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사회복지실천현장

검색결과 161건 처리시간 0.029초

사회복지사들의 조사연구활용에 관한 연구 (Social Worker and Research Utilization in Social Work Practice)

  • 정순둘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8권2호
    • /
    • pp.251-271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사회복지사들의 조사연구활용 정도를 파악하고, 조사연구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연구대상은 우리나라의 사회복지실천현장에 종사하고 있는 사회복지사들이며, 다단계 추출법에 의해 표본을 추출하였다. 우편조사의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최종 569명의 자료에 대한 순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사회복지사들의 조사연구활용 정도는 매우 낮았지만, 조사연구에 대한 태도는 긍정적이었다. 조사연구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은 주로 사회복지사의 조사연구 활용능력과 관련된 조사연구에 대한 재교육 경험, 연구저널이용경험, 조사연구의 유용성에 대한 태도, 성별 등이었으며, 환경특성으로는 기관의 종류가 유의미하였다. 이 같은 연구결과를 가지고 조사연구활용 활성화 방향을 찾아보았다.

  • PDF

사회복지관 실습지도 내용에 대한 내용분석 연구

  • 이시연
    • 한국사회복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사회복지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자료집
    • /
    • pp.703-719
    • /
    • 2005
  • 본 연구는 사회복지관에서 이루어지는 실습 내용을 분석하여 효과적인 실습지도를 위한 실천적 지침을 제시하고, 궁극적으로 실습 성과 평가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틀 위해 서울시에 소재한 사회복지관 30개소의 실습지도계획서를 내용분석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사회복지관에서 진행된 실습 내용을 일반주의 실천에 근거하여 5개 범주, 14개 단위로 세부 내용을 추출하였다. 각 범주는 클라이언트 체계 개입, 조직 환경 이해, 전문적 발달, 서비스 전달체계 이해, 기본적 대인관계 기술의 순으로 전체 실습 내용에서 차지하는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사회복지현장실습을 위한 이론적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 PDF

급진사회운동가들의 사회복지실천현장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A Phenomenological Study on Field Experiences of Radical Social Workers)

  • 김성천;김은재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8권2호
    • /
    • pp.53-77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제도권 사회복지실천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급진사회운동가들의 실천 경험을 통해 균형 잡힌 실천에 대한 통찰과 함의를 얻고자 한다. 급진사회운동가들의 사회복지실천 경험에 대한 구체적인 경험과 의미 그리고 본질을 살펴보기 위해 Giorgi(2004)의 기술적 현상학으로 접근했다. 본 연구에서는 주로 비제도권 사회복지 관련 분야에서 거시적 실천을 하고 있는 급진사회운동가 9명이 참여했다. 자료는 심층면담을 통해 84개의 의미단위와 24개의 드러난 주제, 7개의 본질적 주제가 구성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의 경험을 아우르는 본질적 주제는 '준비된 변화의 빗장열기', '숙명처럼 다가온 일', '아래로부터의 개혁모색', '소수자들의 결집된 힘', '소수자들을 억압하는 법과 제도를 우호적으로 바꾸기', '새가 알을 깨고 나오기 위해서는 고통과 기다림이 필요함', '사회복지실천의 주체적 재구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한국 사회복지실천의 시사점을 논의했다.

  • PDF

사회복지사들의 실천지식의 본질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Essence of Practice Knowledge of the Social Workers)

  • 이근무;김영숙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1권4호
    • /
    • pp.217-241
    • /
    • 2009
  •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들의 실천지식의 생성과정과 내용 그리고 규범적 실천을 살펴보고 사회복지 지식의 재구조화에 시사점을 찾고자 하는 목적하에 수행되었다. 연구방법으로는 성찰적 내러티브 방법을 원용하였고 연구에는 6명의 현직 사회복지사가 참여했다. 연구결과 참여자들은 기존이론과 지식체계로 설명할 수 없는 현상에 직면했을 때 자기 성찰을 통해 지식을 만들었고 실천을 통해 이를 확인하고 재생산하는 경향을 보였다. 연구결과를 근거로 실천현장에서의 지식개발 방법론으로 귀추 추론 양식, 사회복지교육과정에서 인문학 교육의 강화, 네트워크의 지식공동체로의 재구조화를 제언했다.

