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adox of Meritocracy of the Social Welfare Organization in the Neoliberalism

사회복지 실천현장의 신자유주의적 성과주의 역설: 사회복지사의 경험을 중심으로

  • 이인숙 (부산장신대학교 사회복지상담학과)
  • Received : 2017.02.10
  • Accepted : 2017.03.21
  • Published : 2017.03.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hat social workers experience and how they experience the needs of Meritocracy in the social welfare organization in the neoliberalism.. Therefor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8 social workers, and I analyzed Colaizzi(1978) in a phenomenological method through collected research materials. As a result, the analysis is integrated in a total of four essential themes.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the meritocracy - oriented phenomenon in the social welfare organization was 'paradox of Meritocracy'. Participants were buried in creating "nominal performance without any effectiveness" based on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Clients were instrumentalized in performance; moreover, they lost contact points with the field. Above all, there was "a reorganization of practices" that contradicted the original values of practice, in which the quality deterioration of service and the connection between organizations were weakened. In addition, the implementation of accountability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 which was intended by Meritocracy, has become a criterion for external evaluation, and the challenge of uncertain result has left a "rigid accountability without discretion." While participants were devoted to making a nominal performance, they failed to be guaranteed by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social welfare group. They experienced lost pride of the practitioner in the reality which contained the value of social welfare. However, in spite of this paradox of Meritocracy, participants demonstrated flexibility in order to preserve the original value and reached "a compromise with reality in the identity conflic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I presented the discussion and policy directions.

본 연구는 사회복지 실천현장에 나타난 신자유주의적 성과주의 요구에 대해 사회복지사들이 '무엇'을 '어떻게' 경험하는가를 탐구함으로써 이들 경험의 본질적 주제를 드러내고자 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해 사회복지사 18명에 대한 심층면접을 실시하고, 수집된 자료를 Colaizzi(1978)가 제안한 현상학적 방법으로 분석했다. 분석결과 총 4개의 본질적 주제로 통합되었다. 연구참여자들은 효과성과 효율성에 기반 한 의미 있는 성과 아닌 '실속 없는 형식적 성과' 만들기에 매몰되어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클라이언트는 실적의 도구가 되고, 현장과의 접촉점이 상실되며, 서비스의 질적 저하와 기관 간 연계가 약화되는 '본연의 실천 가치에 역행하는 실천의 재조직화'로 나타난다. 또한, 성과주의가 의도했던 책임성의 구현은 외부에서 의해 부여된 성과기준에 매몰되어 성과가 불명확한 도전은 포기하게 되는 '재량권 없는 경직된 책임성'만 남게 되었다. 실속 없는 형식적 성과 만들기에 몰두하는 동안 사회복지 실천현장의 가치와 특수성을 담아내지 못하고 실천가의 자부심을 상실하는 '사회복지 정체성 침식'을 경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성과주의의 본래 목적이 전치된 성과주의의 역설과 실패로 귀결된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논의와 정책 방향을 제시 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