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회문화적태도

Search Result 437, Processing Time 0.03 seconds

'Female Basketball Athletes Entered the College of Education': A Story about Education and Career of Student Athletes ('여자농구선수들, 사범대학에 오다': 학생선수의 학업과 진로에 대한 이야기)

  • Kim, Eun-Jung;Lee, Keun-Mo;Jang, Seung-Hyun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v.54 no.4
    • /
    • pp.139-155
    • /
    • 2015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observe in-depth what kind of changes the establishment of a female basketball team in a college of education and the experiences the female basketball players have within that situation bring to their lives and their paths in life and social implications. To achieve this purpose, the female basketball team at the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in P University was selected as a research environment and its members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qual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Research results showed first, that female basketball athletes were already on a set path before they entered college. They had not thought about their path in life independently and had a passive attitude towards their life paths and were experiencing a culture in which studies were not permitted. Second, female basketball athletes discovered a new path upon college entrance. While meeting various friends, they gained friends and not just colleagues and after becoming aware that the main character in their lives is 'themselves', they showed autonomy. Based on this, factors for their change, which are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first, the environment of P University's college of education which has strict regulations and a strong emphasis on academics when compared to other universities, second, the identity of being the first enrollments into the female basketball team of P University's college of education and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being a female athlete, third, the group's leader who contributed to their positively directed change. Ultimately, these factors served an important role in leading their change in the large frame of a university environment.

A Survey on Practices and Attitude toward Wedding Food among Housewives in Busan and Kyungnam Area (부산.경남지역 주부들의 혼례음식 관행과 태도에 관한 조사)

  • Kim, Kyong-Myo;Kim, Kyung-Ja;Shin, Ae-So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 /
    • v.17 no.3
    • /
    • pp.240-251
    • /
    • 2002
  • This study is to describe practices of and attitude toward traditional wedding food and the attitude of housewives toward the traditional wedding food in Busan metropolitan and Kyungnam province area. Data were analyzed from the convenient sample of 525 housewives collected from September 20 to September 28, 2001. As for the necessity of traditional wedding food, the most popular food was ebagee food, pebaek food, yedan food in order. Of the various kinds of traditional wedding food, table setting for parent-in-law was chosen as the most popular on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education level and age were statistically associated with perception of traditional wedding food being necessary as a ritual thing. The respondents preferred rice cakes as wedding food to fishes, fruits, traditional sweets and skewered slices of seasoned meats. More than half of the respondents think current practices of wedding food is prodigal and has to be done in thrifty manner. As a ritual practices of wedding food were to be readjusted to the change of social custom depending on the degree of modernization. More than half (52.1%) of the housewives expected traditional wedding food should fade away. A conclusion was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modernized wedding food reflecting traditional wedding customs with economic costs.

Reading the Landscape through the Perception of Residents of Banwol and Bakji Island - Based on the Change before and after the Purple Island - (반월·박지도 주민의 인식과 태도를 통해 경관 읽기 - 퍼플섬(Purple Islands) 사업 전후의 변화를 중심으로 -)

  • Hamm, Yeonsu;Seo, Hwahyun;Cui, Yuna;Sung, Jong-Sa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51 no.4
    • /
    • pp.56-75
    • /
    • 2023
  • As of 2019, for the 'Island I Want to Visit' project, Banwol and Bakji Islands, located in Shinan-gun, started color marketing to create a tourist attraction by painting roofs, buildings, and facilities purple. As this landscape change was evaluated as a 'dangerous but beautiful attempt,' it was recognized as the 'World's Best Tourism Village' in 2021, drawing attention from domestic and foreign tourists. However, the residents of the islands, who created and enjoy the benefits of the landscape, were alienated from the planning stag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anings and symbols of residents' perceptions of the purple landscape. The cultural landscape frame of new cultural geography, which interprets the landscape's symbolic meaning and ideological signs, was utilized. In addition, a holistic approach was applied to understand the residents' perceptions of the multi-layered environment. Therefore, the perception of purple, the main color of the islands, the overall landscape and individual places, and the general perception of the Purple Island project were investigated. After the Purple Islands Project, the main senses for recognizing the villages focused on sight, and the residents were satisfied with the purple landscape as it improved the underdeveloped village environment. This satisfaction was based on lessening the negative memories experienced as an island rather than a value judgment on the purple color. In addition, the perception of the symbolic landscape, which has a social and universal system, has been subdivided and reorganized, including for tourism functions. It can be understood as an aspect of the spectacle landscape that appears in cosmopolitanism. However, in the process of transforming into a tourist attraction, it was discovered that the residents recognize the value of local resources and create a new cultural landscape. In addition, the percep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Banwol and Bakji has also changed around tourism.

