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회비교 이론

검색결과 550건 처리시간 0.024초

체험형 창업강좌와 이론형 창업강좌 학습자간의 창업동기, 기업가정신 및 창업의지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Entrepreneurial Motivation,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between the Students of Experiential Entrepreneurship Class and Theory Centered Class)

  • 김용태
    • 벤처창업연구
    • /
    • 제13권4호
    • /
    • pp.49-58
    • /
    • 2018
  • 최근 대학 내 창업 친화적 학사제도 활성화 등의 정책적 노력과 지원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창업교과 및 비교과 활동이 이뤄지고 있으며 그 유형에 따라 수강생의 참여도 및 교육효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많은 연구에서 주목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창업 이론 및 정보의 전달을 위주로 하는 이론형 창업 강좌와 아이디어 발굴과 시제품 제작 등의 과정이 포함되는 창업실습 등을 중심으로 한 체험형 창업강좌 수강생을 대상으로 창업동기, 기업가정신 및 창업의지 인식 차이가 있는지, 아울러 창업동기 및 기업가정신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두 집단 간의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비교하기 위해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창업동기 요인중에서 사회적 인식을 제외한 창업교육, 성취욕구, 인적네트워크, 자존 욕구 등은 두 집단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체험형 창업강좌 학습자들이 이론형 창업강좌 학습자보다 창업동기를 더 크게 인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기업가정신 요인은 체험형 창업강좌와 이론형 창업강좌 학습자간의 인식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체험형 창업강좌 학습자가 이론형 창업강좌 학습자보다 창업의지를 더 크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창업동기 요인 가운데 창업교육과 성취욕구, 기업가정신 요인 중에서는 위험감수성이 창업의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지금까지 양적 확대 위주의 창업교육의 방향과 창업교육의 질적 효과 창출에 대한 제고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으며, 향후 체험중심의 창업교육 (Experiential Entrepreneurship education)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창업교육 효과에 대한 연구 확산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노인의 Quality of Life 향상을 위한 Social Network Service 연구 -정성 분석과 정량 분석 방법을 이용한 노인과 젊은 세대 비교 분석- (Social Network Service Research for Quality of Life of Older Adults: Comparing Old and Young adults Using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 강정민;김선재;이인성;김진우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9년도 학술대회
    • /
    • pp.799-810
    • /
    • 2009
  • 전 세계적으로 노령화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노인이 느끼는 전반적인 삶의 질 (Quality of Life, QoL) 이 하락하는 문제가 사회 전반에 걸쳐 중요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이에 다양한 형태로 발생하고 있는 노인들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노인학, 사회 복지학 등의 분야에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 중 노인의 사회적 관계 (Social Network, SN) 를 강화, 확장하여 노인의 삶의 만족도 향상을 추구하고자 하는 연구를 찾아볼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노인의 사회적 관계를 인터넷을 이용해 개선함으로써, 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표이다. 이에 본 연구의 세부적인 목적은 현재 젊은 층을 중심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SNS 를 노인들이 사용하지 않는 이유에 대한 분석, 노인을 위한 SNS 의 핵심적인 기능적, 서비스적 요소를 파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현재 인터넷을 잘 활용하고 있는 60 세 이상의 노인 22 명을 대상으로 개별 인터뷰, 참가자가 사용하는 서비스 분석, FGI 의 3 가지 방식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이후 수집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정성적 분석 방법으로 Casual Network 를 도출하였으며, 정량적 분석 방법인 Laddering 분석으로 Hierarchical Map 도출하여 비교하였다. 또한 도출된 결과가 노인들만의 특징인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대학생, 직장인 각 10 명씩을 대상으로 노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 방식과 동일한 방법으로 데이터를 수집, 분석 하였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는 사회감성적 선택 이론 (Socioemotional Selectivity Theory, SST)를 바탕으로 인터넷에서의 Social Network 활동도 오프라인과 유사한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현재 친하게 지내고 있는 사람들을 중심으로 SN 을 강화시키려 하는 강화형 타입과 새로운 SN을 생성하기 위하여 노력하는 확장형 타입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추후 이러한 특징들을 반영하여 노인들을 위한 SNS 가 지녀야 할 기능적, 시스템적 요소를 제안하고, 추후 연구 및 SNS 개발과 관련한 계획을 정리하였다.

