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 Therapeutic Analysis of Gunung-geori of Hwanghaedo-gut

황해도굿 군웅거리의 예술치료적 분석

  • Lee, Ji-Hong (Yongin University, Department of Total Art Therapy)
  • 이지홍 (용인대학교, 예술치료학)
  • Received : 2019.06.09
  • Accepted : 2019.08.08
  • Published : 2019.08.31

Abstract

Gut, Korean shamanist performance, is the archetype of Korean art therapy. It is because gut has the archetype of Korean mind and expresses the archetype in an artistic and therapeutic way. This paper compares and analyzes Gunung-geori of Hwanhaedo-gut and art therapy theories from two perspectives: the range of therapy and the therapeutic principles of performing ways. Gunung-geori aims to solve prolonged conflicts within a family, linking individual problems to family relationship. Such a therapeutic effect of Gunung-geori is well explained through the theory of Bowen's Family Therapy. Also the therapeutic principles that Gunung-geori's performing way are closely related to "transference" of Freud and "putting in the role" in drama therapy.

한국의 굿은 한국인의 원형적 심성을 매우 예술적으로 그리고 치료적으로 잘 풀어낸 한국 고유의 예술치료의 원형이다. 이에 연구자는 황해도굿 군웅거리와 예술치료적 이론과의 상관관계를 비교 분석하였다. 첫째 한국의 굿이 가족관계를 중심으로 행위 된다는 점에서 보웬의 가족치료 이론과 비교했으며, 한국의 굿이 가진 집단적 치료방식이 한 개인의 심리·정서적 문제를 가족관계체계, 그리고 더 나아가 사회 문화적 맥락 속에서 치료하고자 한 보웬의 이론과 맞닿아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둘째, 연구자는 만신이 망자의 혼을 입고 군웅을 노는, 굿의 연행방식이 갖는 치료적 의미에 대해 분석하였다. 굿 현장을 연구하는 많은 연구자들이 조상거리가 주는 치료적 효과에 대해 직접 경험했으나 그 치료적 효과를 이론적으로 입증하는 연구는 부족하였다. 이에 연구자는 프로이트의 전이 개념과 연극치료의 역할입기, 에릭슨과 고프만의 극적 놀이 개념을 접목시켜 황해도굿 군웅거리를 분석하였다. 만신의 망자로의 극적 전이는 황해도 군웅거리의 치료성을 입증하는 핵심 개념이다. 연구자는 이번 연구를 통해 한국의 굿의 한국 예술치료의 원형으로서의 가치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한국의 굿이 갖는 치료성에 대한 보다 심도 있고 폭넓은 연구가 절실함을 깨닫게 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