Awareness and Use of Fast Food on Elementary School 4th, 5th and 6th Grade Students in Pyeongtaek City (평택시 초등학생의 패스트푸드에 대한 인식과 이용)

  • Kim, Kyeong-Hyun;Jung, Eun-Hee;Rhie, Seung-Gy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Living Science Conference
    • /
    • 2009.09a
    • /
    • pp.79-79
    • /
    • 2009
  • 최근 아동들 사이에서 칼로리가 높고 간단하게 먹을 수 있는 인스턴트식품이나 패스트푸드 등의 섭취가 증가하는 경향과 함께 비만 등 영양적인 문제점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 특히 아동기는 식습관 형성에 중요한 시기이므로 올바른 식품선택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학생들의 올바른 식생활문화를 형성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하고자 평택 초등학교 2개교의 4, 5, 6학년 300명을 대상으로 패스트푸드 섭취실태를 조사하였다. 평균연령은 11.7세, 키는 141.5cm, 몸무게는 36.7kg이였다. 아침 식습관태도 조사에서는 일주일에 5번 이상 아침식사를 한다(여학생 78.1%, 남학생 74.3%)는 답이 가장 많았다. 아침결식 이유는 밥맛이 없기 때문(여 58.2%, 남 54.4%)이 가장 높은 비율이었고, 편식은 여학생의 54.2%, 남학생의 48.9%가 하지 않는다고 하였으나, 편식하는 식품은 나물이나 샐러드 등의 채소류(여 51.1%, 남 61.4%)가 많았다. 간식섭취는 가끔 섭취한다는 답이 여학생 59.8%, 남학생 60.0%로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간식은 부모님이 사주신다(여 32.6%, 남 39.1%)고 하였으며, 여학생은 50.5%가 가족과 함께 먹고 남학생의 경우에는 44.8%가 혼자 먹는다는 결과를 보였다. 간식으로 과일섭취가 이루어지고 있는지 조사한 결과는 여학생의 33.0%가 2-3일에 2회 이상 섭취한다고 했지만, 남학생은 29.5%가 매일 먹는다고 답을 하여 과일섭취는 모두 딸이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패스트푸드의 이용동기는 맛이 좋아서(남 60.8% 여 55.2%), 다음은 이용이 편리하기 때문이며(남 32.4% 여 40.6%), 주로 이용하는 곳은 분식 및 편의점이었다. 패스트푸드 이용횟수는 월1-2회(남 52.4%, 여 51.6%)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이 주1회 정도(남 21.9%, 여 32.0%) 이용한다고 하였다. 이용시간은 방과 후 저녁시간을 가장 많이 이용하며(남 47.6%, 여 50.5%), 남 녀 모두 사서 집에서 먹거나(남 44.7%, 여 41.2%), 배달시켜 집에서 먹는다(남 39.8%, 여 37.1%)고 하였다. 가장 좋아하는 패스트푸드는 라면 등의 분식으로 여학생의 40.2%, 남학생의 26.2%가 해당되었고, 그 다음 순서로 남학생은 피자(22.3%)와 치킨(22.3%) 및 햄버거(18.5%), 여학생은 치킨(25.8%)과 도너츠(12.4%)를 더 선호하였다. 패스트푸드 만족도를 3점 척도로 조사한 결과, 맛이 가장 높은 점수(2.42)였으며, 가격(1.98), 위생(1.92) 서비스(2.15)는 보통으로 평가했다. 본 연구 결과, 조사 대상자들의 패스트푸드 섭취는 가끔 먹는 간식과 같은 형태로 당장 우려할 정도는 아니지만, 선행연구에서 보고된 바와 같이 10대와 20대에 특히 섭취율이 증가함을 감안할 때, 중학생이 되기 전 단계에서 우리음식의 우수성과 패스트푸드 섭취지양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본다.