  • PDF

중국에서의 도요타와 현대자동차의 CSR전약에 관한 비교 사례분석 (A Comparative Case Study on the CSR Strategies of Toyota and Hyundai Motors in China)

  • 서민교
    • 통상정보연구
    • /
    • 제13권4호
    • /
    • pp.151-176
    • /
    • 2011
  • 최근 한국기업의 해외진출이 활발해짐에 따라 현지국에서의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연구는 상당히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 자동차산업에 진출한 일본의 도요타와 현대자동차의 CSR사례를 비교분석함으로써 한국기업의 글로벌CSR전략 수립에 주는 시사점을 유도하고자 하였다. 먼저 CSR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Carroll의 CSR4단계 피라미드 모형과 CSR인식모형 그리고 Porter & Kramer의 반응적 CSR과 전략적 CSR 모형 및 이부키 에이코의 CSR 모형 등을 이용하여 사례연구의 틀을 제시한 후, 도요타와 현대자동차의 중국에서의 CSR사례를 비교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회사 모두 다양한 CSR활동을 전개하고 있으나 현대자동차의 경우 상대적으로 자동차와 관련이 없는 분야의 지역사회에 대한 자선적 사회공헌활동에 치우친 데에 비해 도요타는 자동차와 관련이 있는 분야를 중심으로 다양한 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균형있는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둘째, CSR의 인식단계나 Porter & Kramer의 반응적 CSR과 전략적 CSR 모형 및 이부키 에이코의 CSR 모형에 따른 평가 측연에서 현대자동차에 비해 도요타는 보다 전략적 CSR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가 시사하는 바는 앞으로 한국기업의 글로벌CSR은 좀더 전략적 관점에서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이다.

  • PDF

사회복지관 종사자들의 공공봉사동기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ocial Welfare Center Worker's Public Service Motivation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 박희서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175-182
    • /
    • 2013
  • 이 연구에서는 사회복지관 종사자들의 공공봉사동기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해 봄으로써 이론적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연구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사회복지관 종사자들의 공공봉사동기와 조직성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모형을 정립하고 설문조사를 통하여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사회복지관 종사자들의 공공봉사동기와 조직성과 수준은 전체적으로 비교적 높은 수준이었으며, 공공봉사동기의 요소인 정책입안에 대한 호감도, 공익몰입, 동정심, 자기희생의 요소는 모두 조직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의 목적인 이론적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한일 다문화 정책에 대한 연구 (A Study on multi-cultural policies in Korea and Japan)

  • 정영애;전진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0호
    • /
    • pp.133-139
    • /
    • 2013
  • 다문화 사회와 다민족 국가의 도래는 새로운 시대적 변화이자 현상이다. 한국에 거주하는 이주민이 140만명이 넘는 사회적 변화는 한국적 상황에 적합한 새로운 이론과 정책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우리나라 보다 먼저 다문화 사회로의 변화를 겪은 일본의 정책적 변화과정을 살펴보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일 양국 간의 다문화정책의 추진이유, 법 제도 변화와 정책들을 비교분석하여 특징 및 차이점들을 알아 본 후 시사점을 도출하고 한국 상황에 맞는 새로운 다문화 정책 이론을 제시하였다. 새로운 한국적 다문화 정책은 첫째, 다양성 수용과 상호인정 둘째, 사회적 합의를 통한 정책의 방향성 수립 셋째, 다문화 규칙의 수립으로 경제적 규칙 및 정치적 규칙을 정립해야 할 것이다.

