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사회적 지지감

검색결과 621건 처리시간 0.022초

남자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사회적지지, 대학생활적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lf-efficacy, Social Support, and College Life Adaptation of Male Nursing Students)

  • 한영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5호
    • /
    • pp.367-374
    • /
    • 2020
  • 본 연구는 남자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사회적지지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간호대학에 재학 중인 남자 간호대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자기효능감과 사회적지지, 자기효능감과 대학생활적응, 사회적지지와 대학생활적응간에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자기효능감은 전공선택 주체, 전공만족도에서 사회적지지는 병역, 전공선택 주체, 전공만족도가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대학생활적응은 전공 선택 주체, 전공선택 동기, 전공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남자 간호대학생의 효율적인 대학생활적응을 위해서는 이들의 특성을 반영한 사회적지지 및 자기효능감 증진 프로그램의 적용이 필요하며 다양한 변수로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임상간호사의 건강행위, 사회적지지, 행동유형과 자기효능감과의 관련성 (Relationships among Health behavior, Social Support, Behavior Pattern, and Self-Efficacy of Hospital Nurses)

  • 이영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4861-4868
    • /
    • 2011
  • 본 연구는 임상 간호사의 건강행위, 사회적지지, 행동유형과 자기효능감과 상관관계를 파악하여 간호사의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개발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대상자는 강원도에 소재하고 있는 병원의 간호사 20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2011년 6월 10일부터 6월 26일 까지의 기간 동안에 구조화된 무기명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한 설문조사에 의하였다. 연구결과, 간호사의 자기효능감은 학력, 재직기간, 결혼유무, 근무부서, 종교, 밤번횟수, 가사분담, 운동, 스트레스 관리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사회적 지지는 근무부서, 종교, 가사분담, 음주, 흡연, 스트레스 관리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행동유형은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상관관계에서는, 간호사의 자기효능감은 사회적 지지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행동유형과는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Perceived by Career-interrupted Women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cus on Mediating Effects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 Lee, Sook-Ja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12호
    • /
    • pp.109-117
    • /
    • 2019
  • 본 연구는 경력단절여성들의 인식을 바탕으로 진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회적 지지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여성취업지원기관에서 직업훈련에 참여하고 있거나 구직등록을 한 경력단절여성 227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법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력단절여성들이 인식한 사회적 지지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에 유의미한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 중 정서적 지지가 진로준비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 중 목표설정과 직업정보는 진로준비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사회적 지지와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부분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경력단절여성들을 대상으로 진로지도 시 기술적인 측면보다 심리적 측면을 더 중요하게 다루어야 함을 시사해 준다.

교수효능감과 사회적지지, 행복감, 직무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 - 교사들을 중심으로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eacher Efficacy, Social Support, Job Satisfaction, Happiness - By Teachers' Perspectives)

  • 허무열;신혜경;전미란
    • 창의정보문화연구
    • /
    • 제7권1호
    • /
    • pp.53-67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교사들의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비인지적 요인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교사효능감과 관련된 사회적지지, 행복감, 직무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구글 온라인 설문을 제작하였고 교사연수에 참여하고 있는 전국의 초·중·고 교사들 249명의 자료를 기술통계분석과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SPSS 22.0 과 Amos 21.0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교사들의 사회적지지는 직무만족과 행복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고, 직무만족이 행복감과 교사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지만, 사회적지지와 행복감은 교사효능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는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 사회적지지가 직무만족을 통해 행복감으로 부분매개효과가 있으며, 사회적지지가 직무만족을 통해 교사효능감으로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변인 간 영향관계를 알아봄으로써 공교육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인 교사들의 교사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 마련의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임상실습에서 간호대학생이 경험하는 자기효능감, 사회적지지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of Nursing Students During Clinical Practice on Burnout)