  • PDF

Awareness and Needs of Original Inhabitants on Urban to Rural Migration (귀농귀촌에 대한 원주민의 인식과 욕구)

  • Lee, Jun-Woo;Hong, Yoo-Mi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8 no.10
    • /
    • pp.217-228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awareness and needs of original inhabitants on urban to rural migration and propose public projects with a consideration of their stance based on the results. To comprehend their awareness and needs on urban to rural migration through their experience related to it, focus group interview was done and three categories were identified as a result, which are 'relative deprivation', 'limitations and difficulties of urban to rural migration', and 'plans for successful settlement'. First, the original inhabitants were discontent towards the government policies related to urban to rural migration and migrant's behaviors seemed to form negative perception on it. Second, financial difficulty and trouble in stable crop cultivation and acquirement of farming techniques were identified as limitations and difficulties of urban to rural migration. Third, the original inhabitants recognized the need of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original inhabitants and migrants and activation of meetings for exchange of information to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groups and migrants should have proper attitude and effort to learn the rural culture for interaction and cooperation. Fourth, there's in need for an institution, which serves as a focal point that provides information and support urban to rural migration. Fifth, successful plans for settlements of migrants thought by the original inhabitants were found. Sixth, there's a need for the original inhabitants to play the role of a mentor to the migrants for their settlement and to promot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m.

A Comparison of Chunhyang's Character in the 30th Edition of and Theatre Play (경판30장본<춘향전>과 연극<성춘향>에 나타난 춘향의 인물 성격 비교)

  • Pyo, Won-Soub;Kim, Jung-Hyun
    • Journal of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 /
    • v.14 no.7
    • /
    • pp.227-237
    • /
    • 2020
  • In the 30th edition of , Chunhyang is conventionally presented as a woman who tries to protect her chastity and it eventually bears the fruits of her love. On the other hand in , Chunhyang is reinterpreted as a woman who strives to protect feminist self-consciousness and beliefs, even in unreasonable social situations. By comparing the two different works, we can see differences in the behavior of the characters in how to overcome various obstacles, such as irregularity, gender discrimination, and identity conflict. By reinterpreting the emotions of the characters in the classic novel into the emotions of the modern characters, we can see the how the characters grow when trying to overcome the situation and find a solution, even though there is no change yet. This can be seen as the emotions of the characters become different as time goes by. As the times go by, the world's values and inclinations also change, and the irrationalities of the world will also go in various directions. Through the fusion of culture into history, even though it's irrational but we become familiar with it and will clearly understand the absurdities, and we can look forward to changes in the process.

An analysis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adolescent's global citizenship (청소년의 세계시민의식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 Park, Hwanbo;Yoo, Na-Yeon;Jang, Se-Jeong;Yu, Hye-Young
    • Korean Journal of Comparative Education
    • /
    • v.26 no.4
    • /
    • pp.31-53
    • /
    • 2016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student's individual background and school factors on global citizenship and to provide some suggestions to improv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Korea. To achieve this purpose, we used International Civic and Citizenship Education Study (ICCS) 2009 data which studied student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civics and citizenship as well as student perceptions, and attitudes related to civics and citizenship from 38 countries. The data was analyzed with a 2-level Hierarchical Linear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Girls had more positive attitudes than boys toward gender equality and equal rights for different ethnic groups and immigrants. This study also showed that the level of student's global citizenship depended on whether home language was different from test language. Parental educational attainment and parental occupational status generally affected the level of student's global citizenship and students' interest in political and social issues appeared to be strongly affected by their parent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arents play important role in improving global citizenship. At the school level,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and the value of student participation had positive effects on global citizenship. Therefore, in order to implement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school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change of school climate.