아이폰 이용자를 통해 본 스마트폰의 이용의도 예측모형 비교: 기술수용모형(TAM), 계획된 행동이론(TPB) 및 통합모형을 중심으로 (Comparison on Predictive Model of Intention to Use Smartphones through iPhone User: Centered on TAM, TPB & Integrated Model)

  • 주지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호
    • /
    • pp.89-97
    • /
    • 2013
  • 한국사회에 아이폰이 소개된 이후 일어난 아이폰 열풍은 이례적인 상황으로 받아들여졌고 이에 따라 모바일 업계나 연구자에게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아이폰 열풍 이후 한국사회는 스마트폰이 견인하는 소위 스마트사회로 진입하게 되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한국 소비자의 스마트폰 수용과정을 이해하기 위한 설명력 높은 모형을 탐색 구축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분석결과 TPB, TAM 및 통합모형 모두 유의한 설명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PB가 TAM 보다 높은 설명을 보였으며, 통합모형은 근소하지만 TPB보다 높은 설명력을 보였다. 이 연구의 시사점은 새로운 정보통신기기 연구에서 널리 차용되는 TAM 보다 사회적 영향력과 개인적 속성을 고려한 예측력 높은 모형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황해도굿 군웅거리의 예술치료적 분석 (Art Therapeutic Analysis of Gunung-geori of Hwanghaedo-gut)

  • 이지홍
    • 공연문화연구
    • /
    • 제39호
    • /
    • pp.5-30
    • /
    • 2019
  • 한국의 굿은 한국인의 원형적 심성을 매우 예술적으로 그리고 치료적으로 잘 풀어낸 한국 고유의 예술치료의 원형이다. 이에 연구자는 황해도굿 군웅거리와 예술치료적 이론과의 상관관계를 비교 분석하였다. 첫째 한국의 굿이 가족관계를 중심으로 행위 된다는 점에서 보웬의 가족치료 이론과 비교했으며, 한국의 굿이 가진 집단적 치료방식이 한 개인의 심리·정서적 문제를 가족관계체계, 그리고 더 나아가 사회 문화적 맥락 속에서 치료하고자 한 보웬의 이론과 맞닿아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둘째, 연구자는 만신이 망자의 혼을 입고 군웅을 노는, 굿의 연행방식이 갖는 치료적 의미에 대해 분석하였다. 굿 현장을 연구하는 많은 연구자들이 조상거리가 주는 치료적 효과에 대해 직접 경험했으나 그 치료적 효과를 이론적으로 입증하는 연구는 부족하였다. 이에 연구자는 프로이트의 전이 개념과 연극치료의 역할입기, 에릭슨과 고프만의 극적 놀이 개념을 접목시켜 황해도굿 군웅거리를 분석하였다. 만신의 망자로의 극적 전이는 황해도 군웅거리의 치료성을 입증하는 핵심 개념이다. 연구자는 이번 연구를 통해 한국의 굿의 한국 예술치료의 원형으로서의 가치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한국의 굿이 갖는 치료성에 대한 보다 심도 있고 폭넓은 연구가 절실함을 깨닫게 되었다.

개발계획(開發計劃)과 생산기술(生産技術) - "비교산업기술학(比較産業技術學)"의 제창(提唱)

  • 신윤식
    • 정보관리연구
    • /
    • 제2권3호
    • /
    • pp.9-11
    • /
    • 1964
  • 저개발국(低開發國) 개발계획(開發計劃)에 있어서 기술적(技術的) 선택(選擇)이라는 절차(節次)가 갖는 의의(意義)의 중대성(重大性)을 설명(說明)하고 부문적(部門的) 내지(乃至) 국가적(國家的) 수준(水準)의 계획편성(計劃編成)에 참여(參與)하는 기술자(技術者)(Engineer)의 최대기여(最大寄與)는 그가 스스로 담당(擔當)하고있는 기술(技術)과 생산요소간(生産要素間)에 있어서의 선택(選擇)을 사회적(社會的) 책임(責任)이라는 자각(自覺) 밑에서 항상(恒常) 칭량비교(秤量比較)한다는 습관적(習慣的) 기술(技術) technology를 이러한 계획(計劃) 속의 내생적변수(內生的變數)로서 포착(捕捉)하려는 노력(努力)에서 찾을 수 있는 것으로서 소위(所謂), "비교산업기술학(比較産業技術學)"적(的) 연구노력(硏究努力)의 필요(必要)를 제창(提唱)하고 주(主)로 기술자(技術者)(Engineer)가 경제이론(經濟理論)에 접근(接近)하는 형태(形態)로 부연(敷衍)한다.

