은진, 김홍근, "뇌졸중 노인에서 전두엽 관리 기능의 차별적 결손", 한국심리학회지, 제28권, 제1호, pp.29-48, 2009.
  14. 이영은, 홍숙자, "게임활동을 접목한 집단미술 치료가 뇌졸중 노인의 손기능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상담학 연구지, 제10권, 제1호, pp. 1-16, 2009.
  15. Parker. S, "Volunteering-altruism. markets, causes and leisure," World leisure and Recreation, vol. 39, no. 3, pp. 4-5, 1997.
  16. Heidrun. M, Stephan. B, Roman. K, Frank, O. and W. Hans-werner", Outdoor mobility in late life: persons, Environments and society, vol.1, no.1, pp.33-45, 2006.
  17. Sjogren. K, "Leisure after stroke", International Rehabilitation Medicine, vol.4, no.3, pp.80-87, 1982. https://doi.org/10.3109/09638288209166884
  18. Drummond. A, "leisure activity after stroke",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vol.12, no.1, pp.157-160, 1990.
  19. Debra. M, and J. Lyn, "Factor influencing leisure activities following a stroke: an exploratory study", Canad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vol.57, no.4, pp.223-229, 1990. https://doi.org/10.1177/000841749005700411
  20. Drummond. A. E, Gladman. J. R, and C. J. Parker, "The role of leisure", Disability & Rehabilitation, vol.19, no.1, pp.1-5, 1997. https://doi.org/10.3109/09638289709166438
  21. 방활란, "말기 신 질환자의 삶의 질 측정도구 개발", 간호학과 석사학위논문(미간행), 1991.
  22. 정미정,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동착 수행정도 와 삶의 질", 재활간호학회지, 제 7권, 제 2호, pp. 149-158, 2002.
  23. 임선옥, "재가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에 관한 구조모형", 경희대학교 간호학과 박사학위 논문(미간행), 2002.
  24. 강신아, "여가활동유형이 삶의 질에 마치는 영향 : 예비 실버층과 실버층간의 비교를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호텔관광경영학과 석사학위논문(미간행), 2007.
  25. 김윤혜, 하태열, 이복희, "수도권 거주 노인들의 여가활동 유무에 따른 정신건강 수준, 식생활 실태 및 영양상태 비교 분석",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제35권, 제4호, pp.422-429, 2006.
  26. 김신영, 임창규, "단체참여를 통한 노인여가활동향유 요인연구", 통계연구, 제16권, 제1호, pp.26-47, 2011.
  27. 황정규, "교수의 측정과 평가; 과제와 방향", 교육학 연구, 제30권, 제3호, pp.1-10, 2010.
  28. Sjogren, Fugl-Meyer. K, A. R. Fugl-Meyer, "Sexual disabilities are not singularities International", Journal of Impotence Research, vol.14, no.1, pp.487-493, 2002. https://doi.org/10.1038/sj.ijir.3900914
  29. 신수정, "노인의 여가실태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석사학위논문(미간행), 2004
  30. 김양례, "여가활동 유형과 주관적 건강상태 및 행복한 삶의 관계", 체육과학연구, 제20권, 제3호, pp.553-566, 2009.
  31. 김학권, "대학생의 여가활동 유형과 여가만족의 관계", 공주대학교 논문지, 제 36권, pp.1-13, 2000.
  32. 나항진,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노인 여가의 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제24권, 제1호, pp.53-70, 2004.
  33. 임번장, 정영린, "여가활동 유형과 여가만족의 관계", 한국체육학회학술발표논문집, 제34권, 제3호, pp.92-101, 1995.
  34. Neil. F, Gordon. Meg, G, Fernando. C, Gerald. F, Barry. A, Franklin_ E, Roth. J, and S. Tim, "Physical Activity and Exercise Recommendations for Stroke Survivors: An American Heart Association Scientific Statement From the Council on Clinical Cardiology, Subcommittee on Exercise, Cardiac Rehabilitation, and Prevention; the Council on Cardiovascular Nursing; the Council on Nutrition, Physical Activity, and Metabolism; and the Stroke Council", Stroke, vol.35, no.1, pp.1230-1240, 2004. https://doi.org/10.1161/01.STR.0000127303.19261.19
  35. 박유진, 김재휘, "여가정체성 현출성에 따라 여가경험이 여가 및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적극형 여가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제21권, 제2호, pp.141-161, 2002.
  36. 최성범, "여가스포츠 참가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이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효과", 한국체육학회지, 제46권, 제3호, pp.339-350,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