A Study on the Tobacco Industry's Publicity Strategies: Based on the Analysis of Tobacco Company's Documents and the Media Coverage of Tobacco and Tobacco Companies (담배업계의 퍼블리시티 전략 연구: 담배회사 내부문건과 언론보도를 중심으로)

  • Oh, Mi-Yo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1 no.6
    • /
    • pp.165-179
    • /
    • 2021
  • This study investigated that what strategies tobacco companies have taken for marketing tobacco and tobacco companies on news media, by reviewing the previous research analyzing the tobacco companies' documents and the news coverage of tobacco. The tobacco document studies showed that tobacco companies have created close relationships with news media, a quid pro quo, by providing advertising and diverse forms of sponsorships and obtaining favored treatment on news coverage and have built networks with journalists by supporting journalist organizations. They have also supported thinktank groups and pro-smoking groups so as to represent and advocate their perspectives and assertions on news media and have utilized sponsorship of art and culture as pseuo-event for publicizing tobacco and tobacco companies on news media. Futhermore, news coverage of tobacco showed that news media tended to deal with tobacco issues lukewarmly, without a clear position and perspective and deliver naturally tobacco industry's perspective and message that smoking is controvertial rather than totally undesirable and unacceptable. Also, the news coverages have often reflected tobacco industry's publicity strategies identified in tobacco industry documents. This study suggests how tobacco industry access and utilize news media to obtain favorable news coverage, and thus it provides a rational of why tobacco industry's publicity activities have to be regulated.

Rhetorical Analysis of News Editorials on 'Screen Quota' Arguments: An Application of Toulmin's Argumentation Model (언론의 개방담론 논증구조 분석: 스크린쿼터제 관련 의견보도에 대한 Toulmin의 논증모델과 Stock Issue의 적용)

  • Park, Sung-Hee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 /
    • v.36
    • /
    • pp.399-422
    • /
    • 2006
  • Whether to reduce the current 'screen quota' for domestic films in conjunction with the FTA discussions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is one of the hotly debated issues in Korea. Using Toulmin's Argumentation Model, this study attempts to trace the use of data and warrants for each pro and con claims as portrayed in newspaper editorial columns and to find its rhetorical significance. A total of 67 editorial columns were collected from 9 nationwide news dailies in Korea for the purpose. The rhetorical analysis of those articles showed that the major warrants used in each pro and con opinion were absent of the potential issues of the opponents, which inherently fails to invite rebuttals from the opposite sides. This conceptual wall in each argumentation models implies an inactive conversation and subsequent absence of clash between the pro and con argumentation fields. It is thus suggested for opinion writers to find more adequate evidences to support the data and warrants to hold persuasive power of their respective claims, ultimately to enhance the public discourse among citizens.

  • PDF

Preparation of Students for Future Challenge (미래의 요구에 부응하는 미래를 위한 간호교육)