  • PDF

사회복지 실습지도교수와 현장수퍼바이저의 실습수퍼비전 내용에 대한 인식 비교 (The Perception of Faculty Field Liaisons and Field Instructors on the Supervision of Social Work Practicum)

  • 장수미
    • 사회복지연구
    • /
    • 제42권1호
    • /
    • pp.371-397
    • /
    • 2011
  • 사회복지현장실습은 사회복지교육의 핵심요소로서, 이론과 실천의 통합, 전문성과 현장성 증진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현장실습은 대학에서 개설되지만 실습기관에서 교육이 이루어지는 교과목의 특성상, 교육의 효과성을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실습활동에 대한 대학과 현장의 기대가 일치해야 하며, 양측의 유기적인 협력 및 연계가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현재 국내의 실습교육은 현장수퍼바이저의 수퍼비전에 거의 의존하고 있으며, 실제로 교과목을 담당하고 있는 실습지도교수의 역할은 크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실습에 중요한 축인 실습지도교수와 현장수퍼바이저를 대상으로 학생들에게 제공되는 실습수퍼비전 내용에 대한 인식을 Q방법론을 활용하여 그 유형을 도출하고, 비교해보았다. 연구결과, 실습수퍼비전 내용에 대하여 실습지도교수는 3가지 유형, 현장수퍼바이저는 2가지 유형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양측의 인식유형은 상반되기보다는 부분적으로 중복되어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실천함의와 함께 추후 연구문제가 제안되었다.

COVID-19 상황 중 사회복지현장실습에 참여한 예비사회복지사의 실습경험에 관한 연구 (Study on Experience of Prospective Social Workers Participated in Social Welfare Field Practice during COVID-19 Pandemic)

  • 배나래;김지운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301-310
    • /
    • 2021
  • 본 연구는 COVID-19 상황에서 사회복지현장실습에 참여한 사회복지전공 재학생들의 실습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이다. 연구의 의의는 사회복지를 전공하는 재학생들의 실습 전후 사회복지현장실습에 대한 생각의 변화를 탐색하여 위기 상황 속에서 효과적인 사회복지현장실습 매뉴얼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는 것이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COVID-19 상황에서 사회복지현장실습의 어려움으로는 일 학습 병행에 따른 시간조정의 어려움, 감염 우려로 실습 기관의 원활치 않은 실습상황, 제한된 실습 경험과 낮은 질의 수퍼비전, 실습기관의 선정에 대한 어려움, COVID-19 확산으로 인한 실습 중단의 두려움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복지현장실습 후 학생들이 인식한 실습의 긍정적인 경험으로는 사회복지에 대한 전공 본연의 의미를 이해하였고, 사회복지현장실습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졌으며, 사회복지현장에서의 인권의 중요성을 깨달았다. 또한 사회복지실천현장은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의 라포형성이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게 되었다.

지역사회 네트워킹(community networking) 형성·유지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f successful community networking experiences of social workers)

  • 정정호
    • 사회복지연구
    • /
    • 제45권2호
    • /
    • pp.289-325
    • /
    • 2014
  • 지역사회 네트워크의 필요성과 효과에 대한 많은 기대와 논의에도 불구하고 실제 현장에서의 많은 네트워킹 노력은 성과를 보지 못하거나 쉽게 와해되곤 한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한 이 연구는 질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가려는 사회복지 네트워커의 관점에서 지역사회 네트워크 조직경험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4개 지역, 6명 현장 실천가들을 심층면접 하였고 이들의 지역사회 네트워크 형성 유지 경험을 분석하여 네트워크 조직가가 되길 원하는 사회복지사들에게 필요한 실천 지침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는 총 12개 범주와 4개 주제(리더/리더십 구축, 파트너십/팀웍 형성, 환경의 특성과 영향력 이해, 네트워크 유지 방안 마련)로 구분되었다.

사회복지 실천현장의 신자유주의적 성과주의 역설: 사회복지사의 경험을 중심으로 (Paradox of Meritocracy of the Social Welfare Organization in the Neoliberalism)