  • PDF

한국과 중국의 메타버스에 관한 사회적 인식의 비교연구: 빅데이터 분석의 활용 (A Comparative Study on the Social Awareness of Metaverse in Korea and China: Using Big Data Analysis )

  • 김기연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1호
    • /
    • pp.71-86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하여 메타버스에 관한 한국과 중국 사회의 공중 인식 특성에 관한 차이를 탐색적으로 비교하는 것이다. COVID-19 팬데믹의 영향, 기술적 발전, Z세대 및 알파 세대와 같은 새로운 소비자 기반 확대 등의 환경적 영향으로 메타버스에 관한 국제 사회의 관심이 집중되면서 관련 학술연구도 2021년부터 본격화되고 있다. 특히, 한국과 중국은 메타버스 산업을 선도하는 주요 국가로 급부상했다. 메타버스에 관한 빅데이터 언급량이 급증한 시점에서 양국에서 발생한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사회 인식의 차별성을 발견하는 것은 시의성 있는 연구문제이다. 분석기법은 텍스트마이닝 분석으로 정제 데이터의 단어빈도, N-gram, TF-IDF 분석을 수행하여 핵심 단어의 중요도를 파악하고, 시맨틱 네트워크의 밀도 및 중심성 분석을 통해 단어 간의 연결 강도와 의미적 연관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데이터 분석은 Python 3.9 아나콘다 데이터 사이언스 플랫폼 3과 Textom 6 버전을 활용하였고, 시맨틱 네트워크 분석과 구조적 등위성(CONCOR) 분석을 위해 UCINET 6.759 프로그램으로 시각화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데이터를 유사성이 있는 단어 그룹으로서 각 4개씩의 블록을 도출하였다. 이 블록들은 메타버스에 관한 양국의 사회적 인식 유형을 각각 반영하는 관점들로 이해할 수 있다. 메타버스에 관한 연구들은 증가하고 있으나, 아직 비교문화 관점에서 국가나 다문화 간 비교연구 접근의 연구는 거의 수행되지 않았다. 이 시점에서 본 연구는 선행연구로서 후속 연구들에 이론적 근거와 의미 있는 인사이트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대선 관련 인터넷 뉴스의 댓글과 대댓글 간 비교를 통해 살펴본 온라인 토론의 진행 가능성 (The Comparison Between the Comments and the Replies on Korean President Election News: using Topic Modeling)

  • 이정
    • 지능정보연구
    • /
    • 제28권2호
    • /
    • pp.33-55
    • /
    • 2022
  • 본 연구는 온라인에서 토론이 제대로 이루어지는 지 알아보기 위해 대선 관련 인터넷 뉴스에 달린 댓글과 대댓글을 비교 분석하였다. 하버마스의 공론장 이론에 따르면 토론이란 참여자들이 자유로운 의사소통을 통해 숙의 과정을 거쳐 사회적 합의를 이루고자 하는 노력이다. 만약 인터넷 공간에서 댓글을 작성하는 행위를 통해 서로 상호작용과 토론이 일어난다면 댓글과 대댓글은 토론의 진행과정에 따라 구조적, 내용적 측면에서 일정한 차이를 보일 것이다. 본 연구는 그 차이를 가설로 설정하고 검증을 위해 다음뉴스 포털에서 4만여개의 댓글을 수집하였다. 관련 뉴스의 주제는 대통령 선거로 하였는데 이는 전국민이 관심을 갖고 있고 따라서 댓글이 활발하게 달리는 주제이기 때문이다. t검정과 토픽모델링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가설은 모두 채택되었으며 댓글을 통해 온라인 토론이 진행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온라인 댓글이 사람들의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서로 연결성 없는 무질서한 발언들이 아니라,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고 사회적 합의를 향해 나아가는 숙의과정이라는 것을 이론적, 실질적으로 보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