  • Kim Euisook
    • The Korean Nurse
    • /
    • v.20 no.4 s.112
    • /
    • pp.50-59
    • /
    • 1981
  • 간호학생들이 당연하고 있는 문제점 미래의 간호학생들이 교육문제를 논하기 위하여는 간호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또 이해하는 것이 우선순위가 될 것이다. 간호학생들이 문제점에 대한 연구는 한국에서 뿐아니라 미국에서도 꽤 많이 시행되어져 왔으며 특히 간호학과정에서 중간 탈락되는 중퇴자들에 대한 연구들 중에 이러한 문제점에 대해서 언급한 것이 많다.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곧 대학과정에 진학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 보고될 Munro의 자료에 의하면 전문대학과정에서 27$\%$, 대학과정에서는 41$\%$의 간호학생들이 간호학과정에서 중간 탈락하고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 이들이 중간탈락하는 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으나 그 중 ''간호학에 흥미를 잃어서''가 가장 큰 이유로 보고되고 있다. 이곳 한국사회에서도 역시 비슷한 현상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대학입시경쟁과 대학내에서의 전과가 거의 허용되지 않는 특수여건이기 때문에 학교를 중간 탈락하는 율은 미국이 보고만큼 높지는 않으나 역시 ''간호학에 흥미를 잃는다''는 것이 간호학생들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최근 한국에서 시행된 간호학생들에 관한 연구(표 1 참조)에 의하면 간호학생들의 학문에 대한 만족도는 조사자의 35$\~$50$\%$정도에 불과하였고 더우기 이 비율은 고학년에 올라갈수록 더욱 감소되고 있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한국에서 시행된 어느 연구보고에 의하면 간호학에 실망했다고 생각하는 학생이 전체의 67$\%$였으며, 다른 학교로 전과를 희망한 경험이 있다는 학생이 71$\%$나 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왜 흥미를 잃게 되는지 그 이유에 대하여 설명해 주는 연구는 많지 않았다. 미국의 한 저자는 간호학생들이 간호학에 흥미를 잃게 되는 원인을 간호원의 역할에 대한 이해가 정확하지 못한 것과 졸업 후 진로기회에 대한 인식부족 때문이라고 추측하고 있다. 간호학에 흥미를 잃게 되는 이유는 크게 다음의 세 가지로 분류 요약될 수 있다. 첫째, 간호학을 전공으로 택한 동기이다. 간호학의 특수성으로 인하여 학생들이 간호학을 전공으로 택한 동기도 다른 전공분야보다는 훨씬 다른 여러 종류를 보이고 있다. 즉, 종교적 이유, 다른 사람들에게 봉사할 수 있는 직업이기 때문에, 쉽게 취업을 할 수 있어서, 결혼 후에도 직업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외국으로 쉽게 취업할 수 있어서 등이 간호학을 선택한 이유로 보고되고 있다. 흥미나 적성에 맞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간호학을 택한 학생의 수는 다른 과에 비하여 훨씬 적다. 이러한 흥미나 적성 때문이 아닌 여러 가지 다른 이유들로 인하여 간호학을 택한 경우에 특히 간호학에 쉽게 흥미를 잃어버리는 것을 볼 수 있다. 간호학에 현실적인 개념을 가지고 있는 학생들일수록 추상적이고 현실적인 개념을 가지고 있는 학생들보다 더 간호학에 지속적인 흥미를 가지며 중간에 탈락하는 율이 훨씬 적다는 것이 많은 연구에서 보고되었다. 또한 흥미나 적성 때문에 간호학을 택하였다는 학생들이 다른 과로 전과를 희망하는 율이 낮다는 것도 보고되었다. 둘째, 교과내용자체나 실습에 대한 불만족이다. 간호학에 대한 체계적인 교과내용의 결여, 과중한 과제물, 임상실습에서의 욕구불만, 실습으로 인한 부담, 지식과 실습의 차이점에 대한 갈등 등이 주요 이유로 보고되고 있다. 대부분의 연구들이 이 교과목이나 실습에 대한 불만족, 특히 실습경험에서의 갈등을 학생들이 흥미를 잃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 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어느 한 연구에서는 응답자의 90$\%$가 임상실습에 만족하지 못한다고 응답하였으며 그들 중의 88$\%$가 실습감독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보고하였다. 셋째, 교수들에 대한 불만족이다. 대부분의 연구들이 학년이 올라가면 갈수록 교수에 대한 신뢰도가 낮아지며 또한 그에 비례하여 간호학에 대한 만족도가 낮아진다고 보고하고 있다. 교육내용에 대한 전문지식의 결여, 학생들과의 인간적인 관계의 결여, 교수법에 대한 불만족 등이 교수에 대한 불만의 주요내용으로 보고되었다. 미래의 간호에 부응할 학생교육 계속적인 사회적 변동과 더불어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는 일반인들의 건강에 대한 요구도와 앞에서 기술한 문제점 등을 감안할 때 학생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간호학에 확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준비시키므로써 간호환경에서 실망하기보다는 오히려 그것을 받아들여 변화하는 사회요구에 책임감을 느낄 수 있도록 교육시키는 것이 미래의 간호학생을 준비시키는데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이러한 교육을 위하여 다음의 두가지 안을 제시한다. 1. 