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사회적 자아개념

검색결과 121건 처리시간 0.023초

중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 자아개념과 자아탄력성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ocial support, Self-concept and Ego-resilience of middle-school students)

  • 윤상근;이창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2917-2922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 자아개념과 자아탄력성과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시에 소재하는 중학생 69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연구 결과, 중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와 자아개념, 자아개념과 자아탄력성과의 관계는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즉, 중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자아개념이 긍정적이었으며, 자아개념이 긍정적일수록 자아탄력성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중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와 자아개념이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력은 사회적 지지보다는 자아개념의 비중이 더 크게 나타났다.

여성의 자아개념이 화장품 추구혜택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이명희
    • 복식문화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복식문화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59-60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의 자아개념과 화장품 추구혜택의 관련성을 조사하고, 화장품 구매 행동과 인구 통계적 변인에 따른 추구혜택의 차이를 알아보며, 자아개념과 인구 통계적 변인이 화장품 추구혜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은 조사연구방법으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화장품 추구혜택은 24개 문항을 사용하였으며, 자아개념은 정원식의 표준화된 자아개념 검사 중 신체적, 도덕적, 성격적, 가정적, 사회적 자아개념의 5개 변인을 사용하였다. (중략)

  • PDF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이 다문화가정 유아의 자아개념, 적응도 및 사회적 관계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on the Self-Concepts, Adjustments and Social Relationships of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 부성숙;정연주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1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63-364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이 다문화가정 유아의 자아개념, 적응도 및 사회적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 안산시에 위치하고 있는 H어린이집 만 5세 다문화가정 유아를 실험집단으로 선정하여 자아정체성과 긍정적인 사회적 관계 형성을 위한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그리고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 적용 전 후의 자아개념, 적응도 및 사회적 관계를 측정하여 통제집단인 일반가정 유아의 점수와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은 다문화가정 유아의 자아개념, 기관 적응도 및 사회적 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성숙도, 학습관련 자기주도성 및 전문직 자아개념 간의 관련성에 대한 융복합 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Social Maturity, Self-directed Learning and Self-concept of Professional Nursing in Nursing Students)

  • 최동원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0호
    • /
    • pp.75-84
    • /
    • 2017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성숙도, 학습관련 자기주도성 및 전문직자아개념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전문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융복합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대상은 I지역과 K지역에 소재한 간호학과 학생 221명이었다. 자료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하였고, PASW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간호대학생의 전문직자아개념은 사회적 성숙도 및 학습관련 자기주도성과 순 상관관계가 있었고, 전문직 자아개념에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회귀모형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F=22.505). 전공만족도(${\beta}=.179$), 간호직 의미(${\beta}=.274$), 사회적 성숙도(${\beta}=.118$), 자기주도성(${\beta}=.211$)이 모두 유의한 예측요인으로 나타났고,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34.4%이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올바른 간호전문직 자아개념의 증진을 위해 사회적 성숙도와 자기주도성의 향상을 위한 교육과정 및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 등의 개발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사회복지사 셀프-임파워먼트 프로그램의 효과 :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자아개념 및 클라이언트의 평가를 중심으로 (Effectiveness of Self-Empowerment Program for Social Workers : Focusing on the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Self Concept and Clients' Evaluation of Social Workers)

  • 최명민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0권
    • /
    • pp.3-32
    • /
    • 2002
  • 이 연구는 사회복지사를 개인 차원에서 임파워먼트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개발된 사회복지사 셀프-임파워먼트 프로그램을 소개하고 그 실천을 통해 본 프로그램의 효과성 및 유용성을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셀프-임파워먼트라는 개념과 이에 기초한 프로그램의 이론적 배경 및 내용구성을 간략히 살펴본 후, 이를 정신보건 분야에서 근무하고 있는 사회복지사들에게 직접 시행하여 프로그램이 사회복지사의 다차원적인 자아개념과 사회복지사에 대한 클라이언트의 평가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프로그램에 참석한 실험집단의 사회복지사들이 자아개념 중 총 자아긍정, 자아동일성, 자아수용, 자아행동, 도덕적 자아, 성격적 자아, 그리고 가정적 자아 등 다양한 항목들에서 통제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만 향상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신체적 자아, 사회적 지아 및 자아평가에서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차이가 입증되지 않았다. 그리고 이러한 사회복지사들의 변화가 클라이언트에게 어떻게 인식되는지를 조사한 결과, 프로그램 이후에 실험집단 사회복지사의 클라이언트들이 통제집단 사회복지사의 클라이언트들에 비해 자신의 사회복지사에 대해 좀더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프로그램이 사회복지사의 셀프-임파워먼트에 기여함으로써 클라이언트와의 관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사회복지사를 위한 재교육이나 훈련의 기회가 제한적인 우리의 사회복지 실천현장에서 본 프로그램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 PDF