  • 김혜정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315-322
    • /
    • 2020
  • 본 연구는 임상실습에서 간호대학생이 경험하는 자기효능감, 사회적지지, 소진의 정도를 파악하고,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여 소진을 예방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방법은 서술적 조사연구로서 Y지역 간호대학생 3, 4학년 173명을 대상으로 2019년 10월 15일부터 11월 4일까지 자료수집하였다. 자료분석 방법은 빈도와 백분율, t-test, ANOVA, 사후검증은 Scheffé 검정,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간호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기효능감, 사회적지지, 소진의 차이는 학년(t= -2.20, p=.029), 전공만족도(F=3.62, p=.029)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사회적지지, 소진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자기효능감과 사회적지지((r=.214, p=.005)는 양의 상관관계, 소진과 자기효능감(r=-.253, p<.001)은 음의 상관관계, 소진과 사회적지지(r=-.175, p=.021)도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전공만족도(β= -.21, p=.006), 자기효능감(β= -.16, p=.032), 사회적지지(β= -.15, p=.047) 순으로 모형의 설명력은 13.8%이었다. 결론적으로 임상실습에서 간호대학생이 경험하는 소진을 예방하기 위해서 대학생활 만족과 임상실습 만족을 향상시키고, 사회적 지지와 자기효능감을 높이는 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인스타그램 부계정 사용의 심리학적 의미에 관한 탐색적 연구: 온라인 사회적 지지, 자기감시성과 주관적 안녕감을 중심으로 (An Exploratory Study on the Psychological Meaning of Finsta Use: The Role of Online Social Support, Self-Monitoring and Subjective Well-Being)

  • 조수진;박혜경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8권4호
    • /
    • pp.691-715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인스타그램 부계정 사용과 지각된 온라인 사회적 지지, 자기감시성, 그리고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더 나아가, 자기감시성과 지각된 온라인 사회적 지지의 관계를 인스타그램 계정 수가 매개하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20대 성인을 대상으로 온라인 조사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총 396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인스타그램 계정 수는 지각된 온라인 사회적 지지 및 자기감시성과 정적 상관을 보였으나, 주관적 안녕감과는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다음으로, 자기감시성이 인스타그램 부계정 사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자기감시성이 높을수록 부계정을 사용할 확률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인스타그램 계정 수는 자기감시성과 지각된 온라인 사회적 지지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기감시성이 높을수록 인스타그램 계정이 많았으며, 많은 인스타그램 계정은 지각된 온라인 사회적 지지의 수준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최초로 인스타그램 부계정 사용과 지각된 온라인 사회적 지지, 자기감시성 및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를 확인하였으며, 자기감시성이 인스타그램 계정 수를 매개로 하여 지각된 온라인 사회적 지지로 이어지는지 탐색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온라인 상호 작용이 현실 세계와 어떻게 연결되는지 조명했다는 점에서 사회적 의의도 지닌다.

사회적 지지가 창업의도 및 창업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창업자기효능감과 창업의도의 매개효과 (A Study on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Entrepreneurial Intentions and Entrepreneurial Behaviors: Mediating Effects of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s)

  • 옥준우;현병환;장은실;양재민
    • 벤처창업연구
    • /
    • 제15권1호
    • /
    • pp.151-165
    • /
    • 2020
  • 최근 정부는 경제성장과 일자리 창출을 위한 주요 정책으로 창업기업의 지원에 많은 예산을 투입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계기업가정신발전기구(GEDI)는 2018년 세계기업가정신지수(GEI)에서 한국의 창업생태계 세부영역에서 사회·문화적 지지 영역에 대하여 매우 낮은 평가를 내린 바 있어, 정부의 관심과는 달리 아직까지 우리 사회는 창업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이지 않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예비창업자와 창업자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주변 인물들의 이들에 대한 사회적 지지가 창업의도, 창업행동에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를 창업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사회적 지지가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지는 확인할 수 없었지만 사회적 지지가 창업행동에 직접적으로 정(+)의 영향을 주거나 창업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창업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창업자기효능감과 창업의도를 이중매개로 하여서도 창업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사회적 지지가 창업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라는 점과 창업자기효능감이 중요한 매개변수효과를 갖는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정부 및 창업지원기관은 사회로부터의 창업에 대한 지지를 도모하고 창업자의 창업자기효능감을 강화시킬 수 있는 창업지원프로그램을 창업지원사업에 반영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스트레스가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와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Stress on Depression of the Elderly: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Mediating Effect of Sense of Self-Respect)