교수와 학생간의 관계-서로의 좋은 동반자 : 교수들이 학생에게 미치는 영향, 특히 학생들의 성취도에 대한 영향에 대하여는 이미 많은 연구가 시행되었다. Tetreault(1976)가 간호학생들의 전문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연구한 바에 의하면 다른 어느 것보다도 교수의 전문의식여부가 학생들의 전문의식 조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또한 학생들이 교수에게 신뢰감을 가지고 있을때, 교수들이 전문가로서의 행동을 하는 것을 보았을때 비로서 배움이 증가된다고 하였다. Banduras는 엄격하고 무서운 교수보다는 따뜻하고 인간적인 교수에게 학생들이 더 Role Model로서 모방하려는 경향을 나타낸다고 보고 하였다. 그러면 어떻게 학생에게 신뢰받는 교수가 될 수 있겠는가? apos;학생들의 요구에 부응할 때apos;라고 한마디로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Lussier(1972)가 언급한 것처럼 학생들의 요구에 부응하지 못하는 교육은 Piaget이 언급한 교육의 기본 목표, 즉 개인에게 선배들이 한 것을 그대로 반복하여 시행하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것을 시도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게 하는 목표에는 도달할 수 없으며 이러한 목표는 간호학에도 가장 기본이 되어야 할 기본목표이기 때문이다. 학생들이 현재 어떤 요구를 가지고 있으며 또 어떤 생각을 하고 있는지 계속 파악하고 있는 것이 학생요구에 부응하는 교육을 할 수 있는 기본조건이 될 것이다. 의외로 많은 교수들이 학생들을 이해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으나 잘못 이해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표 2는 현 간호학생들이 생각하고 있는 가치관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또 교수가 그 가치관과 문제점을 어느 정도 파악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일개 4년제 대학 200여명의 학생과 그 대학에 근무하는 18명의 교수진을 대상으로 질문한 결과를 간략하게 보고한 것이다. 또한 여기에서 학생이 보고하는 가치관, 문제점, 교수에게 바라는 점이 교수가 이해하고 있는 것과 차이가 있다는 것도 보여주고 있다. 우리가 학생들의 요구를 파악할 수 있도록 귀를 기울이고 이해하며, 그 요구에 부응하려고 노력할때 진정한 교수와 학생간의 관계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며 이때 비로서 우리는 apos;partnershipapos;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이때 간호학에 대한 실망은 줄어들 수 있을 것이며 우리도 학생들에게 전문가적인 태도를 함양시켜줄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될때 앞으로 기다리고 있는 미지의 의무에 효과적으로 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자질을 형성한 학생들을 준비해 낼 수 있을 것이다. 2. 간호모델에 의한 교과과정의 확립과 임상실습에의 적용 : 교과과정이 학생들의 모양을 만들어주는 하나의 기본틀이라고 말할 수 있다면 미래의 요구에 부응하는 학생들을 준비시키기 위하여 지금까지와는 다른 새로운 방향의 교과과정이 필요하다는 것은 재론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이미 진취적인 간호대학에서는 guided design systems approach 또는 integrated curriculum 등의 새로운 교과과정을 시도하고 있음은 알려진 사실이다. 물론 간호모델에 준한 교과과정을 발전시키는데 대한 장점과 이에 수반되는 여러가지 새로운 문제점에 대하여 많은 논란이 있으나 모든 교과과정이 처음 시도될 때부터 완전한 것이 있을 수 없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성숙되는 것임을 감안해 볼 때 이러한 새로운 교과과정에의 시도는 미래의 새로운 간호방향에 필수적인 사업이라고 하겠다. 이러한 교과과정을 개발하는데 몇가지 게안점을 첨부하려 한다. (1) 새로운 교과과정의 개발은 처음부터 끝까지 모든 교수진의 협력과 참여로 이루어져야 한다. (2) 비록 처음에는 어렵고 혼란이 있더라도 교과과정은 의학모델이 아닌 간호모델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3) 간호모델에서 다루어지는 개념들은 모두 직접 간호업무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선택되어야 한다. (4) 교과과정의 결과로 배출되는 학생들의 준비정도는 그 지역사회에 적합하여야 한다. (5) 그 지역사회의 고유한 문화적 요소가 포함되어야 한다. 아직 우리는 간호분야 내부의 갈등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시기에 있다. 우리 내부의 문제점을 잘 해결할 수 있을때 외부와의 갈등에 잘 대처할 수 있을 것이다. 내부의 갈등을 잘 해결하기 위한 힘을 모으기 위하여는 동반자, 즉 교수와 학생, 간호교육자와 임상간호원 등이 서로 진정한 의미의 동반자 될때 가장 중요한 해결의 실마리가 될 것이다.

  • PDF