영재교육기관별 초등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과흥분성과 사회적 자아개념 비교 (A Comparison of Overexcitability and Social Self-Concept between the Scientifically Gifted and Non-Gifted Elementary Students)

  • 김학준;여상인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8권2호
    • /
    • pp.401-414
    • /
    • 2014
  • 다양한 형태의 자극에 대해 더 많이 더 오래 그리고 더 강렬하게 반응하는 내적 경향으로서의 민감성을 의미하는 과흥분성과 한 개인이 사회생활, 특히 학교생활에서 어떠한 방법으로 어떻게 행동할 것인가를 알아보기 위한 개념인 사회적 자아개념은 과학영재의 매우 중요한 정의적 특성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재교육기관별 초등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과흥분성과 사회적 자아개념을 비교하여 어떤 특성이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초등학교 5, 6학년의 영재교육원 및 영재학급 학생 135명과 일반학생 91명을 대상으로 과흥분성 검사와 사회적 자아개념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흥분성의 5개 하위 영역에서 일반학생보다 초등과학영재의 모든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영재교육기관별로는 대학부설영재교육원 및 지역공동영재학급의 초등과학영재의 과흥분성이 단위학교 영재학생 및 일반학생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고, 단위학교영재학급은 일반학생과 차이가 없었다. 셋째, 사회적 자아개념에서는 대학부설영재교육원 과학영재가 단위학교영재학급의 과학영재 및 일반학생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초등과학영재의 지도에서 영재교사가 유념해야 할 시사점과 영재교사의 연수 등에서 고려해야 할 점 등을 논의하였다.

  • PDF

청소년 비행과 일탈적 자아개념의 상호적 인과관계: 잠재 상태-특성 자기회귀 모델을 통한 재검증 (The Reciprocal Effects of Deviant Self-Concept and Delinquent Behaviors Revisited: A Latent State-Trait Autoregressive Modeling Approach)

  • 이은주;정익중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6권4호
    • /
    • pp.447-468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회귀 교차지연 모델 (ARCL: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을 통해 검증된 청소년 비행과 일탈적 자아개념의 상호적 인과관계(이은주, 정익중, 2009)를 잠재 상태-특성 자기회귀 모델 (LST-AR: latent state-trait autoregressive model)의 적용을 통해 재검증하는데 있다. 일반적으로 상호적 인과관계의 검증을 위해 ARCL 모델이 적용되지만, 일탈적 자아개념이 갖고 있는 특성적 요인의 변량을 통제하지 않은 상태에서 비행과의 상호적 영향을 분석하게 되면 비행이 일탈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해석이 왜곡될 수 있다. 따라서 LST-AR 모델을 통해 일탈적 자아개념의 안정적 특성 및 변동적 상태를 구분하고, 특성적 요인을 통제한 후 상태적 일탈자아와 비행의 상호적 인과관계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분석에는 한국청소년패널조사의 중2에서 고3까지 5년 종단자료가 활용되었다. 연구결과, 일탈적 자아개념과 비행의 상호적 인과관계가 재검증되었을 뿐만 아니라 일탈적 자아개념의 안정적 특성 및 변동적 상태 요인에 따라 비행과의 상호적 인과관계가 다를 수 있음도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상호적 인과관계의 연구에서 안정적 특성과 변동적 상태 요인의 구분에 대한 방법론적 의미가 논의되었다.