  • 김봉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281-291
    • /
    • 2019
  • 본 연구는 스트레스가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와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검증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대상은 만 65세 이상으로 종합사회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 485명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가족문제, 건강문제, 경제문제, 상실감은 우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자아존중감이 스트레스와 우울 간에 미치는 영향에서 스트레스의 가족문제, 경제문제, 상실감은 우울에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건강문제에서는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노인의 사회적 지지가 스트레스와 우울 간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는 우울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의 우울을 감소시키기 위한 사회복지의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청소년 운동선수들의 사회적지지와 자아존중감 및 행복감 간의 인과적 관계 -Process Macro를 적용한 매개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The Study on the Causal Relationships of Social Supports, Self-esteem, and Happiness of Adolescent Athletes- Focusing on the Mediation Analysis Using Process Macro)

  • 전욱휴
    • 산업융합연구
    • /
    • 제19권4호
    • /
    • pp.85-93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운동선수들의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 행복감 사이의 관계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청소년 운동선수 191명과 비교를 위한 일반고등학생 196명으로 총 387명이었으며, 검사지가 활용되었고, SPSS 22.0과 Process Macro를 적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도출된 연구결과를 통한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운동선수들은 일반고등학교 학생들보나 사회적지지를 높게 인식하고 있었고 자아존중감과 행복감도 모두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지지는 자아존중감에 정적으로 유의한 직접영향이 있었다. 셋째, 자아존중감은 행복감에 정적으로 유의한 직접영향이 있었다. 넷째, 사회적지지는 행복감에 직접적인 영향은 없었고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하여 행복감에 간접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추후 학생들의 행복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마련이 시급하다고 사료된다.

과학영재아동의 적응, 자기지각, 사회적 지지 및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cience-gifted Children's Adjustment, Self-Perception, Social Support, and Stress)

  • 이국행;이영환;김현지
    • 영재교육연구
    • /
    • 제13권2호
    • /
    • pp.73-94
    • /
    • 2003
  • 본 연구는 과학영재아동의 개인 및 일상생활에서의 적응수준, 성별에 따른 적응, 자기지각 및 사회적 지지의 차이를 파악하며, 스트레스와 적응과의 관계와 그들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지각 및 사회적 지지 수준을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연구결과로는 첫째, 과학영재아동의 개인적응, 사회적응, 자기지각과 교사지지는 일반아동의 이러한 능력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적응, 부모지지, 친구지지는 과학영재아동이 일반아동보다 낮게 나타났다. 둘째, 과학영재아동의 자기기획, 편견, 사회적 역량, 행동품행역 량, 자아가치감, 부모지지, 교사지지, 학교친구지지는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과학영재아동의 성취동기, 자기기획, 애착 및 사회적 긍정성은 스트레스와 유의미한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과학영재아동의 사회적 역량, 운동역량, 신체외모역량, 행동품행역량, 자아가치감 및 사회적 지지와 스트레스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영재아동의 자아가치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교사지지($\beta$=.26), 친한친구지지($\beta$=.25), 부모지지($\beta$=.21), 학교친구지지($\beta$=.21)순이고 이들의 설명력은 41%이었다. 또한 과학영재아동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부모지지($\beta$=-.32),친한친구지지($\beta$=-.28), 자아가치감($\beta$=-.28)순이고 이중 부모지지가 가장 예측력이 큰 변인이었으며, 이들의 설명력은 38%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