  • 이인숙
    • 한국사회정책
    • /
    • 제24권1호
    • /
    • pp.239-275
    • /
    • 2017
  • 본 연구는 사회복지 실천현장에 나타난 신자유주의적 성과주의 요구에 대해 사회복지사들이 '무엇'을 '어떻게' 경험하는가를 탐구함으로써 이들 경험의 본질적 주제를 드러내고자 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해 사회복지사 18명에 대한 심층면접을 실시하고, 수집된 자료를 Colaizzi(1978)가 제안한 현상학적 방법으로 분석했다. 분석결과 총 4개의 본질적 주제로 통합되었다. 연구참여자들은 효과성과 효율성에 기반 한 의미 있는 성과 아닌 '실속 없는 형식적 성과' 만들기에 매몰되어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클라이언트는 실적의 도구가 되고, 현장과의 접촉점이 상실되며, 서비스의 질적 저하와 기관 간 연계가 약화되는 '본연의 실천 가치에 역행하는 실천의 재조직화'로 나타난다. 또한, 성과주의가 의도했던 책임성의 구현은 외부에서 의해 부여된 성과기준에 매몰되어 성과가 불명확한 도전은 포기하게 되는 '재량권 없는 경직된 책임성'만 남게 되었다. 실속 없는 형식적 성과 만들기에 몰두하는 동안 사회복지 실천현장의 가치와 특수성을 담아내지 못하고 실천가의 자부심을 상실하는 '사회복지 정체성 침식'을 경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성과주의의 본래 목적이 전치된 성과주의의 역설과 실패로 귀결된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논의와 정책 방향을 제시 하였다.

지역사회복지관 한부모 자조집단 실천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성찰 연구 -참여실행연구 자료를 중심으로 (A Study of Social Workers' Reflections on the Supportive Practice for Community Welfare Center Single Parent Self-Help Groups based on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 양혜원;최정숙;김희수
    • 한국가족복지학
    • /
    • 제62호
    • /
    • pp.103-139
    • /
    • 2018
  • 본 연구는 지역사회복지관 한부모 자조집단 실천방안 모색을 위한 참여실행연구 자료를 활용하여, 연구를 수행한 사회복지사들이 참여실행연구과정에서 성찰한 내용이 무엇인지를 구체적으로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참여실행연구에는 지역사회복지관 한부모 자조집단 실천의 어려움을 공유한 사회복지사와 교수자 9명이 참여했고, 10회기의 연구모임을 통해 동료 수퍼비전을 비롯한 다양한 활동을 하면서 사회복지사들이 소속된 기관의 4개 자조집단 실천에대한 계획-실행-성찰-재계획을 반복하는 순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현장에 밀착된 다양한 실천방안이 도출되었는데, 그 중 핵심은 사회복지사의 인식이 변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참여실행연구에서의 성찰을 통해 사회복지사의 인식이 변화된 것에 주목하고, 연구모임 녹취록 등 참여실행연구에서 생성된 자료를 활용하여 성찰의 구체적 내용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자조집단에 적합한 실천이 미흡했음을 깨닫고 고민함', '회원-사회복지사 관계에 대한 변화된 관점을 바탕으로 사회복지사 역할을 다시 알아감', '당사자 주도 실천의 가능성을 확인함', '지역사회복지관 한부모 자조집단을 더 세밀하게 이해함', '지역사회복지관 한부모 자조집단의 발전을 새롭게 인식함' 등 5개 주제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지역사회복지관 한부모 자조집단을 중심으로 역량강화 실천과 성찰?반성적 실천에 대해논의하였다.

사회복지현장실습 수퍼비전에 대한 실습지도교수의 주관적 인식 유형 연구 (A Study of the Perception of Faculty Field Liaison on the Social Work Practicum Supervision)

  • 장수미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2권2호
    • /
    • pp.235-255
    • /
    • 2010
  • 성공적인 실습교육은 체계적인 수퍼비전에 기반하여야 하며, 실습수퍼비전은 학교와 현장의 협력 및 연계를 통한 상호 긴밀한 의사소통의 바탕위에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 수퍼바이저와 함께 현장실습의 주축이 되는 실습지도교수를 대상으로 이들의 수퍼비전 내용에 대한 인식을 탐색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Q 방법론을 활용하여 연구한 결과, 실습지도교수들은 수퍼비전의 내용에 대해 "사회복지사의 태도 및 마인드 강조형", "전문 지식 및 실습생의 자기 이해 강조형", "다양한 체계개입에 필요한 실천기술 강조형" 등 3 가지 유형으로 인식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교육과 실천에서의 함의를 찾아보았다. 본 연구는 현장실습교과목을 담당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실습에서 활발한 역할을 하지 못했던 실습지도교수에 대한 관심을 증진시키고, 학교와 현장의 연계 중요성을 논의하는 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의의를 가질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