  • PDF

보육교사의 자아개념과 교사효능감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cept and Teacher Efficacy of Nursing Teachers)

  • 황민희;유경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316-324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보육교사의 자아개념과 교사 효능감의 두 변인간의 관계와 함께 보육교사의 자아개념 수준에 따른 교사 효능감의 차이를 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서울시와 수도권의 어린이집 에서 보육교사 127명을 대상으로 자아개념검사와 교사효능감 검사를 각각 실시하였다. 회수된 자료는 spss 20.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상관관계와 t-test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자아개념은 인지적 자아, 정의적 자아, 사회적 자아, 신체적 자아 등 모든 하위요인에서 보육교사의 일반적 효능감, 개인적 효능감과 교사 효능감 전체 점수와 정적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개념전체 및 각 하위요인의 수준이 높은 집단이 경우는 낮은 집단보다 보육교사의 일반적 효능감, 개인적 효능감, 교사 효능감이 더 의미있게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에 따라 보육교사의 자아개념 수준에 따라 교사 효능감의 수준도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교육현장에서 교사의 자아개념과 자기 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방안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자아개념이 휴대폰 충동구매와 감정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lf Concept on Impulsive Cellular Phone Purchase and Emotional Response)

  • 손준상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173-181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자아개념이 충동구매와 구매 후 감정반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자아개념의 사회의존성-독립성에 따라 2개의 집단으로 나누어 충동구매와 구매 후 감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충동구매는 계획성 정도에 따라 충동구매 집단과 비충동구매 집단으로 나누어 구매 후 감정을 비교하였다. 또한 심사숙고성-즉흥성 정도를 이용하여 자아개념과 구매 후 감정과의 관계를 재 검정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충동구매집단은 죄책감, 후회, 행복감에서 비충동구매 집단보다 높았고 자긍심에서는 비충동구매 집단이 높았다. 자아개념은 충동구매에 유의적 영향을 미쳤으며, 죄책감, 후회, 행복감에서 충동구매의 구매 후 감정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였다. 그러나 자긍심에 대해서는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런 결과는 사회적으로 독립적인 자아개념을 가진 소비자들이 충동구매 후에 높은 부정적 감정(죄책감, 후회)과 함께 긍정적 감정(행복감)을 갖지만, 충동구매자체에 대해서는 바람직한 구매전략으로 보지 않고 있음을(낮은 자긍심)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청소년기 일탈적 자아개념의 예측 요인과 성별 차이 : 잠재 상태-특성 자기회귀 모델 (latent state-trait autoregressive model)의 적용 (Predictors of Deviant Self-Concept in Adolescence and Gender Differences: Applying a Latent-State Trait Autoregressive Model)

  • 이은주;정익중
    • 사회복지연구
    • /
    • 제43권1호
    • /
    • pp.5-29
    • /
    • 2012
  • 비행경험이 많을수록 자신을 비행청소년으로 인식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청소년들의 일탈적 자아개념의 변량 중 비행경험으로 인해 설명되는 변량은 비교적 작은 수준에 불과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비행경험을 통제한 후에도, 또는 비행경험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을 문제아 또는 비행청소년으로 인식하게 만드는 요인이 무엇인지 규명하는데 있었다. 특히 비행경험 이외에 청소년기 중요한 발달과업(성취와 관계)에서의 실패가 일탈적 자아개념과 어떠한 관계에 있는지, 더 나아가 이러한 관계에 내재한 성별 차이를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한국청소년패널조사의 중2에서 고3까지 5년 종단자료에 대해 잠재 상태-특성 자기회귀 모델(latent state-trait autoregressive model)을 적용하여 일탈적 자아개념에 내포된 변동적 상태요인을 통제한 후 청소년기에 걸쳐 안정적인 특성적 일탈자아를 설명하는 예측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비행경험 이외에 학업성취, 친구관계 및 부모관계가 청소년기 일탈적 자아개념의 특성적 요인을 유의미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행경험의 효과에 유의미한 성별 차이가 나타난 바, 남자청소년에 비해 여자청소년이 비행경험으로 인해 자신을 문제아로 인식하였다. 비행경험을 통제한 후에도 학업성취 및 관계에서의 실패와 유능감 부족은 청소년기 일탈적 자아개념의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친구관계에서의 실패는 남자보다 여자에게 더 중요한 예측요인인 반면, 학업성취에서의 실패는 남녀에게 모두 유의미한 일탈적 자아개념의 예측요인으로 나타나 한국사회의 성취지향적 가치체계와 문화가 청소년기 일탈적 자아개념에 반영되고 있음이 검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